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9 01:24:09

장안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있는 장안사에 대한 내용은 장안사(부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777777,#555555> 평양시 평양성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고구려 고분군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고구려 고분군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법운암
룡화사 · 평양성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단군릉
개성시 개성역사유적지구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고구려 고분군 (강서삼묘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 의주 남문
함경남도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 함흥읍성
함경북도 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고구려 고분군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성불사
공통 천리장성
}}}}}}}}}


파일:장안사 사성지전.jpg

1. 개요2. 역사

1. 개요

북한 강원도 금강군 금강산에 있는 절이다.

2. 역사

고구려에서 신라로 귀화한 승려 혜량이 6세기에 창건했다는 전설이 있다.

한편 신라 법흥왕(515) 때 진표율사가 창건했다는 기록도 있는데 진표는 8세기 때 스님으로 고증에 맞지 않기 때문에 유홍준 교수는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5권 금강산편에서 시대를 끌어올려 오래되면 좋은 것인 줄로 아는 일그러진 생각이라고 참으로 무책임한 기록이라고 비판했다.

아무튼 정양사, 표훈사, 유점사, 신계사 등과 함께 삼국시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 거의 1,500년 가량을 금강산의 대표 사찰로 꼽혀온 유명 사찰이었고 금강산 관광의 필수 코스였다고 한다.[1] 또한 신라시대 건축을 그대로 이어받아서 사실상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신라시대 건축이었으며 문화재적 가치또한 상당하였을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6.25 전쟁 당시 미군의 폭격으로 완전히 파괴 및 전소되어 지금은 터만 남아 있다. 그래도 일제강점기에 절이 남아있을 때 촬영한 사진이 남아있어서 남북관계가 좋을 때는 복원 떡밥이 오가기도 했다.[2]

장안사 사성지전 16나한좌상이 있었다. 현재는 한국전쟁 당시 소실되어 남아있지 않은상태.

북한의 국보 제 96호이다.

이은상이 지은 시에 홍난파가 곡을 붙인 동명의 가곡이 있다.

[1] 겸재 정선이 그린 장안사 그림이 남아있으며, 무지개모양 아치교인 비홍도가 특징적으로 묘사된다. 정선의 대표작 금강전도에도 이를 충실히 묘사하고 있어서 그림의 하단을 잘 살펴보면 장안사와 비홍교를 찾아볼 수 있다.[2] 신계사처럼 실제로 그 시절 복원된 사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