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18:14:28

청평사


파일:춘천시 CI_White.svg 춘천시의 관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3E0> 관광지 <colbgcolor=#00A3E0> ㄱ~ㅁ <colbgcolor=#fff,#1f2023> 강원특별자치도립화목원공지천구봉산 전망대국립춘천박물관국립춘천숲체원김유정문학촌강촌레일파크남이섬레고랜드 코리아 리조트명동
ㅂ~ㅅ 삼악산(춘천 삼악산 호수케이블카) ‧ 소양강(소양강 스카이워크 ‧ 소양강 처녀상 ‧ 소양정 ‧ 소양강댐) ‧ 소양호
ㅇ~ㅎ 애니메이션박물관엘리시안 강촌옥산가육림랜드의암댐 ‧ 이상원미술관 ‧ 청평사춘천댐춘천호춘천 박사마을 어린이글램핑장
축제 김유정문학제 ‧ 봄내예술제 ‧ 의암제 ‧ 춘천국제애니타운페스티벌 ‧ 춘천국제연극제 ‧ 춘천인형극제 ‧ 춘천닭갈비&막국수축제 ‧ 춘천마임축제 ‧ 춘천아트페스티벌
※ 관광객들이 명소로 많이 찾는 곳은 굵게 표시함. }}}}}}}}}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청평사
Cheongpyeongsa | 淸平寺
파일:청평사.jpg
<colbgcolor=#ff8c00><colcolor=#ffffff> 설립일 973년
소속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종단 대한불교조계종
주지 홍진스님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북산면 오봉산길 810
우편 번호 24208
연락처 033-244-1095
파일:대한불교조계종 상징.svg
1. 개요2. 역사3. 특징4. 주요 문화재 및 건물
4.1. 회전문4.2. 청평루 4.3. 관음전 4.4. 나한전4.5. 대웅전4.6. 극락보전4.7. 삼성각4.8. 청평사 고려선원4.9. 청평사지4.10. 삼층석탑
5. 교통
5.1. 시내버스5.2. 유람선
6. 사건사고7. 여담
7.1. 원나라 공주 상사뱀 전설

[clearfix]

1. 개요

관련 영상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북산면 청평리에 있는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3교구 본사 신흥사의 말사이다.

경내의 가람들이 여러번 소실됐다 재건되는 등 부침이 많은 역사가 있으며, 청평사 일원은 1984년 12월 28일에 강원도 기념물 제55호 '청평사지(淸平寺址)'로 지정됐다.

2. 역사

<colbgcolor=#ff8c00><colcolor=white> 날짜 연혁
973년 백암선원 창건
1068년 보현원으로 중건
1089년 문수원으로 삼창
1327년 문수사장경비 건립
1950년 양신암 중건
1555년 청평사로 개칭
1711년 법당과 승방 중수
1728년 삼존불상 봉안
1772년 극락보전 중수
1861년 대웅전 소실
1889년 극락보전 중수
1862년 대웅전 터에 요사 건립
1880년 요사 소실 및 재건
1936년 극락전 및 회전문 보수
1937년
1950년 방화로 극락전 소실
1963년 회전문 기와 교체
1969년 회전문 부분 보수
1977년 극락보전과 삼성각 중건
1979년 해탈물과 적멸보궁 중건
1984년 요사, 청평루, 세향원 중건
1990년 대웅전 중건
1994년 범종각 신축 및 범종 주성

3. 특징

보통 관광코스로 소양강댐과 잘 엮이는 곳이다. 청평사를 가기 위해서는 대개는 여객선을 이용하는데, 여객선을 이용 할 수 있는 선착장이 소양호에 있기 때문이다. 물론 육로로 배후령터널을 지나 배치고개를 넘어 갈 수도 있지만, 고개가 엄청나게 구불구불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그다지 추천되는 경로는 아닌 편이다. 배로는 약 10분정도 소요되며, 청평사 선착장에서 도보로 약 20~25분 정도 야트막한 산길을 올라가면 도착할 수 있다. 올라가는 도중에 상사뱀 전설이 얽힌 석탑과 동상이 있으며, 청평사 내의 회전문(廻轉門)[1]은 보물 제164호로 지정되어 있기도 하다.

4. 주요 문화재 및 건물

  • 춘천 청평사 회전문: 보물 제164호
  • 청평사 고려선원: 명승 제70호
  • 청평사지: 강원도 기념물 제55호
  • 삼층석탑: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8호

4.1. 회전문

파일:청평사 회전문 측면 2015년 문화재청 수정.jpg
회전문 측면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164호로 지정되었다.

4.2. 청평루

파일:청평사 청평루 2015년 문화재청.jpg
청평루 정면
파일:청평사 청평루 측면 2015년 문화재청 수정.jpg
청평루 측면[2]

4.3. 관음전

파일:청평사 관음전 전경 2015년 문화재청.jpg
관음전 전경[3]

4.4. 나한전

파일:청평사 나한전 2015년 문화재청.jpg
나한전 전경

4.5. 대웅전

파일:청평사 대웅전 2015년 문화재청.jpg
대웅전 전경
파일:청평사 대웅전 계단2 2015년 문화재청.jpg
파일:청평사 대웅전 계단 2015년 문화재청.jpg
대웅전 계단
좌측엔 관음전이, 우측엔 나한전이 있다.

4.6. 극락보전

파일:청평사 극락보전 2015년 문화재청.jpg
극락보전 정면
파일:청평사 극락보전 측면 2015년 문화재청.jpg
극락보전 측면
파일:청평사 극락보전 내부 2015년 문화재청.jpg
극락보전 내부
파일:청평사 극락보전 창살 2015년 문화재청.jpg
극락보전 창살
우측엔 삼성각이 있다.

방화로 파괴되기 이전의 원래 극락전은 사진 자료와 실측 도면이 전하고 있다.
파일:13283_7835_3719.jpg

4.7. 삼성각

파일:청평사 삼성각 2015년 문화재청.jpg
삼성각 전경
파일:청평사 삼성각 내부 2015년 문화재청 수정.jpg
삼성각 내부
좌측엔 극락보전이 있다.

4.8. 청평사 고려선원

한국 정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궁원 宮苑
누원 樓苑 임해전
성동동 전랑지
용강동 원지 유적
구황동 원지 유적
부여 궁남지
익산 금마저 왕궁 후원
안학궁 정원
경복궁 경회루
경복궁 향원정
조선
창덕궁 서총대
원림 苑林 만월대 금원
경복궁 북원
창덕궁 비원
조선
경희궁 후원
조선
인경궁
조선
자수궁
화계 花階 경복궁 아미산
창덕궁 낙선재
왕실누정 王室樓亭 망원정
용양봉저정
낙천정
조선
탕춘대
관원 官苑
누원 樓苑 장대 將臺 촉석루
영보정
방화수류정
연광정
통군정
인풍루
수항루
객사 客舍
동헌 東軒
군영 軍營
세검정
환아정
영남루
군자정
한벽루
지수당
죽서루
백상루
성천
강선루
육승정
함흥
칠보정
관덕정
감영 監營 영주관
부용당
오순정
명승 名勝 광한루
항미정
채미정
망양정
월송정
쌍수정
경포대
청간정
총석정
부벽루
칠성정
풍패루
해월정
사원 私苑
별서 別墅 정원 庭苑 석파정 ·
서울
옥호정 ·
서울
백석동 별서 · 성북동 별서 ·
서울
무계동 별서 ·
반계 윤웅렬 별서 · 운림산방 · 서석지 · 귀래정 · 독락당 ·
다산초당 · 함안 무진정 · 남간정사
원림 苑林 부용원 · 소쇄원 · 식영정 · 환벽당 · 면앙정 · 송강정 ·
명옥헌 · 독수정 · 임대정 · 부춘정 · 백운동원림 · 초연정 ·
용호정 · 요월정 · 심원정 · 초간정 · 용계정 · 만휴정
임천원 臨川苑 효사정 ·
서울
압구정 ·
서울
천일정 · 서벽정 · 농월정 ·
거연정 · 요수정 · 용암정 · 월연대 · 선몽대 ·
청암정 · 침수정 · 위양지 완재정
향원 鄕苑 영보정 · 무기연당 · 선교장 · 오죽헌 ·
방해정 · 쌍산재 · 진주 용호정원
사원 寺苑
정림사 연지 · 미륵사 쌍지 ·
남원
실상사 지당 · 송광사 계담 ·
수선사 정원 ·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경주
불국사 구품연지 · 청평사 고려선원 · 낙산사 의상대 ·
대흥사 무염지 · 통도사 구룡지 · 봉선사 화계 · 봉정사 영산암
기타
금장대 · 태화루
현대정원
진해루 · 월화원 · 외도 보타니아 · 별빛정원 · 황산불빛정원 · 39-17 마중 ·
발리정원 · 섬이정원 ·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 생각하는 정원 · 남이섬 · 원생정원
수목원 · 국가정원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현존하지 않는 건축물
}}}}}}}}}
파일:영지 2015년 문화재청.jpg
영지 전경
파일:청평사 고려선원 터 전경 2015년 문화재청.jpg
고려선원 터 전경
2010년 2월 5일 명승 제70호로 지정되었다.

4.9. 청평사지

1984년 12월 28일 강원도 기념물 제55호로 지정되었다.

4.10. 삼층석탑

파일:청평사 삼층석탑 문화재청.jpg
고려 전기 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1984년 6월 2일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8호로 지정되었다.

5. 교통

5.1. 시내버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청평사종점 방면
||
북산2(청평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기도원입구 방면
||
북산2(오향리/중앙로입구)}}}||}}}

5.2. 유람선

소양강댐 인근 소양호선착장에서 탑승 가능하며 요금은 왕복 15,000원이다.[4]

그러나 '유도선 사업법 개정안'에 의한 선령 기준 초과로 인해 2023년 1월 30일부터 새 선박 도입이 예정되어 있는 4월까지 운행이 중단되었다. 이로 인한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4월까지 춘천 시티투어 임시 노선이 일 3회[5] 운행된다.#

6. 사건사고

7. 여담

  • 산 정상에 있는 절까지 올라가면 다리가 엄청 아프다. 거의 다리운동급
  • 2020년 영화 겨울밤에의 촬영지였다. 소양강에서 유람선을 타고 가는 과정이 영화에서 그대로 나온다.

7.1. 원나라 공주 상사뱀 전설



요약하자면 스토킹 가해자의 끔찍한 말로.

중국 원나라 시절[6] 공주를 매우 사모했던 한 평민 청년이 있었는데, 신분제의 한계로 인해 가슴앓이만 하다[7] 결국 요절해버린 청년은 뱀으로 환생한다.

이후 이 뱀은 궁으로 기어 들어가 공주의 몸을 칭칭 감싸게 되고, 궁은 발칵 뒤집힌다. 이에 황제는 공주에게서 뱀을 떼어내기 위해 갖가지 방법을 시도했지만 뱀은 떨어지지 않았고, 공주는 날이 갈수록 야위어 갔다. 결국 고려의 사찰을 순례하라는 조언에 공주는 여러 사찰을 돌아다니게 되었고 결국 청평사까지 오게 된다. 청평사에 다다렀을 때는 이미 날이 저물어 계곡의 작은 동굴에서 노숙하게 되었고, 그 다음 날 범종 소리가 들리자 공주는 뱀에게 가까운 곳에 절이 있으니 밥을 얻어오겠다며 잠시 자신의 몸에 내려와달라고 부탁하자 신기하게도 뱀이 순순히 공주의 몸에서 떨어져 내려왔다.

이윽고 공주는 계곡에서 목욕재개를 하고 법당에 기도를 올리러 갔는데, 시간이 지나도 공주가 돌아오지 않자 뱀은 공주가 간 절을 향해 기어갔다. 뱀이 절에 도착해 회전문을 들어서려는 찰나, 하늘에 비와 함께 벼락이 내리쳤고 뱀은 이 벼락에 맞아 죽는다. 이후 기도를 마치고 절간 밥을 얻어 계곡으로 돌아가려는 공주는 죽어있는 뱀을 보게 된다. 내심 후련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뱀을 불쌍히 여겨 정성껏 묻어주었고, 청평사에 더 머무르다 폭포 위에 석탑을 세우고 귀국하였다고 한다.

공주가 뱀과 함께 잠시 노숙했다는 동굴은 공주굴, 공주가 목욕을 했던 못은 공주탕, 공주가 세운 석탑은 공주탑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지고 있다.
[1] 한자 자체는 빙글빙글 돌아간다는 회전(回轉)의 뜻과 유사하긴 하지만 당연히 문에 회전장치가 달린것은 아니며(...), 불교의 윤회사상에서 비롯된 명칭이다.[2] 맨 오른쪽에 보이는 건물이 나한전이다.[3] 왼쪽에 약간 보이는 건물이 나한전, 오른쪽에 보이는 건물은 대웅전이다.[4] 7,000원이었으나 요금이 인상되었다.[5] 춘천역 09:30, 13:00, 15:20 출발 / 청평사 10:40, 14:10, 16:10 출발[6] 당나라 또는 명나라로 나오기도 하는데, 청평사 자체가 고려시대에 지어졌으니 고증상 원나라가 맞을 것이다.[7] 또는 평민 청년의 일방적인 짝사랑이 아닌 공주와 청년 둘 다 서로 사랑했지만 신분제의 한계로 인해 이루어지지 못하여 상심한 청년이 요절해 뱀으로 환생했다는 버전도 있다. 어찌되든 공주를 사랑했지만 신분의 한계로 인해 상심한 청년이 죽어서 뱀으로 환생한 것은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