최근 수정 시각 : 2024-10-09 23:24:05

닉슨 독트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2664, #000 40%, #000 60%, #cc0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2px"
국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3%"
{{{#000,#ddd {{{#!folding [ 자본주의 진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세계
맹주
유럽
· · · · · · · · · · · · · · ·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
· ·
아시아 & 오세아니아
· · · · · · · · · · · · · · · · · · · · ·
아프리카
· · · · · · · · · ·
북아메리카
· · · · · · · · · · · · · · · ·
남아메리카
· · · · · · · · ·
}}}}}}}}}}}}
{{{#!folding [ 공산주의 진영 ] 
{{{#!folding [ 비동맹 진영 ] 
}}} ||
<colbgcolor=#2d2f34> 주요 사건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5~1947)
<colcolor=#000,#ddd>봉쇄정책 · 언싱커블 작전 · 제2차 국공내전 · 철의 장막 · 그리스 내전 · 미소공동위원회 · 트루먼 독트린
전반부
(1947~1969)
마셜 플랜 ·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 제1차 중동전쟁 · 베를린 봉쇄 · 티토-스탈린 결렬 · 소련의 미국개입유도설 · 6.25 전쟁 · 쿠바 혁명 · 제네트릭스 계획 · 1956년 포즈난 시위 · 1956년 헝가리 혁명 · 제2차 중동전쟁 · 1958년 레바논 위기 · 진먼 포격전 · 스푸트니크 쇼크 · 콩고 내전 · 중소결렬 · U-2 격추 사건 · 1962년 버마 군사반란 · 나는 베를린 시민입니다 ·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 베트남 전쟁 · 캄보디아 내전 · 피그만 침공 · 쿠바 미사일 위기 · 제3차 중동전쟁 · 68 운동 · 프라하의 봄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우주 경쟁 · 중국-소련 국경분쟁 · 매카시즘 · 상호확증파괴 · 죽의 장막 · 로젠버그 부부 간첩 사건 · 과테말라 내전 · 북예멘 내전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데탕트
(1969~1979)
닉슨 독트린 · 동방 정책 · 닉슨-마오쩌둥 회담 · 7.4 남북 공동 성명 · 핵확산금지조약 · 전략무기제한협정 · 제4차 중동전쟁 · 앙골라 내전 · 베트남 통일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독일의 가을 · 중일평화우호조약 · 이란 혁명 · 중국-베트남 전쟁 · 엘살바도르 내전 · 니카라과 혁명
후반부
(1979~1985)
흑묘백묘론 · 악의 제국 연설 ·그레나다 침공· 이 장벽을 허무시오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이란-이라크 전쟁 · 스타워즈 계획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콘트라
냉전의 종식
(1985~1991)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도이머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북방정책 · 1988 서울 올림픽 · 천안문 6.4 항쟁 · 베를린 장벽 붕괴 · 몰타 회담 · 1989년 동유럽 혁명 · 예멘 통일 · 동서독 통일 · 걸프 전쟁 · 8월 쿠데타 · 남북기본합의서 · 소련 붕괴
탈냉전
국제 기구
·
TIAR · SEATO · ANZUS · CENTO | 경제상호원조회의(СЭВ | COMECON)
군사 대결 구도
미군 vs 소련군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81018><tablebgcolor=#e81018> 파일:닉슨-투명.svg리처드 닉슨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81018> 선거 1960년 미국 대통령 선거 · 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 · 1972년 미국 대통령 선거
관련 정치인 헨리 키신저 · 스피로 애그뉴 · 제럴드 포드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존 코널리 · 멜빈 레어드 · 제임스 R. 슐레진저 · 조지 W. 롬니 · 헨리 M. 잭슨 · 존 F. 케네디 · 휴버트 험프리 · 조지 맥거번 · 아치볼드 콕스 · 존 시리카 · 마오쩌둥
발언 닉슨 독트린 · 닉슨 쇼크
사건사고 데탕트, 라인배커 작전, 욤 키푸르 전쟁, 1973년 칠레 쿠데타, 전략무기제한협정, 워터게이트 사건, 피닉스 프로그램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 }}}}}}}}}

1. 개요2. 배경3. 내용4. 여담

1. 개요

Nixon Doctrine

제37대 미국 대통령 리처드 닉슨이 1969년 7월 25일 에서 발표한 (대아시아 관련) 외교정책. 괌에서 발표했기 때문에 괌 독트린(Guam Doctrine)이라고도 한다. 1970년 2월 국회에 보낸 외교교서로 닉슨 독트린을 세계에 선포하였다.

2. 배경

1969년 1월에 등장한 닉슨 행정부는 전임 린든 존슨 정부가 베트남 전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대대적인 반전 여론 등으로 기존 대외 정책에 국내적 합의 기반을 다시 형성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이를 위한 방안으로써 새로운 대외 정책의 기조는 ‘미국의 정치적, 군사적 후퇴와 미국이 국제 체제에서 적절히 조화할 수 있을 것이냐’라는 질문에 답을 모색함으로써 도출할 수 있었다. 닉슨 독트린은 이러한 질문에 공개적으로 답을 천명한 것으로 볼 수 있다.

3. 내용

1. 미국은 앞으로 베트남 전쟁과 같은 군사적 개입을 피한다.

2. 미국은 아시아 제국(諸國)과의 조약상 약속을 지키지만, 강대국이 핵으로 위협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내란이나 침략에 대하여 아시아 각국이 스스로 협력하여 그에 대처하여야 할 것이다.[1]

3. 미국은 ‘태평양 국가’로서 그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하지만 직접적, 군사적 또는 정치적인 과잉개입은 하지 않으며 스스로의 의사를 가진 아시아 각국의 자주적 행동을 측면 지원한다.

4. 아시아의 각국에 보내던 원조를 경제중심으로 바꾸며 여러 나라 상호 원조 방식을 강화하여 미국의 과중한 부담을 피한다.

5. 아시아의 각국이 5∼10년의 장래에는 상호안전보장을 위한 군사기구를 만들기를 기대한다.

보면 알겠지만, 닉슨 독트린은 냉전 시기 세계경찰론을 내세우며 전세계의 분쟁에 개입하던 미국이, 자신들이 직면한 대내외적인 환경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킨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여기에서 인식의 변화란 쉽게 말해 냉전 전략을 수행함에 있어서 미국의 능력을 종래에 비하여 적절한 수준으로 낮춘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미국의 인식 전환은 냉전 수행의 두 축인 유럽동아시아에 대하여 미국이 이전과 같은 적극적 역할을 맡기는 힘들다는 판단을 전제로 한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역할의 후퇴 모색은 아시아 지역에서의 공산주의 위협에 대한 미국의 위협인식의 상대적 하락도 수반하였다. 따라서 닉슨 행정부의 대아시아 정책은 미국의 소극적인 자세와 보조적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구체화되었다. 그리고 괌 독트린으로 미국은 이렇게 변화된 대아시아 정책을 공개적으로 천명하였다.

이 사건으로 데탕트 분위기가 조성되었고, 1971년 4월의 핑퐁 외교를 거쳐 1971년 7월 키신저-저우언라이 회담, 1972년 2월 닉슨-마오쩌둥 회담으로 미중 외교관계가 복원되는 기초가 되었다.[2]주한미군 감축[3], 북베트남의 남베트남 병합 등의 사건도 영향을 받게 된다. 물론 리처드 닉슨 본인은 자신이 사임하짤리지만 않았어도 베트남 문제엔 개입했을 거라고 말했지만 애초에 본인 재임 시기 베트남전은 사실상 마무리되었으니 실없는 소리긴 하다. 게다가 당시 여론을 고려해보면 말처럼 쉽지도 않았을듯.

4. 여담

닉슨 독트린은 당시 한반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는데, 당시만 해도 남북한은 서로 공작원 투입 등을 자행하며 치열한 첩보 전쟁을 수행하던 때라, 서로에게 최우방격인 미국과 중국이 닉슨 독트린 이후 정상회담을 하고 수교까지 맺는 상황을 보며 남북한 모두 엄청난 충격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국제정세는 데탕트로 불리는 냉전이 다소 수그러드는 상황으로 바뀌어 남북한도 1972년 7.4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하는 한 계기가 되었으며, 미군의 영향력 축소와 더불어 대한민국 국군의 군 장비 현대화 프로젝트인 율곡사업도 전개된다. 한편 남북한에 각각 유신헌법, 사회주의 헌법이 통과되는 배경이 되기도 하였다.
[1] 이게 상당히 중요한 내용으로 박정희를 멘붕시킨 것 역시 이 점이었다. 즉 또다시 6.25 전쟁과 같은 사건이 일어나도 미국의 도움은 기대하지 마라란 의미이기에 대한민국의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발등에 떨어진 불이나 같았다.[2] 물론 이는 중국-소련간의 이간질 목적도 있었다.[3] 실제로도 미국은 괌 독트린 이후 대한민국 서해안 지역 방어를 맡고있던 미 육군 7사단을 미 본토로 철수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