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4 14:25:51

미군/계급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bb133e> 상징 <colcolor=#000,#fff>국기 · 국장 · 국가 · 국호 · 엉클 샘 · 충성의 맹세 · 컬럼비아 · 흰머리수리 · 아메리카들소
역사역사 전반 · 13개 식민지 · 미국 독립 전쟁 · 골드 러시 · 서부개척시대 · 아메리카 연합국 · 남북 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 광란의 20년대 · 대공황 · 제2차 세계 대전 (노르망디 상륙 작전 · 태평양 전쟁 · 진주만 공습) · 냉전 · 9.11 테러
정치합중국 · 백악관 · 캠프 데이비드 · 건국의 아버지들 · 미국 독립선언서 · 미국 국회의사당 · 헌법 · 정치 · 연방정부 · 연방 행정각부 · 의회 (미국 상원 · 미국 하원) · 정당 · 행정구역 ( · 해외영토 · 도시 목록 · 주요 도시 · 주요 도시권) · 대통령 (명단) · 부통령 · 하원의장 · 지정 생존자
치안과 사법사법 전반 · 대법원 · 미국의 경찰제도 (군사화) · 보안관 · SWAT · USMS (연방보안관) · 텍사스 레인저 · DEA · ATF · 국적법 · 금주법 · FBI · ADX 플로렌스 교도소 · 사형제도 · 총기규제 논란 · 마피아 · 갱스터
선거대선 (역대 대선) · 선거인단 · 중간선거
경제경제 (월 스트리트 · 뉴욕증권거래소 · 나스닥 · 대륙간거래소 · CME 그룹 · 실리콘밸리 · 러스트 벨트) · 주가 지수 · 미국의 10대 은행 · 대기업 · 미국제 · 달러 (연방준비제도) · 취업 · 근로기준법 · USMCA · 블랙 프라이데이
국방미합중국 국방부 (펜타곤) · 육군부 · 해군부 · 공군부 · MP · MAA · SF · CID · NCIS · AFOSI · CGIS · 미 육군 교정사령부 · 미군 · 편제 · 계급 · 역사 · 훈장 · 명예 훈장 · 퍼플 하트
문제점 · 감축 · 군가 · 인사명령 · 교육훈련 · 징병제(폐지) · 민주주의/밈 · 미군 vs 소련군 · 미군 vs 러시아군 · NATO군 vs 러시아군
장비 (제2차 세계 대전) · 군복 · 군장 · 물량 · 전투식량 · MRE · CCAR · 새뮤얼 콜트 · 리처드 조던 개틀링 · 존 브라우닝 · 유진 스토너 (AR-15 · AR-18 · AR-10 · M16 VS AK-47 · M4A1 vs HK416) · M72 LAW · 리볼버 . SAA · 레밍턴 롤링블럭 · 헨리 소총 · 윈체스터 M1866 · 콜트 · M4 셔먼 · M26 퍼싱 · M1 에이브람스 · M2 브래들리 · M270 MLRS · M142 HIMARS · F-86 · 스텔스기 · F-22 · B-29 · B-36 · B-52 · AH-1 · AH-64 · 핵실험/미국 (맨해튼 계획 · 트리니티 실험 ·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 · 팻 맨 · 리틀 보이 · 비키니 섬 핵실험 · 네바다 핵실험장) · 핵가방
육군 · 해군 · 공군 · 해병대 · 해안경비대 · 우주군 · 주방위군 · 합동참모본부 · 통합전투사령부 · USSOCOM · 해외 주둔 미군 (주한미군 · 주일미군 · 한미상호방위조약 · 한미행정협정 · 미일안전보장조약 · 미국-필리핀 상호방위조약 · 람슈타인 공군기지) · AREA 51 · NATO · NORAD (산타 추적)
외교외교 전반 · 여권 · 영미권 · 상임이사국 · G7 · G20 · Quad · IPEF · G2 · AUKUS · JUSCANZ · TIAR · 미소관계 · 미러관계 · 미영관계 · 미국-프랑스 관계 · 미독관계 · 미국-캐나다 관계 · 미국-호주 관계 · 미국-뉴질랜드 관계 · 미일관계 · 한미관계 · 미국-캐나다-영국 관계 · 미영불관계 · 파이브 아이즈 · 미중러관계 · 대미관계 · 미국 제국주의 · 친미 · 미빠 · 반미 · 냉전 · 미국-중국 패권 경쟁 · 신냉전 · ESTA · G-CNMI ETA · 사전입국심사
교통아메리칸 항공 · 유나이티드 항공 · 델타항공 · 사우스웨스트 항공 · Trusted Traveler Programs (TSA PreCheck · 글로벌 엔트리 · NEXUS · SENTRI · FAST) · 교통 · 운전 · 신호등 · 주간고속도로 · 철도 (암트랙 · 아셀라 · 브라이트라인 · 텍사스 센트럴 철도 · 유니온 퍼시픽 · 캔자스 시티 서던 · BNSF · CSX · 노퍽 서던 · 그랜드 트렁크 · 마일 트레인 · 커뮤터 레일) · 그레이하운드 · 스쿨버스 · 차량 번호판 · 금문교 · 베이 브릿지 · 브루클린 대교 · 맨해튼교 · 윌리엄스버그 다리
문화문화 전반 · 스미스소니언 재단 (스미스소니언 항공우주박물관) ·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 MoMA · 아메리카 원주민 · 개신교 (청교도 · 침례교) · 가톨릭 · 유대교 · 스포츠 (4대 프로 스포츠 리그 · 프로 스포츠 리그 결승전 ·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 NASCAR · 인디카 시리즈 · 미국 그랑프리 · 마이애미 그랑프리 ·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 조깅) · 관광 (하와이 · 사이판 · ) · 세계유산 · 자유의 여신상 · 러시모어 산 · 워싱턴 기념비 · 링컨 기념관 · 타임스 스퀘어 · 월트 디즈니 컴퍼니 · 디즈니 파크 · 미키 마우스 · 스타워즈 시리즈 · 마블 시리즈 · · 브로드웨이 · 영화 (할리우드) · 미국 영웅주의 · 드라마 · 방송 · 만화 (슈퍼히어로물) · 애니메이션 · EGOT (에미상, 그래미 어워드, 아카데미 시상식, 토니상) · 골든글로브 시상식 · 요리 · 서부극 (카우보이 · 로데오) · 코카콜라 (월드 오브 코카콜라) · 맥도날드 · iPhone · 인터넷 · 히피 · 로우라이더 · 힙합 · 팝 음악
언어영어 · 미국식 영어 · 미국 흑인 영어 · 영어영문학과 (영어교육과) · 라틴 문자
교육교육전반 · 대학입시 · TOEIC · TOEFL · SAT · ACT · GED · AP · GRE · 아이비 리그 · Big Three · ETS · 칼리지 보드 ·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 Common Application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 IXL
지리스톤 마운틴 · 그랜드 캐니언
기타아메리칸 드림 · 생활정보 (사회보장번호 · 공휴일/미국 · 미국 단위계) · 급식 · 비자 · 미국인 · 시민권 · 영주권 · 미국 사회의 문제점 · 미국 쇠퇴론 · 마천루 (뉴욕의 마천루) · 천조국 · 'MURICA · OK Boomer
}}}}}}}}} ||


1. 개요2. 공통 3. 육군4. 해군5. 해병대6. 공군7. 우주군8. 해안경비대9. 현재 사용하지 않는 계급

1. 개요

미군계급장나무(뿌리-줄기-잎)와 하늘(독수리-별)을 상징한다.[1]

계급 체계가 통일되지 않아서 서로 다른 계급이 같은 명칭을 쓰는 경우[2]가 있는가 하면, 직무에 따라 같은 계급에서도 서로 다른 대우를 받고 다른 명칭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3] 그래서 대조표가 없으면 정확한 위치를 알아보기가 어렵다.

카투사로 입대했다면, 상등병일 때 Corporal이라는 부사관 취급을 받게 된다. 병장이 되면 Sergeant. 미 육군 내에서 Corporal이라는 계급은 Specialist가 진급요건을 맞췄지만 TO가 나지 않아 진급을 하지 못하는 경우, 부대 내에서 필요에 의해 부사관 권한을 주고자 할 때 달게 된다. 어떻게 보면 Sergeant보다도 달기 힘든 계급. 미군 내에서 육군 기준 병장(E-5. Sergeant.)이 되려면 최소 4년 2개월 근무한 이후에 진급하기 때문에 겨우 군생활 1년차인 병사들이 애를 먹는 경우가 꽤 많다.[4]

한국 카투사 병장(Sergeant)들이 무시받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한다. 이유인 즉슨, 대한민국 국군 내에선 병장이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1년 정도이고 어지간해선 자동으로 진급이 되지만, 미군에선 노력도 없고 운이 나쁘면 종종 진급을 못해 10년이 넘게 E4(Specialist)로 남는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진급 가능한 상태가 되더라도 BLC(Basic Leader Course, 3주 정도의 부사관 교육)을 통과하지 못하면 진급을 하지 못한다. 짬으로만 보면 미국의 E5(Sergeant)은 한국의 중사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5] 물론 본인의 실력이 출중하다면 되려 인정해주는 경우도 있으나, 한국의 징병제 병사로서 심지어 편한 복무를 위해 카투사(전투병 제외)[6] 까지 가놓고 그렇게 빡세게 하려는 사람 자체가 드물기 때문에... 미군들 사이에선 카투사 상병/병장에 대한 평이 꽤나 갈린다.[7]

다만 오해하면 안될 것이, 미군에서조차 입대자가 대학교 2년차 이내로 수료시 일병 입대, 4년제 대학 졸업시 상병(SPC)입대가 가능하므로, 대다수가 대학교 휴학생 내지 소수나마 졸업자나 대학원 휴학생/졸업생 마저 존재하는 대한민국 현역 병사들이 2년만에 병장을 다는 것은 딱히 부조리 하지 않다.[8] 심지어 전역 후 대다수가 학업을 마무리하여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만 40살 까지 예비군을 포함한 각종 의무를 지므로 의무 복무 기간만 따지면 미군을 아득히 상회한다. 이러한 배경을 똑 떼어놓고 이등병에서 병장까지 진급하는 평균기간만 놓고 한국군과 미군을 비교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이러한 오해가 만연한 이유는 군의관 등 일부 군종에 한하여 초임계급이 변화하는 비교적 기준이 딱딱한 한국군과 달리, 세계적으로 학위나 경험에 따라 입대자에게 초임 계급을 유연하게 부여하는 상식을 잘 모르는 이들이 많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계급장: 항목 참조

해안경비대 계급: 장교, 병사

장교 계급: 연방공공보건서비스부대, NOAA 파견부대

준사관 계급: 준사관

과거 미 육군 사병 계급: 항목 참조[9]

대륙군 계급장 : 항목 참조

2. 공통

E-1, E-2 같은 알파벳과 숫자는 Pay Grade이다. 같은 Pay Grade는 기본적으로 동급이지만 E-9의 최고 계급인 각군 주임원사 및 합참주임원사는 다른 E-9보다 상급이다. 같은 Pay Grade여도 계급에 따라 권한과 지위, 보직이 다르다는 뜻이다.

E는 병(Enlisted), W는 준사관(Warrant Officer), O는 장교(Officer)를 의미한다.

미군 규정상 대한민국 국군 계급도 미군 계급과 똑같이 대우하게 되어 있지만, 대한민국 국군과 미군의 여러 차이 때문에 정확히 대응되지 않는다. 미군은 입대 하자마자 바로 E-4[10]가 될 수 있고, 4년을 근무해도 E-4에 머무르는 경우도 있다. 반면, 대한민국 국군은 바로 하사로 입대하는 제도가 있긴 하지만, 입대하자마자 바로 상병이 될 수는 없고, 이등병에서 병장까지는 2년이 안되는 짧은 기간에 자동으로 진급하는 차이가 있다. 미군은 입대 후 일병으로 진급하는데 1년이 걸리고 상병으로 진급하려면 거기서 6개월이 걸린다.[11][12]

준사관의 경우에도 한국은 보직별, 군종별로 대우가 다른 반면, 미군은 2호 준위장부터 무조건적으로 장교 신분이며 계급도 무려 5개로 나뉜다. 1호 준위~ 5호 준위장까지이다. 1호 준위는 Warrant Officer - 1 이며, 2호부터는 앞에 Chief가 붙어 CWO-2가 된다.

육군에서는 E-4부터 부사관으로 취급하고, 공군에선 E-5부터다.[13] 육군은 정복도 바지에 금색 줄이 붙는 차이가 생긴다. 사실상 미군의 Corporal은 보직상으로 한국군의 병 분대장급으로 쳐줘야 한다.[14][15] 보직으로 치면 SPC는 대한민국의 병장에 해당한다. 대충 미국 병장은 한국군 중사(진)정도 짬밥이고 대신 대한민국 국군은 중사와 상사 기간이 엄청나게 길다. 미군은 그 기간이 계급으로 많이 나누어져 있다.

각군 주임원사보다 상위에 합참주임원사 계급'장'을 신설했다는 기사가 올라왔다.

3. 육군

코드계급명약칭계급장대응하는 한국군 계급 비고
E1 PrivatePV1-훈련병[16][참조]
E2 PrivatePV2파일:external/c0be2a6f0593de8df042065e5c6054710388eba0460c9af9238f4c1b2554f467.png이등병[18][19]
E3 Private First ClassPFC파일:external/428b7fc3f8e6ff49bc2006f23ca81700745cfe6930899e5acd0c5510e304b896.png일등병[20][21]
E4 SpecialistSPC파일:external/f2771158cdfd88cd00fa8c1a651cc578cb6944ab1e934ab41b5438ca1629afd0.png상등병[22][23]
CorporalCPL파일:external/908ff717270b6585d984ded2b7a60c42a74e19c414eb8f2a2da877ba93b97f1c.png상등병[24][25][26]
E5 SergeantSGT파일:external/dd2da2ec9a952be0566e113f25d96957d2f7ce6fc07b5d2a71f45f1857fea31d.png병장[27][28][29]
E6 Staff SergeantSSG파일:external/85d90c87292d3051757c6257bab826561f19f1739c71fa01674747120f1b83f6.png하사
E7 Sergeant First ClassSFC파일:external/931d403b9576ffcd4c05361b741fca9a15b3f2b19d7305820872d1bf961b692c.png중사
E8 Master SergeantMSG파일:external/eeb0bfbb720c2b56c5498a4b11476405004243a42076d1074494b29f7aca050c.png상사[30]
First Sergeant1SG파일:external/03df06319d0c493cecfe885954367ccfc5ba66806ff569862253ded0c1b5ec6e.png상사(행정보급관)[31] [32]
E9 Sergeant MajorSGM파일:external/ee1f21904e5fedfe9071b9724e04159a33b4e854e8513a235a9ce5c2ae5f331c.png원사[33]
Command Sergeant MajorCSM 파일:미육군원사계급장.png 원사
(주임원사)
[34]
Sergeant Major of the ArmySMA파일:external/51d8e8603ac81e7c60d6c1e527cbebef945e64eb30be1f32f8c03198a93e30ed.png원사
(육군주임원사)
Senior Enlisted Advisor to the ChairmanSEAC파일:B122B198-AEDC-460D-A7BE-C7343AAA5822.png원사
(합참주임원사)
W1 Warrant Officer 1 WO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US-Army-WO1.svg.png 준위 [35]
W2 Chief Warrant Officer 2 CW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US-Army-CW2.svg.png
W3 Chief Warrant Officer 3 CW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US-Army-CW3.svg.png
W4 Chief Warrant Officer 4 CW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US-Army-CW4.svg.png
W5 Chief Warrant Officer 5 CW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US-Army-CW5.svg.png
O1 Second Lieutenant2LT파일:US_Army_O1_(Army_greens).svg.png 소위 [36]
O2 First Lieutenant1LT파일:US_Army_O2_(Army_greens).svg.png 중위 [37]
O3 CaptainCPT파일:US_Army_O3_(Army_greens).svg.png 대위
O4 MajorMAJ파일:US_Army_O4_(Army_greens).svg.png 소령
O5 Lieutenant ColonelLTC파일:US_Army_O5_(Army_greens).svg.png 중령
O6 ColonelCOL파일:US_Army_O6_(Army_greens).svg.png 대령
O7 Brigadier GeneralBG파일:US_Army_O7_(Army_greens).svg.png 준장
O8 Major GeneralMG파일:US_Army_O8_(Army_greens).svg.png 소장
O9 Lieutenant GeneralLTG파일:US_Army_O9_(Army_greens).svg.png 중장
O10 GeneralGEN파일:US_Army_O10_(Army_greens).svg.png 대장

예복(구 정복)인 청색 ASU 정복에 부착하는 장교의 계급장은 병과마다 바탕의 색이 다르며, 준장부터는 병과 구분이 없어진다. 본 문단의 계급장은 2020년부터 도입된 신형 정복용이다.

4. 해군

코드계급명약칭계급장대응하는 한국군 계급 비고
E1 Seaman RecruitSR-훈련병
Hospitalman RecruitHR
Fireman RecruitFR
Airman RecruitAR
Constructionman RecruitCR
E2 Seaman ApprenticeSA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2_SM_USN.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N_-_Seaman_Apprentice.png이등병
Hospitalman ApprenticeHA
Fireman ApprenticeFA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2_FM_USN.png
Airman ApprenticeAA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2_AM_USN.png
Constructionman ApprenticeCA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2_CM_USN.png
E3 SeamanS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3_SM_USN.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px-USN_-_Seaman.png일등병 [38]
HospitalmanHN
FiremanF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_FM_USN.png
AirmanA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_AM_USN.png
ConstructionmanC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_CM_USN.png
E4 Petty Officer Third ClassPO3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PO3_NOGC.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PO3_collar.png상등병
E5 Petty Officer Second ClassPO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PO2_NOGC.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PO2_collar-2.png병장
E6 Petty Officer First ClassPO1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PO1_NOGC.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PO1_Collar_Silver_USN.png하사
E7 Chief Petty OfficerCPO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CPO_GC.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CPO_collar.png 중사 [39][40]
E8 Senior Chief Petty OfficerSCPO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SCPO_GC.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SCPO_collar.png상사
Command Senior Chief Petty Officer CMDCS파일:2000px-CMDCS.svg.png
E9 Master Chief Petty OfficerMCPO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MCPO_GC.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MCPO_collar.png원사
Command Master Chief Petty OfficerCMDCM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CMCPO.svg.png
Force Master Chief Petty OfficerFORCM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FMCPO.svg.png
Fleet Master Chief Petty OfficerFLTCM
Master Chief Petty Officer of the NavyMCPO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MCPON.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MCPON_collar.png원사
(해군주임원사)
Senior Enlisted Advisor to the ChairmanSEAC파일:미합중국 합참주임원사 계급장(해군).png파일:빈 세로 이미지.svg원사
(합참주임원사)
W1 Warrant Officer 1 WO1 파일:2000px-US_Navy_WO1_insignia.svg.png 준위
W2 Chief Warrant Officer 2 CWO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px-US_Navy_CW2_insignia.svg.png
W3 Chief Warrant Officer 3 CWO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px-US_Navy_CW3_insignia.svg.png
W4 Chief Warrant Officer 4 CWO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px-US_Navy_CW4_insignia.svg.png
W5 Chief Warrant Officer 5 CWO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px-US_Navy_CW5_insignia.svg.png
O1 EnsignENS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1_insignia.svg.png 소위
O2 Lieutenant (Junior Grade)LTJ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2_insignia.svg.png 중위
O3 LieutenantL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3_insignia.svg.png 대위
O4 Lieutenant CommanderLCDR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4_insignia.svg.png 소령
O5 CommanderCDR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5_insignia.svg.png 중령
O6 CaptainCAP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6_insignia.svg.png 대령
O7 Rear Admiral (Lower Half)RDML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7_insignia.svg.png 준장
O8 Rear Admiral (Upper Half)RADM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8_insignia.svg.png 소장
O9 Vice AdmiralVADM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9_insignia.svg.png 중장
O10 AdmiralADM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10_insignia.svg.png 대장

부사관 계급장 중단의 그림은 직별과 업무마다 다르다. 사진의 교차된 닻은 갑판병 직별이며, 다른 직별 표식은 여기를 참고.

한국군과 미군의 여러 차이 때문에 한미연합사에서 공식적으로 작성한 계급비교표와 실제 체감하는 현실이 서로 맞지 않는다. 실제 현실에서 군 생활 2년 남짓한 한국 해군 병장이 위 표대로 자신을 PO2라고 소개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미군은 훈련병에서 시작해서 하사가 되는 반면 한국군은 하사로 입대가 가능하고, 미 해군은 신병훈련을 마치면 학력과 경력에 따라 바로 E3부터 군생활이 가능하지만 교육기간 포함해서 첫 계약기간이 6년인 병과들이 주로 받는 혜택. BM(갑판병) 같은 계급은 대부분 E1 시작이다. 한국군은 이등병부터 군생활을 하는 등 서로 많은 차이가 있다.

5. 해병대

코드계급명약칭계급장대응하는 한국군 계급 비고
E1 PrivatePvt-훈련병[참조]
E2 Private First ClassPFC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2.svg.png이등병 [42]
E3 Lance CorporalLCpl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3.svg.png일등병
E4 CorporalCpl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4.svg.png상등병
E5 Sergeant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5.svg.png병장
E6 Staff SergeantS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6.svg.png하사
E7 Gunnery SergeantGy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7.svg.png중사
E8 Master SergeantM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8-MSG.svg.png상사
First Sergeant1stS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8-1SG.svg.png
E9 Master Gunnery SergeantMGy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9-MGyS.svg.png원사 [43]
Sergeant MajorSgtMaj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9-SGM.svg.png원사
(주임원사)
Sergeant Major of the Marine CorpsSgtMajMC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MC-E9-SGMMC.svg.png원사
(해병대주임원사)
Senior Enlisted Advisor to the Chairman SEAC 파일:미합중국 합참주임원사 계급장(해병대).svg원사
(합참주임원사)
W1 Warrant Officer 1 WO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USMC_WO1.svg.png 준위
W2 Chief Warrant Officer 2 CWO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USMC_CWO2.svg.png
W3 Chief Warrant Officer 3 CWO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USMC_CWO3.svg.png
W4 Chief Warrant Officer 4 CWO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USMC_CWO4.svg.png
W5 Chief Warrant Officer 5 CWO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px-USMC_CWO5.svg.png
O1 Second Lieutenant2ndL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Marine_O1_shoulderboard_vertical.svg.png 소위
O2 First Lieutenant1stL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Marine_O2_shoulderboard_vertical.svg.png 중위
O3 CaptainCap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Marine_O3_shoulderboard_vertical.svg.png 대위
O4 MajorMaj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Marine_O4_shoulderboard-2.svg.png 소령
O5 Lieutenant ColonelLtCol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Marine_O5_shoulderboard_vertical.svg.png 중령
O6 ColonelCol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Marine_O6_shoulderboard_vertical.svg.png 대령
O7 Brigadier GeneralB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Marine_O7_shoulderboard_vertical.svg.png 준장
O8 Major GeneralMaj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Marine_O8_shoulderboard_vertical.svg.png 소장
O9 Lieutenant GeneralLt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Marine_O9_shoulderboard_vertical.svg.png 중장
O10 General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Marine_10_shoulderboard_vertical.svg.png 대장

원래 육군과 해병대의 Private First Class는 같은 등급이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병 계급을 새로 추가하면서 육군은 PFC 밑에 새로운 계급을 만들고, 해병대는 PFC 위에 새 계급을 만드는 바람에 Private First Class의 Pay Grade가 서로 달라졌다. Lance(창술)나 Gunnery(포술) 같은 용어는 배에서 직접적인 전투를 담당하는 해병대의 역할에서 기인한 듯하다.

6. 공군

코드계급명약칭계급장대응하는 한국군 계급 비고
E1 Airman BasicAB-훈련병
E2 AirmanAm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2_USAF_AM.svg.png이등병
E3 Airman First ClassA1C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3_USAF_AM1.svg.png일등병[44]
E4 Senior AirmanSrA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4_USAF_SAM.svg.png상등병
E5 Staff SergeantS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5_USAF_SSGT.svg.png병장
E6 Technical SergeantT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6_USAF_TSGT.svg.png하사
E7 Master SergeantM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7a_USAF_MSGT.svg.png중사
First Sergeant1st 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7b_USAF_1STSGT1.svg.png
E8 Senior Master SergeantSM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8a_USAF_SMSGT.svg.png상사
First Sergeant1st 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8b_USAF_1STSGT2.svg.png
E9 Chief Master SergeantCM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9a_USAF_CMSGT.svg.png원사
First Sergeant1st Sg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9b_USAF_1STSGT3.svg.png
Command Chief Master SergeantCCM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9c_USAF_CCMS.svg.png원사
(주임원사)
Senior Enlisted Advisor to the Chief of the National Guard BureauSEA파일:USAF_Senior_Enlisted_Advisor_for_the_National_Guard_Bureau.svg.png 원사
(주방위군주임원사)
Chief Master Sergeant of the Air ForceCMSAF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E9d_USAF_CMSAF.svg.png원사
(공군주임원사)
Senior Enlisted Advisor to the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SEAC파일:미합중국 합참주임원사 계급장(공군).png 원사
(합참주임원사)
O1 Second Lieutenant2nd L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1_shoulderboard.svg.png 소위
O2 First Lieutenant1st L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2_shoulderboard.svg.png 중위
O3 CaptainCap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3_shoulderboard.svg.png 대위
O4 MajorMaj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4_shoulderboard.svg.png 소령
O5 Lieutenant ColonelLt Col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5_shoulderboard.svg.png 중령
O6 ColonelCol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6_shoulderboard.svg.png 대령
O7 Brigadier GeneralBrig 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7_shoulderboard.svg.png 준장
O8 Major GeneralMaj 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8_shoulderboard.svg.png 소장
O9 Lieutenant GeneralLt 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9_shoulderboard.svg.png 중장
O10 General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10_shoulderboard.svg.png 대장

원래는 공군에도 준사관이 있었다가 1980년 James H. Long 준위(CWO-4)의 전역을 끝으로 한동안 미 공군에는 준사관이 없었다. 하지만, 2024년에 공군에도 준사관을 부활시키는 계획이 세워졌다.[45]

7. 우주군

코드계급명약칭계급장대응하는 한국군 계급 비고
E1 Specialist 1Spc 1파일:미 우주군 이병.png훈련병
E2 Specialist 2Spc 2파일:미 우주군 일병.png이등병
E3 Specialist 3Spc 3파일:미 우주군 상병.png일등병
E4 Specialist 4Spc 4파일:미 우주군 상급상병.png상등병
E5 SergeantSgt파일:미 우주군 병장.png병장
E6 Technical SergeantTSgt파일:미 우주군 하사.png하사
E7 Master SergeantMSgt파일:미 우주군 중사.png중사
E8 Senior Master SergeantSMSgt파일:미 우주군 상사.png상사
E9 Chief Master SergeantCMSgt파일:미 우주군 원사.png원사
Chief Master Sergeant of the Space ForceCMSSF파일:미 우주군 주임원사.png원사
(우주군주임원사)
Senior Enlisted Advisor to the ChairmanSEAC파일:미합중국 합참주임원사 계급장(우주군).png원사
(합참주임원사)
O1 Second Lieutenant2nd L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1_shoulderboard.svg.png 소위
O2 First Lieutenant1st L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2_shoulderboard.svg.png 중위
O3 CaptainCap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3_shoulderboard.svg.png 대위
O4 MajorMaj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4_shoulderboard.svg.png 소령
O5 Lieutenant ColonelLt Col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5_shoulderboard.svg.png 중령
O6 ColonelCol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6_shoulderboard.svg.png 대령
O7 Brigadier GeneralBrig 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7_shoulderboard.svg.png 준장
O8 Major GeneralMaj 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8_shoulderboard.svg.png 소장
O9 Lieutenant GeneralLt 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9_shoulderboard.svg.png 중장
O10 GeneralGe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10_shoulderboard.svg.png 대장

2021년 2월 1일부로 계급명이 확정되었다. 공군에서 독립했고 미합중국 공군부 소속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계급명이나 계급장이 공군과 같았으나, 훈련병부터 상등병까지의 계급명을 공군의 Airman 대신 Specialist로 사용하고, 병장을 공군의 Staff Sergeant 대신 그냥 Sergeant로 호칭한다. 공군과 마찬가지로 준사관은 없다.

2021년 9월 21일 새로운 공식 미 우주군 병 및 부사관 계급장이 제정되었다. 장교는 공군과 동일하다.

8. 해안경비대

코드계급명약칭계급장대응하는 한국군 계급 비고
E1 Seaman RecruitSR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USCG_SR.svg.png- 훈련병
E2 Seaman ApprenticeSA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px-USCG_SA.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N_-_Seaman_Apprentice.png이등병
Fireman ApprenticeFA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FA.png
Airman ApprenticeAA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AA.png
E3 SeamanS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SM.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N_-_Seaman.png일등병
FiremanF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FM.png
AirmanAN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AM.png
E4 Petty Officer Third ClassPO3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PO3.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CG-PO3.png상등병
E5 Petty Officer Second ClassPO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PO2.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CG-PO2.png병장
E6 Petty Officer First ClassPO1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PO1.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CG-PO1.png하사
E7 Chief Petty OfficerCPO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CPO.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CPO_Collar.png중사
E8 Senior Chief Petty OfficerSCPO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SCPO.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SCPO_Collar.png상사
E9 Master Chief Petty OfficerMCPO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MCPO.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MCPO_Collar.png원사
Command Master Chief Petty OfficerCMC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CMC.svg.png
Master Chief Petty Officer of the Coast Guard Reserve ForceCGRF-MC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MCPOCG_%28reserve%29.svg.png
Master Chief Petty Officer of the Coast Guard AreaArea CMC
Master Chief Petty Officer of the Coast Guard DCO
Master Chief Petty Officer of the Coast Guard DCMS
Master Chief Petty Officer of the Coast GuardMCPOC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MCPOCG.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CG_MCPOCG_Collar.png원사
(해안경비대주임원사)
W2 Chief Warrant Officer 2 CWO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px-US_CG_CW2_insignia.svg.png 준위
W3 Chief Warrant Officer 3 CWO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px-US_CG_CW3_insignia.svg.png
W4 Chief Warrant Officer 4 CWO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px-US_CG_CW4_insignia.svg.png
O1 EnsignENS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CG_O1_insignia.svg.png 소위
O2 Lieutenant (Junior Grade)LTJ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CG_O2_insignia.svg.png 중위
O3 LieutenantL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CG_O3_insignia.svg.png 대위
O4 Lieutenant CommanderLCDR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CG_O4_insignia.svg.png 소령
O5 CommanderCDR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CG_O5_insignia.svg.png 중령
O6 CaptainCAPT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CG_O6_insignia.svg.png 대령
O7 Rear Admiral (Lower Half)RDML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CG_O7_insignia.svg.png 준장
O8 Rear Admiral (Upper Half)RADM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CG_O8_insignia.svg.png 소장
O9 Vice AdmiralVADM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CG_O9_insignia.svg.png 중장
O10 AdmiralADM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CG_O10_insignia.svg.png 대장

바탕색이 청색인 것과 주요 상징물이 방패라는 점만 빼면 해군과 대동소이하다. 미 해군과 동일하게 군사주특기와 결합한 계급명칭을 사용하고, 계급장에도 군사주특기를 표시한다.

준사관 중 W1과 W5에 해당하는 계급이 없다.

한국의 해양경찰청과 미국의 해안경비대는 각자 나라에서 맡는 임무가 유사하다는 점을 빼면 서로 다른 게 많은 조직이다. 일단 결정적으로 한국 해양경찰은 경찰이고, 미국 해안경비대는 군대다. 나라가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계급 체계도 인력 양성 및 임용 체계도 당연히 경찰식과 군대식으로 아예 다를 수밖에 없다.

9. 현재 사용하지 않는 계급

9.1. 원수

미군 원수 계급장
육군 해군 공군
General of the Army Fleet Admiral General of the Air Force
파일:US_Army_O11_(Army_greens).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Army-USA-OF-10.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Navy_O11_insignia.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S_Air_Force_O11_shoulderboard_with_seal.svg.png
원수 계급은 현행법상 군 최고 계급으로 평시에는 지정되지 않는 계급이다. 아래는 역대 원수 명단.

9.2. 대원수

과거에 존재했던 계급, 해군 수장이 상당히 특이한데 제독의 수장에 붙는 광선이 한 개가 더 붙는다. 역대 미군 대원수들이 계급을 수여받았던 시대에는 공군이라는 군종 자체가 없었기 때문에 공군 출신 대원수는 없다.
미군 대원수 계급장
군종 미합중국 육군 미합중국 해군 미합중국 공군
계급장 General of the Armies/Generalissimo Admiral of the Navy/Admiralissimo General of the Air Forces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Army-USA-OF-11.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US_Admiral_of_Navy_insignia.svg.png파일:6StarSleeveUSN.jpg 없음
견장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S._Army_O12_shoulderboard_rotated_%281981-2015%29.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S._Navy_O12_infobox.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S._Air_Force_O12_shoulderboard_rotated.png


[1] 자세한 내용은 군사 계급 문서 참조[2] 이를테면 Captain이라는 단어가 육군(Troop)에서는 '대위'를, 해군(Navy)에서는 '대령'을 가리킨다. 실제 각종 매체에서 오역 빈도가 상당히 높은 계급이다. 나이 지긋한 해군 대령을 대위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3] 해군·해안경비대의 사병 계급은 직별마다 제각각이다.[4] 반대로 예는 얼마나 난놈이길래 빨리 진급하냐고 놀라는 경우도 있는편[5] 옛날 영한사전에는 Corporal은 하사, Sergeant는 중사라 번역되어 있었다. 이는 영국식 영어의 영향이기도 하다. 영국군/계급 문서 참조[6] 이들은 훈련소 기간도 더 길고, 미군 보병 전투원으로서 훈련까지 다 받기 때문에 일선 한국군 전투부대 병사들보다 훨씬 강도 높고 프로페셔널한 군생활을 하는 이들이다. 물론 부조리는 적기에 정신적으로는 더 편할 수 있겠다.[7] 짬으로만 따지면 그렇긴 한데, 카투사로 오는 병사들은 나름 가려 뽑은 이들이라 대학 진학율이 높다는 한국 기준으로도 고학력자들이 많다. 반면 미군(특히 미 육군/해병대)에 사병으로 입대하는 인적자원의 질이 썩 좋지는 않다. 그래서 체력이나 미국 및 미군 문화/관습에 대한 이해도는 몰라도, 준법 의식이나 업무 능력(특히 행정 및 서류 처리 능력)은 오히려 카투사들이 미군 병사들보다 앞서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적당히 뺑끼치는 짬 2년 미만 카투사 상병장들이 짬으로는 엇비슷한 미군 Private은 물론, 짬은 상병장들보다 아득히 더 높지만 형식 상 같은 계급인 미군 Specialist/Corporal이나 Sergeant보다 사고 덜 치고 행정 능력으로 인정받는 식. 아프간/이라크전이 한참 꼬일대로 꼬여 미군의 지원율이 바닥을 찍던 2000년대 후반에는 카투사들이 문맹자인 미군 병사들에게 알파벳과 사칙연산을 가르쳤다는 썰이 종종 있을 정도이니 말 다 했다. 이러다 보니 근래 한국군에선 자국군의 병력 부족 때문에 카투사 TO를 줄이려 하지만, 미군도 인력이 널널하진 않은데다 카투사 병사들의 업무 능력을 높이 사 TO 축소에 반대하는 양상이라고 한다.[8] 되려 이들에게 일괄적으로 이등병 계급을 부여하는 것이 부조리하다고 할 수 있을 정도이다. 당장 한국군 역시 사관학교 중퇴자들은 재학년수에 따라 초임 계급이 달라져서 4학년 중퇴자는 병장계급으로 입대가 가능했다. 다만 2023년 이후 병 초임 계급 상한이 실질적으로 상병으로 제한되긴 하였다.[9] 여담으로 과거 미군의 사병 계급 체계는, 영국군의 사병 계급 체계처럼 7계급 체계였다.[10] 학사 학위 소지자. 단, 육군의 경우 부사관 취급을 받는 Corporal이 아니라 병취급을 받는 Specialist로 시작한다.[11] 미 육군 기준, 훈련병(E-1)에서 이병(E-2)으로 진급하는데 6개월. 이병에서 일병(E-3)으로 진급하는데 6개월.(입대 후 도합 1년.) 일병에서 상병(E-4)으로 진급하는데 6개월.(입대 후 도합 2년+ 일병으로 6개월. 특진시 1년 6개월) 병장(E-5)으로 진급하려면 입대 후 도합 3년 (도합 36개월+상병으로 6개월)이 걸린다.[12] 사실 대부분 국가들의 군대가 일병급으로 진급하는데만 입대 시점으로부터 8~9개월 내지는 1년이라는 세월이 걸린다. 한국군의 병 진급 조건이 상당히 빠른편이다. 그리고 해외 군대에서는 부사관이 되려면 병 생활을 모두 거쳐야만 한다. 다만, 한국은 6.25 전쟁 당시 한국군이 창설된지도 얼마되지 않아 부사관이 부족했기 때문에, 급히 부사관을 모집하여 충원하였다. 그러한 제도가 오늘날 대한민국 국군까지 이어져 오는 것이다.[13] 정확히는 육군의 E-4 계급은 병 취급을 받는 Specilist와 부사관 취급을 받는 Corporal로 나뉜다.[14] 이런 미군과 대한민국 국군의 계급 체계가 서로 이질적이고 역할도 잘 대응되지 않기에 대한민국 국군의 병 계급을 부사관과는 다른 독립적인 계급 체계로 간주하여 계급명 번역을 다르게 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가령, 육군 기준으로 상병을 'Private Upper Class'라 하고, 병장을 'Master Private'라고 한다든지. 물론 관행으로 굳어진 거라 바꾸려는 사람은 없다.
뭔가 대충 짜맞춰진 것 같은 계급대응이지만 그래도 나름의 이유가 있다. 비슷하게 징병제를 시행하는 싱가포르군에서 한국군 일등병에 대응하는 일등병은 마찬가지로 Priavate First Class로 번역하지만, 상병에 대응하는 준하사(准下士)를 Lance corporal로 번역하고, 병장에 대응되는 하사(下士)를 Corporal로 선임병장에 대응 가능한 일등하사(一等下士)를 Corporal First class로 번역한다. 대한민국 국군의 부사관 계급인 하사로 계급명이 적히고 영문도 Corporal로 번역되는데다가 하사와 일등하사 모두 나토 OR-4로 묶어서 분류되어 NCO 같지만 해당 계급들은 2년 남짓한 군생활을 하는 의무복부자들이 복무실적에 따라 얻어가는 계급인 Enlistee 즉, 병이다.
[15] NCO는 Specialist라고 칭하며, 3급중사(三级中士, 3rd Sergeant)부터 시작된다. 여기에 권한이나 책임에 대한 것 까지 따지기 시작하면 더 복잡해진다. 대한민국 국군도 마찬가지로 병장을 직역하면 Master Private이 맞겠지만 만약 분대장이 된다면 권한은 Private이 아니라 미국의 Corporal과 비슷해진다. 애초에 일대일 대응이 되질 않으니 별 수 없이 아래서부터 위로 대응시켜 나가는 것이다. 미군-대한민국 국군 외에도 타국-대한민국 국군도 적당히 절충해서 서로 OR코드를 맞춰간다. 적절하지 않은 예시지만 러시아에는 이병과 상병밖에 없다.[16] Recruit라 하기도 한다. 한국군의 훈련병과 달리 이쪽은 공식 계급으로 존재. 군복(ACU)에 아무런 계급장도 달지 않고 벨크로만 남아있기 때문에 현장에선 Fuzzy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참조] 정확히는 완전한 훈련병이라기보다는 훈련병 겸 이등병 같은 개념이다. 기초군사훈련을 수료하면 바로 이등병이 되는 한국군과는 달리 미군은 이 계급으로 6개월을 보낸다. 기초군사훈련을 수료하고 후반기교육을 받는 기간 동안 이 계급으로 지내고, 따로 후반기교육을 받지 않는 알보병들은 자대에서 한동안 이 계급으로 지내게 된다. 사실 한국군과 미군의 병, 부사관 계급을 1대1로 대응하기에는 꽤 무리수가 따른다.[18] 이 계급으로 진급하는 데 6개월이 소요된다.[19] 카투사(KATUSA)들이 후반기교육을 마치고 이등병 신분으로 자대에 배치받으면 그때부터 이 계급으로 불리게 된다.[20] 총 12개월의 TIS가 필요하며, 최소 4개월 간의 PV2 TIG가 있어야 진급 가능.[21] 카투사들이 일등병으로 진급하면 이 계급을 부여받는다.[22] 총 24개월의 TIS가 필요하며, 6개월의 PFC TIG가 필요하나 예외적으로 학사 학위 소지자들은 병으로 입대 시 이 계급으로 군 생활을 시작한다.[23] 전투복에 쓰는 저시인성 계급장은 안에 들어간 문양도 같은 색상으로 하기 때문에 가까이서 봐도 부채 모양의 검은 계급장만 보인다. 가슴에 다는 포제 계급장은 아예 생략한다.[24] 위의 Specialist(SPC)는 병 취급을 받지만, Corporal(CPL)은 공식적으로 부사관(NCO)이다. 사실상 한국군의 병 분대장으로 쳐줘도 된다. CPL은 리더십이 있거나 빠른 진급을 원하는 상병 진급자들이 주로 자원한다. 부대에 부사관이 부족하거나 SPC가 Sergeant(SGT)로의 진급 조건을 갖췄지만 TO가 나지 않을 때 이 계급을 부여하기도 한다. 이 계급이 부여되면 팀 리더(Team Leader)를 맡게된다. 4명 정도로 구성된 편제이며 우리말로 사격조라고 한다.[25] 참고로 2차 대전 때 쓰던 구 계급장의 경우 CPL 계급장 밑에 T를 달아서 썼고, Tech 5th class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라이언 일병 구하기에서 지도 제작과 통역병을 맡는 기술병과인 티모시 E. 업햄의 계급장이 그렇다.[26] 카투사들이 상등병으로 진급하면 위의 SPC가 아닌 이 계급이 부여된다. 미군 계급상으로 엄연히 부사관인 CPL 계급을 한국군 병사에게 부여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부대에 따라서는 병장 이상의 카투사들에게 어느 정도 책임을 부여하기도 한다.[27] 총 34개월의 TIS와 12개월의 TIG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 계급부터 자동적인 진급이 아닌 평가로 인한 진급이 이루어진다.[28] Sergeant는 미군의 하사 계급을 뜻하기도 하지만 부사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부사관을 뜻하는 또 다른 영어 표현으로는 NCO(NonCommisioned Officer)가 있다. 참고로 미군에서 상관에게 말을 해야 할 일이 생기면 부사관에게는 말끝마다 "Sergeant"라고 해야하며 장교에게는 성별에 따라 "Sir" 혹은 "Ma'am"을 붙여야 한다. 물론 친하면 그냥 LT라고 불러댄다. 우리말로 소댐 정도의 뉘앙스.[29] 카투사들이 병장으로 진급하면 이 계급을 부여받지만 미군의 경우 최소 3년의 경력이 있어야 진급가능하며 기타 갖춰야할 요건도 많고 보통 5년은 걸리는 바 1년 남짓 시간만 때우는 한국군 병장과 비교불가이다.[30] 최소 20년 이상의 군 경력을 가져야 진급이 가능하며 개편된 한국군 부사관 계급 체계에 비추어볼때 원사로 봄이 타당하다.[31] 행정보급관을 맡는다.[32] 직역하면 '일등상사' 정도로 해석된다.[33] 카투사들을 관리 및 감독하는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에는 지원대와 지원반이라는 편제가 존재하는데, 보통 상사가 직책을 맡는 지원반장은 Master Sergeant라고 불려야 하겠지만 카투사들을 총괄한다는 점에서 미군들은 이 계급으로 불러준다.[34] 대한민국 국군은 휘장으로 구분[35] 한국군 준위와는 다르게 5개의 계급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WO-1까지는 사병 계급 취급이며, 앞에 C가 붙는 CWO-2, 즉 2호 준위장부터는 장교 신분으로 취급되며 권한, 의복이나 의전, 각종 호칭 및 경례를 장교와 동일하게 받는다.[36] 일명 버터바. 한국군에서 짬찌 소위를 쏘가리라고 부르듯 미군에서는 버터바라고 부른다.[37] 여담으로 한국군 이등병 계급장과 비슷해서 카투사들이 계급장을 돌려달고 중위로 셀프 초고속 진급하는 장난을 치는 경우가 제법있다. 뒤의 대위도 일병계급장과 유사하여 종종 장난을 치기도 하는편 가끔 미군이 이런 장난을 시행하는 경우도 있는편.[38] 학사 학위를 취득한 뒤에 입대하면 해당 계급으로 시작한다.[39] 미 해군은 CPO부터 장교와 유사한 형태의 근무복을 입는다. PO1까지는 수병과 동일한 복장. 한국 해군도 과거에는 중사까지 수병과 동일한 복장을 하였다.[40] 한국 해군에서 CPO라고 하면 원사/상사를 지칭함. 한국 해군 중사들은 외국 해군에 자신을 CPO라고 소개하지 않음.[참조] [42] 학사 학위 소지자가 입대하면 이 계급으로 시작한다고 한다. 그냥 한국 해병대의 미국 버전이라 보면 될 듯 하다.[43] 계급장 중앙의 표식이 마치 파인애플처럼 생겼기 때문에 넷상에서 해당 계급명인 Master Gunnery Sergeant 또는 MGySgt에 Pineapple을 덧붙여 검색하면 관련된 여러 밈을 찾아볼 수 있다. 참고로 계급장 중앙의 실제 표식은 과거 전열보병 시절 사용했던 수류탄의 심지가 불타 들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게임 봄버맨에 나오는 그런 폭탄을 생각하면 된다.[44] 학사 학위가 있으면 E-4(상등병)부터 시작하는 육군과는 다르게, 공군에서는 학사 학위가 있어도 병으로 입대하면 이 계급부터 시작하게 된다.[45] https://www.airandspaceforces.com/air-force-warrant-officer-cyber-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