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23:22:48

성불사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777777,#555555> 평양시 평양성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고구려 고분군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고구려 고분군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법운암
룡화사 · 평양성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단군릉
개성시 개성역사유적지구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고구려 고분군 (강서삼묘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 의주 남문
함경남도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 함흥읍성
함경북도 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고구려 고분군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성불사
공통 천리장성
}}}}}}}}}


파일:불교 종교표지(흰색).svg 일제강점기불교 31본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a2d5b> 경기도 봉은사 · 봉선사 · 용주사 · 전등사
충청도 법주사 · 마곡사
경상도 동화사 · 은해사 · 고운사 · 김룡사 · 기림사 · 해인사 · 통도사 · 범어사
전라도 위봉사 · 보석사 · 백양사 · 화엄사 · 선암사 · 송광사 · 대흥사
강원도 건봉사 · 유점사 · 월정사
황해도 패엽사 · 성불사
평안도 영명사 · 법흥사 · 보현사
함경도 석왕사 · 귀주사
}}}}}}}}} ||

성불사
파일:황해황주 성불사 전경.jpg
일제강점기 성불사 전경[1]

1. 개요2. 노래3. 관련 링크

1. 개요

成佛寺

황해북도 황주군 정방산에 위치한 불교 사찰. 광복 당시 행정구역으로는 황해도 황주군 주남면이었다.

사찰 자체의 규모는 적지만 경치가 아름답고 문화재와 유물이 많아 황해도 제일의 경승지로, 황주8경의 하나로 꼽혔다. 또한 절문 입구에 7백여 미터 정도 늘어선 살구나무숲은 봄이 되면 살구 향기가 은은하여 평양·서울 등지에서 많은 상춘객(嘗春客)들이 몰려들기도 했다.#

2. 노래

  • 성불사의 밤: 성불사를 배경으로 한 가곡이다. 1931년 8월 19일 밤 성불사를 찾은 이은상이 시상을 써내려가 가사를 완성했으며 홍난파가 작곡했다.#
성불사(成佛寺) 깊은 밤에 그윽한 풍경소리
주승(主僧)은 잠이 들고 객(客)이 홀로 듣는구나
저 손아 마저 잠들어 혼자 울게 하여라

댕그렁 울릴 제면 또 울릴까 맘 졸이고
끊일 젠 또 들리라 소리나기 기다려져
새도록 풍경소리 데리고 잠 못 이뤄 하노라
  • 쟁반노래방 2003년 4월 10일 방영분 두 번째 도전곡으로 나왔다.

3. 관련 링크

  1. 위키백과
  2. 두산백과
  3. 조선향토대백과
  4. 북한의 전통사찰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 출처는 국립중앙박물관. 이 링크에서 사진 다운로드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