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17:57:14

호로고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344c3c> 서울특별시 배봉산 보루 · 북한산성[A] · 불암산성[A] · 아차산 일대 보루군[A] · 아차산성 · 탕춘대성 · 호암산성
경기도 남한산성 · 당항성 · 도기동 목책성 · 독산성 · 문수산성 · 반월성 · 북한산성[B] · 불암산성[B] · 아차산 일대 보루군[B] · 이성산성 · 파사성 · 죽주산성 · 행주산성 · 호로고루
인천광역시 강화산성(강화석수문)강화중성 ·강화외성정족산성 · 계양산성
충청북도 단양 적성 · 덕주산성 · 삼년산성 · 상당산성 · 온달산성 · 장미산성 · 충주산성
충청남도 공산성 · 부여 가림성 · 부여 나성 · 부소산성 · 영인산성
전북특별자치도 동고산성 · 미륵산성 · 위봉산성 · 우금산성
전라남도 자미산성 · 마로산성 · 검단산성 · 봉대산성
광주광역시 무진고성
경상북도 가산산성 · 가야산 산성 · 금돌성 · 금오산성 · 명활성 · 주산성
대구광역시 달성 · 용암산성 · 초곡산성 · 팔거산성
경상남도 고성 만림산 토성 · 분산성 · 우불산성 · 화왕산성 · 갈마봉산성 · 자마산성 · 제덕토성
부산광역시 금정산성
울산광역시 관문성
강원특별자치도 영원산성 · 정양산성
[A]: 경기도와 겹침. [B]: 서울특별시와 겹침.
행정구역은 현재 대한민국 기준
읍성 조창성  차단성・관문  왜성
}}}}}}}}}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史蹟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26 경주 원성왕릉
  1. 경주 구정동 방형분
  2. 경주 성덕왕릉
  3. 경주 헌덕왕릉
  4. 경주 흥덕왕릉
  5. 경주 감은사지
  6. 서울 독립문
  7. 서울 영은문 주초
  8. 부여 청마산성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부산일본성}}}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마산일본성}}}
  1. 평창 오대산사고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노동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노서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황남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황오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인왕리고분군[A]}}}
  1. 경주 금척리 고분군
  2. 부여 군수리 사지
  3. 경주 장항리 사지
  4. 경주 원원사지
  5. 경주 명활성
  6. 관문성
  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승주신성리성[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사천성진리성[7]}}}


[A] 사적 제512호 경주 대릉원 일원으로 통합 재지정[A] [A] [A] [A] [6] 전라남도 기념물 171호로 재지정[7]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274호로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기장죽성리성[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웅천안골리성[10]}}}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생포성[11]}}}
  1. 영주 소수서원
  2. 고양 행주산성
  3. 남한산성
  4. 부여 나성
  5. 부여 청산성
  6. 서천 건지산성
  7. 고령 주산성
  8. 대구 달성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물금증산성[12]}}}
  1. 창녕 화왕산성
  2. 창녕 목마산성
  3. 김해 분산성
  4. 함안 성산산성
  5. 강진 고려청자 요지
  6. 부안 유천리 요지
  7. 부안 진서리 요지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산사부동도요지[B]}}}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산기산동도요지[B]}}}
  1. 김해 수로왕릉
  2. 김해 수로왕비릉
  3. 김해 구산동 고분군
1.#7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나주신촌리고분군[C]}}}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나주덕산리고분군[C]}}}
  1. 고령 지산동 고분군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창녕교동고분군[D]}}}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창녕송현동고분군[D]}}}
  1. 경주 천군동 사지
  2. 서울 선잠단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함안도항리고분군[E]}}}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함안말산리고분군[E]}}}
  1. 성주 성산동 고분군
  2. 익산 쌍릉
  3. 경주 성동동 전랑지
  4. 부여 석성산성
  5. 예산 임존성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주 성산성}}}
  1. 익산 토성
  2. 양산 북정리 고분군
  3. 양산 신기리 고분군
  4. 양산 중부동 고분군
  5. 경주읍성
  6. 양산 신기리 산성
  7. 양산 북부동 산성
  8. 부여 쌍북리 요지
  9. 양산 법기리 요지


[8] 부산광역시 기념물 47호로 재지정[9]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8호로 재지정[10]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75호로 재지정[11]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호로 재지정[12]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76호로 재지정[B] 사적 제510호 고령 사부동과 기산동 요지로 통합, 재지정[B] [C] 사적 제513호 나주 반남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C] [C] [D] 사적 제514호로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D] [E] 사적 제515호 함안 말이산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E]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서울 삼전도비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만인의총[22]}}}
  1. 부안 구암리 지석묘군
  2. 남원 황산대첩비지
  3. 금산 칠백의총
  4. 구례 석주관 칠의사묘
  5. 강진 정약용 유적
  6. 산청 목면시배 유지
  7. 아산 맹씨 행단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저오리정계석표}}}
  1. 김제 벽골제
  2. 아산 이충무공묘
  3. 통영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
  4.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5. 수원 화령전
  6. 서산 해미읍성
  7. 경복궁
  8. 진주성
  9. 고성 송학동 고분군
  10. 고성 내산리 고분군
  11. 사직단
  12. 창덕궁
  13. 창경궁
  14. 덕수궁
  15. 종묘


[22] 사적 제272호 남원 만인의총으로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하동 고소성
  1. 함양 사근산성
  2. 울주 언양읍성
  3. 경주 옥산서원
  4. 아산 이충무공 유허
  5. 부여 증산성
  6. 환구단
  7. 경주 문무대왕릉
  8. 경주 이견대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울 살곶이 다리[23]}}}
  1. 경주 동부 사적지대
  2. 북한산성
  3. 경주 낭산 일원
  4. 진주 평거동 고분군
  5. 고령 고아리 벽화고분
  6. 정읍 무성서원
  7.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
  8. 원주 거돈사지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창녕 영산 석빙고[24]}}}
  1. 안동 도산서원
  2. 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
  3. 경주 오릉
  4. 경주 일성왕릉
  5. 경주 탈해왕릉
  6. 경주 미추왕릉


[23] 보물 제1738호로 지정변경[24] 보물 제1739호로 지정변경[25] 사적 제517호 경주 진지왕릉과 제518호 경주 문성왕릉으로 분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76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
  1. 서울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
  2. 구 서울대학교 본관
  3. 구공업전습소본관
  4. 한국은행 본관
  5. 서울 중앙고등학교 본관
  6. 서울 중앙고등학교 서관
  7. 서울 중앙고등학교 동관
  8. 구 서울역사
  9. 서울 고려대학교 본관
  10. 서울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11. 인천 답동성당
  12. 전주 전동성당
  13. 구 목포 일본영사관
  14. 대구 계산동성당
  15. 창원 진해우체국
  16. 김포 덕포진
  17. 정읍 전봉준 유적
  18. 전주 남고산성
  19. 정읍 황토현 전적
  20. 서울 관상감 관천대
  21. 서울 몽촌토성
  22. 남원읍성
  23. 화성 제암리 3·1운동 순국 유적
  2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산임당동고분군[F]}}}


[26] 사적 제520호 서울 용산신학교와 제521호 서울 원효로 예수성심성당으로 분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부여 정림사지
  1. 순천 낙안읍성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광한루원[2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담양소쇄원[29]}}}
  1. 산청 조식 유적
  2. 강화 갑곶돈
  3. 보령 성주사지
  4. 완도 청해진 유적
  5. 남원 실상사
  6. 해남 진산리 청자 요지
  7. 경주 남산 일원
  8. 화순 운주사지
  9. 영주 순흥 벽화고분
  10. 광주 조선백자 요지
  11. 청주 흥덕사지
  12. 서산 보원사지
  13. 충주 미륵대원지
  14. 익산 나바위성당
  15. 청주 신봉동 고분군
  16. 울산 경상좌도병영성
  17. 보령 죽도 해저유물 매장해역
  18. 함양 황석산성
  19. 파주 윤관장군묘
  20.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2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진천산수리백제요지[G]}}}
1.#326 합천 옥전 고분군
  1. 창원 다호리 고분군
  2. 경주 용강동 고분
  3. 용인 서리 고려백자 요지
  4. 서울 효창공원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산조영동고분군[F]}}}
  1. 울주 검단리 유적
  2. 공주 학봉리 요지
  3. 공주 석장리 유적
  4. 통영 연대도 패총
  5. 구미 낙산리 고분군
  6. 나주읍성
  7. 영암 구림리 요지
  8. 전주 경기전
  9. 경주 천관사지
  10. 김해 대성동 고분군
  11. 군포 산본동 조선백자 요지
  12. 서울 호암산성
  1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진천삼용리백제토기요지[G]}}}
  1. 고창 용계리 청자 요지
  2.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3. 익산 입점리 고분
  4. 봉화 태백산사고지
  5. 남원 만복사지
  6. 경주 구정동 고분군


[28] 명승 제33호로 지정변경[29] 명승 제40호로 지정변경[G] 사적 제 511호 진천 산수리와 삼용리 요지로 통합 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33] 명승 제34호로 지정변경[34] 명승 제35호로 지정변경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35] 명승 제36호로 지정변경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56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대구 팔거산성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467호
연천 호로고루
漣川 瓠蘆古壘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소재지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 1257-1번지 등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면적 107,258㎡
지정연도 2006년 1월 2일
제작시기 [1]
위치
}}}}}}}}} ||
파일:호로고루.jpg
<colbgcolor=#344c3c> 연천 호로고루 전경[2]
1. 개요2. 조사 내용3. 역사4. 관련 유적5. 관광지로서6. 외부 링크7. 사적 제467호8. 관련 문서

1. 개요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에 위치하는 고구려 보루. 사적 제467호. 5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

얼핏 생소하게 들리는 '호로'라는 명칭은 보루를 애워싸 흐르는 임진강의 옛 이름인 '호로하(瓠瀘河)'에서 따온 것으로, 호로하에 있는 오래된 보루라는 뜻으로 호로고루라고 불리게 되었다.

2. 조사 내용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3]에서 1990년대부터 2014년, 2016년에 걸쳐서 조사한 고구려의 보루이다. 평면 이등변삼각형의 구조를 띠고 있는데, 사실 성벽이라고 말할 만한 건 동벽 단 하나뿐이다. 나머지 북쪽과 남쪽의 벽은 임진강, 한탄강의 용암절벽 그대로를 성벽으로 삼아서 공력을 줄였다.

대체로 토축이 주된 성벽의 구성방식이지만 일부구간에는 외면에 석축으로 보강한 곳도 있다. 또한 토축이라고 하지만 정확하게는 토축 가운데에 석축으로 심주를 둔 방법을 택하였다.

성 내부는 평탄한 지대로 감시초소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되는 주혈건물지와 고구려 때의 생활의 흔적, 그리고 고려시대의 건물지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고구려의 연화문 와당이 다량으로 출토되었는데, 장군총에서 나오는 와당부터 평양성에서 나오는 와당과 닮은 것이 많아서 호로고루의 중심적 운영연대는 역시 5세기대의 고구려 남진 정책의 산물로써 파악되고 있다.

고구려의 와당은 관아가 있는 건물에만 쓰였다라는 기록을 통해 볼 때, 이 임진강, 한탄강 대치라인에서 호로고루가 중요한 거점이었음을 추론하게 해주는 자료이다.

호로고루처럼 이등변삼각형의 평면형태를 보이는 보루들은 덕진산성(확인 要), 은대리성이 있다. 모두 와당이 나오는 거점 보루이다. 이 거점 보루들 간의 거리는 비교적 등간격이고 그 주변으로 더 작은 보루들이 임진강, 한탄강을 따라서 펼쳐져 있는데 농담이 아니라 거점보루를 대대본부, 작은 소형보루들은 작계 진지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또 이 거점 보루들의 특징으로 도하(徒河), 도섭(徒涉)이 용이한 지점에 설치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지금 현재 고구려 보루들이 그러한 입지에 보루를 설치하였다는 것은 주도권을 잡았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런 전략적 입지선택을 바탕으로 고구려가 효과적으로 임진강, 한탄강 전선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다고 파악하기도 한다.

여담으로 흙으로 만든 이 출토되었다. 북 조각에는 '상고(相鼓)'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는데, 고구려의 고분벽화에서 보이던 북으로 추정된다. #

3. 역사

광개토대왕의 남진 사업과 그를 계승한 장수왕대의 남진은 475년 일국의 수도를 점령하는 데까지 성공한 계획적인 진출이었다. 단계적으로 그 구분이 나뉘는데, 1. 황해도 일대의 점령, 2. 임진강·한탄강 유역 진출, 3. 양주 분지 진출, 4. 아차산 일대 진출, 5. 한성 공략의 과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광개토대왕 대의 남진으로 황해도 일대가 고구려의 수중에 들어갔으며 황해도 일대에는 구월산성, 장수산성 등의 대규모 포곡식 산성을 건설하여 통치 거점으로 삼았다. 이를 발판으로 임진강 일대에 전선을 형성하는 데에 성공한 것으로 이 임진강 일대의 보루군들은 그러한 과정의 증거이다. 임진강 권역 아래의 고구려 보루들은 모두 여기 임진강 유역의 거점 보루만큼 크지 않다. 되려 연천 무등리 보루처럼 비교적 소형인 형태로 주로 구성되고 있다는 점에서 마치 현대의 군대 편제 마냥 사단 - 대대 - 중대 및 각급 소대 진지와 같은 구성으로 아차산까지 진출한 끝에 목표 대상인 풍납토성몽촌토성을 점령한 것이라 보면 될 것 같다.

한편 이 고구려 보루들은 남진의 성공으로 필요가 없어진 뒤 몇몇 주요 거점들에 한해서만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었고 추후 신라 진흥왕대에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에 즈음하여 다시 대 신라 방어선으로 재활용된다. 지금도 임진강에는 고구려 산성과 신라 산성이 대치하는 구도 그대로 발굴되는 양상이다.

4. 관련 유적

남한지역의 고구려 성곽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임진강·한탄강 유역 고구려 보루군 <colbgcolor=#ffffff,#1f2023>연천 호로고루ㆍ연천 당포성ㆍ연천 은대리성ㆍ연천 무등리 1·2보루ㆍ파주 덕진산성
양주분지 고구려 보루군 양주 태봉산 보루ㆍ양주 독바위 보루ㆍ양주 천보산 보루군ㆍ양주 불곡산 보루군ㆍ양주 도락산 보루군
아차산 일대 보루군 아차산 보루ㆍ용마산 보루ㆍ홍련봉 보루ㆍ시루봉 보루ㆍ수락산 보루ㆍ망우산 보루
불암산 보루ㆍ배봉산 보루[a]
한강 이남 고구려 점령 성곽 서울 몽촌토성안성 도기동 목책 유적ㆍ대전 월평동 산성ㆍ청원 남성골 산성ㆍ진천 대모산성[b]충주 장미산성[b]
[ 각주 ]

[a] 아차산 일원은 아니지만 서울 권역에 소재[b] 축조와 점령의 주체에 대해서 고구려, 백제, 신라 모두가 거론되고 있는 상태이다. 그나마 대모산성에는 치 시설이있어 고구려라고도 하지만 수 킬로 둘레를 갖는 큰 성벽에 치는 단 1개만 있을 뿐이다.[b]
}}}}}}}}}


남한 지역에 있는 고구려 유적은 산성과 고분군으로 나뉜다. 90년대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고구려 유적에 대한 인식은 당연히 남한엔 거의 없다고[4] 보았었으나 지표조사와 발굴조사가 이루어지면서 점차 그 알려지게 되었다. 남한 내 고구려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 철기의 편년은 5세기 중엽에서 6세기 중반경으로 판단되고 있으며 역사적 맥락으로도 장수왕의 남진정책에 따라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5]
임진강 유역, 삼각형 모양의 자연절벽 위에 자리한 고구려 서남쪽 국경요새들(영상)_ 연천 은대리 성 ~ 당포성 ~ 호로고루

5. 관광지로서

고구려 관련 전시관, 하늘계단, 해바라기밭이 있어 방송 촬영도 했고, 특히 하늘계단에 올라가면 임진강 주상절리 등, 넓은 평야를 볼 수 있다. 간혹 통일바라기 행사도 한다.#

6. 외부 링크

7. 사적 제467호

호로고루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효종 7년(1656)에 편찬된 『동국여지도』 이며 이책에는 호로고루가 삼국시대의 유적임이 명시되어 있고 최초의 학술조사 기록은 1919년에 발간된 『조선고적조사보고』이다. 이 보고서에는 도면과 함께 사진을 싣고 있으며 삼국시대 성으로서의 중요성이 기술되어 있다. 그 후 1991년부터 2003년 사이 본격적인 학술조사 및 발굴조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성의 형태는 북동쪽에서 남서 방향으로 흐르는 임진강에 접한 현무암 천연절벽의 수직단애 위에 있는 삼각형의 강안평지성(江岸平地城)이다. 성벽의 전체둘레는 성의 가장자리를 따라 재었을때 약 400여m이고, 그중 남벽은 161.9m, 북벽은 146m이며, 동벽은 현재 남아있는 부분이 93m이고 성내부는 전체적으로 해발 22m, 성벽 최정상부는 30m 정도이다. 성벽 중 가장 높은 동벽 정상부와 서쪽 끝부분에는 장대(將臺)가 설치되었으며, 성으로 진입하는 문지는 동벽 남쪽을 제외하고는 없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천호로고루는 연천당포성, 연천은대리성과 함께 임진강과 한탄강이 지류와 만나 형성하는 삼각형의 대지위에 조성된 독특한 강안평지성(江岸平地城)으로 임진강이 국경하천역할을 했던 삼국시대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학술적으로 가치가 높은 귀중한 문화유적이다.

8. 관련 문서


[1] 문화재청은 연천 호로고루의 축조시기를 밝히지 않았다.[2] 사진 출처 -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2007, 연천 호로고루 3.[3] 현재는 LH의 '토지주택박물관'이다.[4] 단 서울 석촌동 고분군은 고구려 계통의 적석총으로 보기만 했지 백제의 적석총으로 판단하였었다.[5] 참고로 강원도 일대, 특히 춘천을 중심으로 고구려 석실들이 꽤나 자리하고 있다. 이는 고구려가 이미 점령한 것 내지는 고구려에 속한 말갈이나 맥(...)의 일파가 아닌가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고구려의 5세기 남진정책과는 다소 무관한 유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