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1 02:40:26

광법사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777777,#555555> 평양시 평양성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고구려 고분군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고구려 고분군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법운암
룡화사 · 평양성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단군릉
개성시 개성역사유적지구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고구려 고분군 (강서삼묘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 의주 남문
함경남도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 함흥읍성
함경북도 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고구려 고분군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성불사
공통 천리장성
}}}}}}}}}


파일:평남대동 광법사 팔각석탑.jpg
일제강점기 광법사, 동국명사라는 현판이 보인다 - 출처:국립중앙박물관[1]]

1. 개요2. 상세3. 가람배치4. 여담5. 관련 링크

광법사

1. 개요

북한 평양시 대성구역에 있는 사찰이다.

2. 상세

고구려 시대 때 광개토대왕에 의해서 건설되어 지금까지 보존되고 있다. 한국 전쟁 때 한번 파괴되었다가 1950년대에 콘크리트 재질로 임시 복구되었고, 1990년 콘크리트와 목재를 혼용해서 재건축되었다. 해탈문, 천왕문, 대웅전, 동/서 승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웅전 앞에는 팔각 5층 석탑이 있는데, 원래 광법사의 것은 아니고 다른 곳에서 옮겨다 놓은 것이다. 사찰 경내에는 광법사기적비, 광법사십왕개소상비, 중수단청비가 있다.

대웅전에 봉안된 삼존불은 석가모니불, 약사여래, 아미타불이다. 불상들은 북한의 경제 사정 탓에 가금을 사용해서인지 어딘지 모르게 칙칙한 금색을 띠고 있다. 불상의 머리에 튀어나온 계주(cudaratna)에는 금색을 쓰는 남한과는 달리 빨간색이 칠해져 있다. 조화, 촛대, 향로 등도 남한에서 사용되는 것들에 비해 빈약해 보이는 물건들을 사용한다.

일제강점기에는 덴노 내외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어수비(御壽牌) 2개가 삼존불 앞에 봉안되어 있었다.

3. 가람배치

현재에도 1탑 3금당 양식을 유지하고 있는 고구려대에 지어진 사찰이다. 때문에 현재 석탑이 위치해있는 자리에는 원래 팔각 목탑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 자세한 조사가 불가능해 확실한 정보는 얻기 힘들다.

4. 여담

이곳에는 주지승(사실은 책임지도원)이 배치되어 있으며, 고구려사와 연관이 있는 유적이라서 그런지 북한의 여러 사찰 중에서는 상당히 신경 써서 관리되고 있는 편이다.

대성구역 자체가 대성산이 위치한 곳이라 샘물터가 많은데 광법사샘물이 유명하다고 한다.

5. 관련 링크

1.위키백과
2.두산백과
3.북한의 전통사찰
4.한국민족문화대백과
[1] 이 링크에서 사진 다운로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