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라 왕릉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 혁거세왕릉(오릉) | |||
| 파사왕릉(오릉) | 지마왕릉 | 일성왕릉 | 아달라왕릉(배동 삼릉) | |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 미추왕릉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 내물왕릉 또는 인교동 119호분(다수설) 황남대총(소수설) | 인교동 119호분(소수설) | 황남대총(다수설) | 봉황대(다수설) | |
| 서봉황대(다수설) | 인교동 134호분(다수설) | 법흥왕릉 | 진흥왕릉 | |
| 진지왕릉 | 진평왕릉 | 선덕여왕릉 | 진덕여왕릉 | |
| 무열왕릉 | 문무대왕릉(대왕암) | 신문왕릉 | 효소왕릉 | |
| 성덕왕릉 | 효성왕릉 | 경덕왕릉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원성왕릉(괘릉)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 헌덕왕릉 | 흥덕왕릉 | 희강왕릉 | 민애왕릉 | |
| 신무왕릉 | 문성왕릉 | 헌안왕릉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 헌강왕릉 | 정강왕릉 | 현재 소재 파악 불가 | 효공왕릉 | |
| 신덕왕릉(배동 삼릉) | 경명왕릉(배동 삼릉) | 경애왕릉 | 경순왕릉 | |
| 수장급 능묘 대릉원(금관총 · 금령총 · 봉황대 · 서봉총 · 식리총 · 천마총 · 호우총 · 황남대총) 금척리 고분군 ·서악동 고분군 구정동 방형분 · 소현리 석실분 · 신당리 석실분 · 김유신장군묘 · 김인문묘 · 김양묘 · 설총묘 | ||||
| {{{#!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경주 포석정지
1.#26 경주 원성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1.#76
[9]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7호로 재지정[10]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8호로 재지정[11]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제275호로 재지정[12] 울산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8호로 재지정[13]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제276호로 재지정[B] 사적 제510호 고령 사부동과 기산동 요지로 통합, 재지정[B] [C] 사적 제513호 나주 반남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C] [C] [D] 사적 제514호로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D] [E] 사적 제515호 함안 말이산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E]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서울 삼전도비
1.#126 진도 용장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하동 고소성
1.#176 경주 법흥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1 서울 태릉과 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여주 파사성
1.#276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
[27] 사적 제520호 서울 용산신학교와 제521호 서울 원효로 예수성심성당으로 분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부여 정림사지
1.#326 합천 옥전 고분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파주 오두산성
1.#376 속초 조양동 유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괴산 미륵산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화성 마하리 고분군
1.#476 경주 황성동 고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보령 충청수영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56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제5로 직봉 - 고흥 마북산 봉수 유적
[37] 내동리 쌍무덤.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 4기 총 5기 | }}}}}}}}}}}} |
| | |
| 경주 희강왕릉 慶州 僖康王陵 Tomb of King Huigang, Gyeongju | |
| <colbgcolor=#315288><colcolor=#fff>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망성리 34번지 |
| 분류 | 유적건조물 / 무덤 / 왕실무덤 / 고대 |
| 면적 | 9,494㎡ |
| 지정연도 | 1971년 4월 28일 |
| 시대 | 통일신라 희강왕 |
| 소유단체 | 국가유산청 |
| 관리단체 | 경주시 |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
| 희강왕릉(僖康王陵) |
1. 개요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에 위치한 신라 제43대 국왕 희강왕의 능. 1971년 대한민국의 사적으로[1] 지정되었다.2. 상세
사진으로 봐도 알겠지만, 굉장히 무색무취한 것이 특징이다. 희강왕릉을 알리는 표석이 없으면 크기만 좀 큰 일반 백성의 무덤이나 야트막한 구릉으로 착각할 정도로 왕릉치고 아무것도 없다. 아무래도 재위기간이 고작 1년 1개월 밖에 안 되는 임금인데다, 최후 또한 불분명할 정도로 혼란스러웠던 당대의 사회상이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다만 여느 신라왕릉들이 다 그렇듯 이 무덤도 진짜 희강왕릉이라고 보는 경우는 거의 없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희강왕을 소산(蘇山)에 장사지냈다는 기록이 남아있는데, 이 소산의 위치가 정확히 어디인지에 대해 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진짜 희강왕릉에 대해서는 여러 고분들이 거론되는데, 능지탑[2]의 십이지신상이 희강왕릉 석물이라는 설부터, 전 경덕왕릉이 진짜 희강왕릉이라는 설도 있다.
3. 사적 (구 사적 제220호)
신라 43대 희강왕(836∼838)의 무덤이다. 그는 재위기간이 3년밖에 되지 않아 별다른 업적은 보이지 않는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왕이 죽자 소산에 장사지냈다고 하나 그 지점은 알 수 없다.
지름 14m, 높이 3.4m의 이 무덤은 얕은 구릉의 중간 부분에 있으며, 흙을 쌓아 올린 둥근 무덤으로 높이에 비해 아랫부분이 넓은 편이다. 희강왕릉의 무덤이라고만 전해 내려오다가 조선 후기에 희강왕릉으로 지목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무덤은 크기만 클 뿐 일반 백성의 무덤과 비슷하며 특징은 없다.
※(희강왕릉 → 경주 희강왕릉)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지름 14m, 높이 3.4m의 이 무덤은 얕은 구릉의 중간 부분에 있으며, 흙을 쌓아 올린 둥근 무덤으로 높이에 비해 아랫부분이 넓은 편이다. 희강왕릉의 무덤이라고만 전해 내려오다가 조선 후기에 희강왕릉으로 지목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무덤은 크기만 클 뿐 일반 백성의 무덤과 비슷하며 특징은 없다.
※(희강왕릉 → 경주 희강왕릉)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