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08:32:59

을밀대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777777,#555555> 평양시 평양성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고구려 고분군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고구려 고분군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법운암
룡화사 · 평양성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단군릉
개성시 개성역사유적지구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고구려 고분군 (강서삼묘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 의주 남문
함경남도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 함흥읍성
함경북도 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고구려 고분군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성불사
공통 천리장성
}}}}}}}}}


파일:external/photos.wikimapia.org/77_big.jpg
파일:external/photos.wikimapia.org/75_big.jpg
을밀대

乙密臺

1. 북한의 유적지
1.1. 상세1.2. 강주룡 을밀대 농성 사건
2.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본점을 둔 평양냉면 전문점

1. 북한의 유적지

고구려 시기의 성인 평양성의 누대 중 하나. 현재 북한 평양시 중구역 금수산 을밀봉 일대에 위치해 있으며, 북한의 국보 제 19호이다. 자료에 따라 한국의 이북5도 행정구역으로 평안남도 평양시 경상리나 금수산 마루에 있다는 설명도 있다.

1.1. 상세

이름의 유래에는 다양한 설화가 있는데 옛날에 을밀선녀(乙密仙女)가 이곳의 아름다운 경치에 반해 하늘에서 내려와 놀았다는 설화가 있고, 또 다른 설화로 6세기 무렵 평양성을 세울 때 을지문덕 장군의 아들인 을밀 장군이 이 곳을 지키며 싸웠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순우리말인 '웃미르터' 또는 '웃밀이언덕'을 이두로 음차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1]

구조는 웃밀이언덕 벼랑에 11m 가량의 축대를 둘러 쌓았고 그 위에 정면 3칸(7.46m), 측면 2칸(5.29m)에 팔작지붕을 올린 정자를 설치했으며 정자 기둥은 1m 정도의 4각 돌기둥을 밑부분에 받치고 그 위에 흘림기둥 이어 세우는 식으로 하여 비바람을 피하도록 했다. 현재의 정자는 조선 숙종 40년(1714년)에 축대를 보수하면서 건축하였고 1960년에 전반적인 보수가 이루어졌다. 정자 특유의 예서로 쓰인 현판은 조선 말기~일제강점기 서북지역의 서예가였던 호정(湖亭) 노원상(盧元相, 1871~1926)이 쓴 것이다.

기본적으로는 군사적 목적으로 세워진 망루이지만 을밀선녀가 경치에 반했다는 설화로 알 수 있듯이 을밀대 주변의 빼어난 경관을 관람하는 누각의 역할도 맡고 있으며, 특히 을밀대 밑을 흐르는 대동강과 하중도인 능라도[2]의 풍경과 사방으로 트인 평양평야가 매우 수려하다. 그 때문인지 '평양8경' 중 하나인 '밀대상춘(密臺賞春)'[3]으로 꼽히기도 하며 매년 봄마다 아름다운 봄 풍경을 관람하러 오는 관광객으로 붐빈다고 한다.

1.2. 강주룡 을밀대 농성 사건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4090301183_0.jpg

을밀대 지붕에서 농성 중인 강주룡 열사 사진.

한편, 을밀대는 한국 노동운동사에서도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데 바로 일제강점기였던 1931년 5월 29일에 강주룡 열사(1901~1932)가 을밀대 지붕에 올라 단식농성을 한 사건이 유명하다. 당시 평양부 고무공장의 노동자였던 강주룡 열사는 1930년에 고무공장 사측의 일방적인 임금[4] 10% 삭감에 반발한 노동자들의 파업에 대해서 사측, 일제 경찰이 폭력적인 방식[5]으로 탄압하자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을밀대 지붕에 올라 단식농성을 벌였는데 이는 『동아일보』에 크게 보도되었다. 당시 농성 사실을 보도한 동아일보 기사

당시 강주룡 열사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끝까지 임금 감하를 취소치 않으면 나는 근로대중을 대표하여 명예롭게 죽을 것이며, 누구든지 이 지붕 위에 사다리를 대놓기만 하면 나는 곧 떨어져 죽으려 한다"고 밝히는가 하면 농성 8시간 만에 경찰에 의하여 강제구인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옥중에서도 단식투쟁을 벌이는 등 목숨을 내건 의연한 모습을 보였고 결국 투쟁 끝에 강주룡 열사는 해고노동자가 되었지만 고무공장의 임금삭감을 막아내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강주룡 열사는 잦은 단식투쟁으로 인하여 몸이 쇠약해져 몇 년 못 가 병으로 사망하고 말았다.

2.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본점을 둔 평양냉면 전문점

1번 문단의 정자에서 이름을 딴 서울의 평양냉면 전문점이다. 마포구 염리동(숭문길)에 본점이 있다. 6호선 대흥역 2번 출구에서 도보로 5분 거리이다.

굵고 부드러운 메밀면과 은은하면서도 산뜻한 육향, 살얼음 낀 육수가 특징이다. 명성 있는 평양냉면 집 중 육수의 간이 강한 편에 속한다. 다른 가게 평양냉면은 맛을 느끼지 못해도 을밀대 평양냉면은 맛있게 먹는 사람이 많다.

현존하는 평양냉면 노포 가운데 의정부 평양면옥, 장충동 평양면옥, 우래옥, 필동면옥 등과 함께 대중적 인지도가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메뉴는 물냉면(평양냉면), 비빔냉면, 회냉면 등이 있다. 수육녹두전, 홍어 등도 취급한다. 평양냉면 면옥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사이드메뉴인 이북식 만두나 돼지고기 편육은 판매하지 않는다. 이 중 가장 저렴하고, 보통 선호되는 곁들임 메뉴는 녹두전이다. 냉면 주문 시 따로 요청할 수 있는 주문 옵션에는 거냉, 양마니(양많이), 거냉 양마니(양많이), 거냉민짜 등이 있는데 차례로 살얼음 뺀 버전, 곱빼기, 살얼음 뺀 곱빼기, 살얼음을 빼고 고명을 최소화하면서 면의 양을 늘린 버전을 뜻한다. 동절기 메뉴로 양지탕밥도 판매한다.

본점은 여타 유명 평양냉면 노포들과 같이 계절과 시간대를 막론하고 대체로 기다림은 필수이며 특히 여름철 점심시간에는 꽤 장시간의 대기를 감안하고 가야한다.[6] 코팅된 번호표를 받아 이름을 대기표에 써놓으면 대기번호를 불러주는 경우도 있으며 건물 뒷골목에 선착순으로 줄을 세우는 경우도 있다. 다만 평양냉면 특성상 회전율이 상당히 빨라서 대기줄의 규모에 비해 대기 시간은 그리 길지 않을 수 있다.

한때 국회의원들이나 방송국 간부들의 단골 코스 중 하나였다. 이 집 영감의 사후 큰아들은 본점을 물려받고 작은아들은 강남구 역삼동으로 분점을 냈다. 이어 경기도 고양시 일산(킨텍스)[7], 성남시 분당[8] 등으로 영역을 넓혔으며, 이어서 서울에도 무교동, 방이동[9], 잠실동 등에도 분점이 생겼다. 역삼동에 지점이 또 하나 있는데 이곳은 포장해 가기 쉽게 컵냉면이라는 메뉴를 마련해 놓았다.

육수 공장을 차려서 육수를 확보하고 있다. 육수 대금을 정산하다가 생긴 갈등과 공장 운영을 둘러싸고 형제가 소송으로 다투었다.# 육수 공장이 있다는 것은 마음만 먹으면 전국으로 체인점을 낼 수 있다는 뜻이지만 희소성을 위해 7개 가게만 운영하고 있다.
[1]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4 - 평양의 날은 개었습니다』, 창작과 비평사, 2011에서 인용.[2] 문화어로는 릉라도.[3] 을밀대의 봄 풍경.[4] 당시 약 130~140원.[5] 사측의 대체인력 투입과 용역깡패에 의한 폭력, 경찰의 파업 노동자들에 대한 공산주의자 낙인 및 노조 지도부 구속 등이 있다.[6] 본디 이북에서는 국수가 겨울음식이었다고는 하지만 현대 대한민국 요식업계에서 냉면의 성수기는 보통 하절기로 통한다. 물론 평양냉면의 특성상 코어 매니아층이 존재해 계절을 막론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수요는 계속 발생한다.[7] 현대백화점 킨텍스점의 바로 대각선에 위치해 있다.[8] 현재는 폐점[9] 실제 지점명은 잠실점이다. 잠실동에 있는 지점은 롯데백화점 잠실점으로 지점명을 구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