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개경 | ||||||||||||
만월대 / 개경 본궐 | 수창궁 | 북천동궁 | 수춘궁 | 연경궁 | 명복궁 | 양화궁 | 현덕궁 | 북궁 | |||||
승천부 | 강도 | 서경 | 동경 | ||||||||||
승천궐 | 고려궁지 / 강도 본궐 | 서궁 | 장락궁 | 대화궁 | 용덕궁 | 구제궁 | 좌우궁궐 | 조유궁 | |||||
남경 | 동주 | 그 외 | 사찰 내 재궁 | ||||||||||
남경 별궁 | 태봉국 철원성 | 만월대 내 별궁 | 고려의 궁원 | 남궁 | 의종 대 별궁 | 삼소궁궐 | 흥왕사 | 안화사 |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태봉국 철원성 | 개경 본궐 | 강도 본궐 | 연경궁 | 수창궁 |
※ 서경 장락궁은 법궁이 아니었지만 격식이 법궁과 일치했다. |
고려궁지 | |
1. 개요
고려 왕조 후기 고종 시기에 강화도에 건축된 궁궐터로 추정되는 유적 일대.고려가 개경으로 환도한 뒤 있던 궁성 다수가 철거됐고, 잊혀졌다. 고려 멸망 후 조선 왕조에선 강화유수부 동헌 겸 유사시 강화행궁으로 사용했다. 현재 인천시 강화군 강화읍에 있고 사적 제133호로 지정됐다. 꽤 경사가 가파른 곳에 위치해 있고 주변에는 상가와 주차장 매표소 등이 있다.
2. 고려왕조
무신정권 집권자 최우가 주도해 지었고 몽고와 전쟁 당시 본궐과 별궁 일대로 쓰였다.13세기, 고려와 몽골간의 사이는 갈수록 나빠졌고 몽고의 침입이 거세지자 고종 19년(1232) 2월에 최우는 조정의 원로를 모아 천도를 의논했고 5월까지 계속 논의하다 결국 6월, 최우는 먼저 강화도로 간 뒤 고종을 불러왔다. 천도 논의에서 고종이 얼마나 관여했는지는 미상이지만, 임금을 제멋대로 부른 최우의 권력은 상상을 초월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6월 말, 고종은 강제로 강화도로 갔고 아직 살아 있던 희종의 왕후 등 왕족이 따라갔다. 세조, 태조의 묘지를 강화도로 이장했다.[1] 당시 양광도(楊廣道) 강화현(江華縣)이었던 강화도의 주소를 바꾸어 강도(江都) 강화군(江華郡)으로 올렸다.
개경은 그래도 오랫동안 수도였던 만큼 완전히 버리지 못해 강도로 옮겨간 귀족, 고위 관료 등 고위층을 계속 개경으로 보내 지키게 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재위 35년(1248)에 멈추면서 개경은 초토화되었다.
2년 뒤 재위 21년(1234) 1월에 최우는 각 도에 사람을 뽑아 궁궐과 성곽을 쌓았다. 2월에 본궐, 별궁, 관아, 대전, 침전, 편전 등을 완공하였고 이때는 개경에 있던 궁과 원의 이름을 그대로 따다 붙였다.
재위 37년(1251)에 강도로 천도한 지 19년 만에 겨우 임금의 가마가 완성됐고 호위대가 편성되었다. 그전까진 고종은 말을 타거나 임시 가마에 들려서 군인들의 무작위 보호 하에 있었는데 이제서야 가마와 호위대가 정비된 것이다. 얼마나 나라가 혼란스러웠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원종 11년(1270) 몽골 제국과 화친을 맺고 다시 개경으로 환도, 38년간의 강화도 천도를 청산하면서 일부만을 남기고 궁궐과 편전, 성곽은 철거했고 일부 부전(副殿)만이 남아 있다.
2.1. 주요 건축
2.1.1. 외성(外城)
고종 24년(1237) 고려사는 이 해에 강화외성(江華外城)을 쌓았다고 기록했다. 개경 본궐의 나성(羅城)과 같은 역할을 하는 성이다.2.1.2. 중성(中城)
고종 37년(1250) 고려사는 이 해에 약 3천 칸에 달하는 강도중성(江都中城)을 쌓았다고 한다. 무신정권 집권자인 최항이 주도하여 쌓았는데, 그의 묘지명엔 황도중성(皇都中城)라고 적혔다. 중성은 개경 본궐의 황성(皇城)의 격이며 토성(土城)이었다.2.1.3. 내성(內城)
처음 강화도로 왔을 때 최우가 쌓은 성으로 보이며 고려사에선 강도내성(江都內城)이라고 했다. 개경 본궐의 궁성(宮城)의 격인 듯하다.2.1.4. 궁궐
- 본궐
- 수창궁
- 태자궁
- 여정궁(麗正宮)
- 용암궁(龍巖宮)
- 제포궁(梯浦宮)
- 서궁(西宮)
- 금단동궁(今旦洞宮)
- 장봉궁(長峯宮)
2.1.5. 기타 건축
제2정전인 대관전 등 강도(江都)로 천도 후 대부분 건축에 개경 건축물의 이름을 붙인 듯하다.- 구정(毬庭)
- 승평문(昇平門)
'人與栢孰重!'
'사람과 잣나무 중에 어느 것이 더 소중한가!'
- 고려사 최이 열전 中.
'사람과 잣나무 중에 어느 것이 더 소중한가!'
- 고려사 최이 열전 中.
- 강안전(康安殿)
- 약사전(藥師殿)
2.1.6. 사찰
- 묘통사(妙通寺), 왕륜사(王輪寺), 흥국사(興國寺), 현성사(賢聖寺), 봉은사(奉恩寺), 건성사(乾聖寺), 복령사(福靈寺)
- 구요당(九曜堂)
2.1.7. 기타 건물
- 제포관(梯浦館)
- 곤릉(坤陵)
고종의 능.
- 창릉(昌陵)
- 현릉(顯陵)
- 국자감(國子監)
- 대장경판당(大藏經板堂)
- 태묘(太廟)
- 경령전(景靈殿)
- 대학(大學)
3. 조선왕조
조선 시대에도 고려궁지가 활발히 사용되어 유수부나 행궁이 세워지기도 했다.3.1. 강화유수부
고려왕조 때에는 강도 본궐이 있었으리라 추정하는 자리에 조선 때는 한양을 방어하는 5대 유수부 중 강화 유수부(江華 留守府)가 들어섰다. 이 자리에 이후 강화행궁이 추가로 건립되었다.3.2. 강화행궁
조선은 강화도의 방어 기능을 눈여겨보고 효종 때부터 북벌을 주장하며 강화도를 둘러싼 강화외성과 강화산성을 쌓았고, 숙종 때엔 장녕전과 행궁을 세웠다. 자세한 건 강화행궁 문서를 참조.[3]4. 대한민국
2000년대에는 외규장각을 복원하였다. 최근 연구에 의해 고려궁지의 위치가 현 위치인가에 대해서 논란이 있다. 고려왕궁 건물지나 관련 유물이 전혀 발굴되지 않았기 때문.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경주 포석정지
1.#26 경주 원성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1.#7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서울 삼전도비
1.#126 진도 용장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하동 고소성
1.#176 경주 법흥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서울 태릉과 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여주 파사성
1.#276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
[26] 사적 제520호 서울 용산신학교와 제521호 서울 원효로 예수성심성당으로 분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부여 정림사지
1.#326 합천 옥전 고분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파주 오두산성
1.#376 속초 조양동 유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01 괴산 미륵산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51 화성 마하리 고분군
1.#476 경주 황성동 고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01 보령 충청수영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56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대구 팔거산성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