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22:15:23

백상루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777777,#555555> 평양시 평양성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고구려 고분군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고구려 고분군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법운암
룡화사 · 평양성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단군릉
개성시 개성역사유적지구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고구려 고분군 (강서삼묘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 의주 남문
함경남도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 함흥읍성
함경북도 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고구려 고분군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성불사
공통 천리장성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자강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지역별 팔경
관서 · 관동
}}}}}}}}} ||



파일:백상루.jpg
파일:external/photos.wikimapia.org/65_big.jpg
백상루
1. 개요2. 설명3. 둘러보기

1. 개요

평안남도 안주시에 위치한 명승지. 관서팔경 중 하나에 속한다. 다만 본 건물은 6.25 전쟁 당시 미군의 폭격으로 파괴되었고 현재의 건물은 재건된 것이다.

조선시대 그림과 구한말 흑백사진에 담긴 《백상루》 모습

2. 설명

둥근 주춧돌 위로 높이 2m 가량의 기둥을 세워 그 위에 팔작지붕을 올린 기와집으로 중앙의 본채가 있고, 서쪽으로 곁채를 직각으로 붙여 평면이 T자형이다. 지붕의 용마루가 본채가 조금 높고 곁채가 조금 낮게 연결되고 마룻바닥 역시 곁채가 본채보다 조금 낮게 깔았다. 본채는 정면 5칸, 측면 4칸이며, 곁채는 정면 6칸, 측면 2칸이다. 마루 밑기둥에 이어 마루 위에 흘림기둥을 세웠으며, 건물의 중앙에는 기둥을 세우지 않고 중앙부를 강조하였다. 건물의 둘레에는 계자각 난간(鷄子脚欄干)을 설치하고 누각의 마루로 오르는 계단은 본채의 중앙으로 설치하였다. 공포는 2익공으로 구성되었으며 연꽃 장식을 조각하였다. 보의 머리는 용의 모양으로 장식하였으며, 기둥과 서까래 등은 모로단청으로 마무리했다.
淸川江上百祥樓 청천강 위 백상루에
萬景森羅未易收 삼라만경(森羅萬景) 벌여 있어 한눈에 보기 어렵고
草遠長堤靑一面 풀은 멀리 긴 둑에 한 줄로 푸르렀다
天低列岫碧千頭 하늘로 뻗은 멧부리 천으로 줄지었고,
錦屛影裏飛孤■ 비단병풍 속을 나르는 외로운 따오기,
玉鏡光中點小舟 옥거울 속에 뜬 한 점의 작은 배라.
未信人間仙境在 속세에 선경(仙境)이 있는 것을 믿지 않았더니,
密城今日見瀛州 밀성(密城)에서 오늘 영주(瀛州)를 보는구나.
충숙왕이 지은 어제시

언제 처음 지어졌는지는 알 수 없지만, 고려 충숙왕이 쓴 시에 백상루에 대하여 읊은 구절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당시보다 훨씬 이전부터 있어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 이전부터 안주는 평양과 함께 군사적 요충지이자 교통의 중요한 거점지로 북방 진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곳이었고, 거란이나 몽골, 홍건적의 침공 때마다 서북 방면의 군사 요충지 역할을 했다. [1] 태조 1년(918년) 대도호부가 설치된 평양이 고려 조정에 의해 서경으로 승격되면서 태조 14년(931년)에 안주 역시 안북부(安北府)로 격상되었고, 성종 2년(983년) 영주안북대도호부(寧州安北大都護府)로 승격되어 방어사(防禦使)가 설치되었고, 현종 9년(1018년) 안북대도호부(安北大都護府)로 개칭되었다. 의종(毅宗, 1127~1173) 때에는 안주에 도절제사영(都節制使營)을 두었다가 파한 적이 있고, 공민왕 18년(1369년)에 안주만호부(安州萬戶府)를 두었다가 뒤에 목(牧)으로 승격시켰다. #

안주성 백상루는 안주읍성에 딸린 시설로 평소에는 인근의 경치를 구경하는 명승지였지만, 외적의 침입시에는 전투를 지휘하고 외적의 접근 및 이동 양상을 살피는 장대(망루) 역할을 했다. 일제 시대인 1938년(쇼와 13년)에 총독부에서 수리한 내역이 남아 있으며# 현존하는 백상루는 북한 정권에서 복구할 때 원래 있던 위치에서 서쪽으로 400m 정도 옮겨서 복구했고, 1753년에 고쳐지었을 때의 모습을 따라 복원했다고 한다. #

또한 이곳은 여말선초시대의 대신인 조준이 수많은 중원 젊은이가 고구려에서 물고기밥으로 사라졌다며 살수대첩을 얘기하는 칠언절구 를 남긴 곳으로도 유명하다. 해당 시는 1391년 경, 조준이 명에 사신으로 가던 길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2]
[ruby(薩水湯湯漾碧虛, ruby=살 수 상 상 양 벽 허)] 살수 강물 파도치며 허공에 출렁이니,
[ruby(隋兵百萬化爲魚, ruby=수 병 백 만 화 위 어)] 수나라 백만 군사 고기밥이 되었것다.
[ruby(至今留得漁樵話, ruby=지 금 류 득 어 초 화)] 지금까지 어초들의 얘깃거리로 남아,
[ruby(不滿征夫一笑餘, ruby=불 만 정 부 일 소 여)] 지나는 나그네의 한바탕 웃음거리 되고도 남네.
#<세종실록> 154권, 지리지 평안도 편《안주회고》(安州懷古).참고

안주의 백상루(百祥樓)에 이 시가 걸려 있었고, 수십 년 후 태종 시기 조선에 파견된 명 사신 축맹헌이 이 시를 보고 답시를 남겼다. 당나라가 수십년 후 끝내 고구려를 멸망시킨 것을 들어 수나라가 다시 군사를 일으켰으면 성공했을 것이라는 식의 내용이다. 축맹헌은 청천강을 내려다보는 정자에 이런 시가 떡하니 걸려 있으니 굴욕으로 느꼈던 모양이다. 그래도 사대의 예 운운하며 노발대발하지 않은 걸 보면 타국에서 어느정도 사리분별은 할 줄 알았던 모양.

이후 백상루는 한국 전쟁 당시 폭격으로 파괴되었다가 후에 북한 정권에 의해 재건되었다.

3. 둘러보기

한국 정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궁원 宮苑
누원 樓苑 임해전
성동동 전랑지
용강동 원지 유적
구황동 원지 유적
부여 궁남지
익산 금마저 왕궁 후원
안학궁 정원
경복궁 경회루
경복궁 향원정
조선
창덕궁 서총대
원림 苑林 만월대 금원
경복궁 북원
창덕궁 비원
조선
경희궁 후원
조선
인경궁
조선
자수궁
화계 花階 경복궁 아미산
창덕궁 낙선재
왕실누정 王室樓亭 망원정
용양봉저정
낙천정
조선
탕춘대
관원 官苑
누원 樓苑 장대 將臺 촉석루
영보정
방화수류정
연광정
통군정
인풍루
수항루
객사 客舍
동헌 東軒
군영 軍營
세검정
환아정
영남루
군자정
한벽루
지수당
죽서루
백상루
성천
강선루
육승정
함흥
칠보정
관덕정
감영 監營 영주관
부용당
오순정
명승 名勝 광한루
항미정
채미정
망양정
월송정
쌍수정
경포대
청간정
총석정
부벽루
칠성정
풍패루
해월정
사원 私苑
별서 別墅 정원 庭苑 석파정 ·
서울
옥호정 ·
서울
백석동 별서 · 성북동 별서 ·
서울
무계동 별서 ·
반계 윤웅렬 별서 · 운림산방 · 서석지 · 귀래정 · 독락당 ·
다산초당 · 함안 무진정 · 남간정사
원림 苑林 부용원 · 소쇄원 · 식영정 · 환벽당 · 면앙정 · 송강정 ·
명옥헌 · 독수정 · 임대정 · 부춘정 · 백운동원림 · 초연정 ·
용호정 · 요월정 · 심원정 · 초간정 · 용계정 · 만휴정
임천원 臨川苑 효사정 ·
서울
압구정 ·
서울
천일정 · 서벽정 · 농월정 ·
거연정 · 요수정 · 용암정 · 월연대 · 선몽대 ·
청암정 · 침수정 · 위양지 완재정
향원 鄕苑 영보정 · 무기연당 · 선교장 · 오죽헌 ·
방해정 · 쌍산재 · 진주 용호정원
사원 寺苑
정림사 연지 · 미륵사 쌍지 ·
남원
실상사 지당 · 송광사 계담 ·
수선사 정원 ·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경주
불국사 구품연지 · 청평사 고려선원 · 낙산사 의상대 ·
대흥사 무염지 · 통도사 구룡지 · 봉선사 화계 · 봉정사 영산암
기타
금장대 · 태화루
현대정원
진해루 · 월화원 · 외도 보타니아 · 별빛정원 · 황산불빛정원 · 39-17 마중 ·
발리정원 · 섬이정원 ·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 생각하는 정원 · 남이섬 · 원생정원
수목원 · 국가정원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현존하지 않는 건축물
}}}}}}}}}


[1] 웃긴 건 고려 후기에서 조선 초기까지 안시성의 위치를 이곳 안주로 비정하는 견해를 내놓는 이들이 많았다는 것이다. 살수대첩과 마찬가지로 안시성 전투 역시 한국사에서 중국 왕조에 맞서 군사적으로 승리를 거둔 중요한 사건이다. 안시성이 안주가 아니라 요동 지역에 있었다는 것은 조선 후기 안정복 등 실학자들의 고증을 통해 이루어졌다.[2] 명 사신과의 연회 자리에서 즉석에서 이 시를 지어 양국의 자존심 싸움에서 이겼다는 설화도 있지만, 그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는 없다. 그리고 당시 조선은 정통성 확보를 위해 명에 대해 매우 조심스러운 태도를 취하고 있었으며, 정도전, 정몽주에 비견될 정도로 똑똑했다던 조준이 굳이 그런 어리석은 어그로를 끌 리 없다는 주장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