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01:05:48

가곡

1. 음악 장르
1.1. 서양 클래식 음악의 가곡1.2. 한국의 전통가곡
2. 지명
2.1. 목록

1. 음악 장르

歌曲, 藝術歌曲
Lied(독일어)

1.1. 서양 클래식 음악의 가곡

서양 고전음악 중 성악곡의 한 장르. 넓은 의미에서 사실 반주만 제대로 넣고 듣기 좋은 노래만 알맞은 목소리로 부른다면 다 가곡이긴 하지만, 클래식에서 말하는 예술가곡(Kunstlied)은 를 비롯한 문학작품에 클래식풍의 멜로디를 입히고 경우에 따라 유절형식[1]을 취하며 피아노를 비롯한 반주를 넣어 성악가가 클래식풍으로 부르는 노래를 뜻한다. 따라서 오페라아리아와는 다른 게 아리아는 오페라의 한 부분이지만, 가곡은 그 자체가 하나의 독립된 곡이다.

물론 영화음악을 비롯한 대중음악 전반에 클래식의 작법과 가창법이 널리 쓰이고 있는 오늘날에는 엄밀한 의미의 가곡과, 가곡이 아닌 노래를 분리하기 어렵게 된 것도 사실이다. 그냥 고등학교 때 음악실에서 음악 선생님의 피아노 반주에 맞춰 부르던 곡으로 생각하자. 훨씬 이해가 빠를 것이다.

Lied는 독일어로 단순히 '노래'라는 뜻이지만 타 언어에서 가곡이라는 장르를 가리킬 때 흔히 '리트'라고도 한다. 이것은 마치 샹송(chanson)이 프랑스어로는 단지 '노래'를 가리킬 뿐이지만 프랑스 밖에서는 프랑스 가요를 가리키는 것과 비슷하다.

가곡은 19세기 초반에만 해도 단편적이고 작곡하기가 쉬워 그다지 진지한 장르로는 꼽히지 않았지만[2] 가곡의 왕으로 불리는 작곡가 프란츠 슈베르트에 의해 예술로서 인정받게 되었다. 700여 곡이나 되는 그의 가곡 중에서도 송어, 마왕, 죽음과 소녀, 들장미, 음악에 부쳐, 들어라 들어라 종달새와 같은 가곡들은 그 예술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인정받은 명곡이라고 할 수 있다.
슈베르트 이후에는 로베르트 슈만, 구스타프 말러, 후고 볼프와 같은 작곡가들이 독일 예술가곡의 전통을 이어 나갔으며 19세기 중반 무렵부터는 프랑스 등 다른 나라의 작곡가들도 예술적으로 손꼽히는 가곡을 많이 창작하였다.

봉숭아, 선구자, 희망의 나라로, 그리운 금강산과 같은 여러 명곡 덕분에 한국에서도 친숙한 장르이다.

1.1.1. 주요 가곡 목록

여러 가곡이 하나로 묶여있는 연가곡은 ★표시.
1.1.1.1. 한국
1.1.1.2. 북한
1.1.1.3. 독일
보통 가곡 분류는 작사, 작곡자의 국적보다는 원가사의 언어로 한다. 그래서 여기에는 수많은 오스트리아 노래가 포함이 되어 있다. [11]
1.1.1.3.1. 슈베르트
1.1.1.3.2. 슈만
  • 시인의 사랑★
  • 여인의 사랑과 생애★
  • 리더크라이스★
  • 두 척탄병
1.1.1.3.3. 말러
1.1.1.3.4. 기타

1.1.2. 관련 문서

1.2. 한국의 전통가곡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120deg, #fff 5%, #000 5%, #000 9%, #fff 9%, #fff 10%, #000 10%, #000 14%, #fff 14%, #fff 15%, #000 15%, #000 19%, #fff 19%, #fff 81%, #cd313a 81%, #cd313a 90%, #0047a0 90%)"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ff>
파일: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종묘제례종묘제례악

판소리

강릉단오제

남사당놀이

영산재

제주칠머리당영등굿

강강술래

처용무

가곡, 국악 관현반주로 부르는
서정적 노래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1

대목장, 한국의 전통 목조 건축

한산모시짜기

줄타기

택견, 한국의 전통 무술

아리랑, 한국의 서정민요

김장, 한국의 김치를 담그고
나누는 문화

농악

줄다리기2

제주해녀문화

씨름, 한국의 전통 레슬링3

연등회, 한국의 등 축제

한국의 탈춤

장 담그기
1 12개국과 공동등재, 2 베트남·캄보디아·필리핀과 공동등재, 3 북한과 공동등재
}}}}}}}}} ||


한국에서는 가곡이라는 같은 이름 하에 전혀 다른 두 장르의 음악이 전한다. 위의 가곡은 서양식 가곡이고, 전통가곡은 고려 때 정과정이 지은 만대엽, 중대엽, 삭대엽의 삼기곡으로부터 시작해서 초삭대엽, 이삭대엽, 삼삭대엽 등으로 파생되고 그것이 다시 농, 낙, 편 등으로 파생되었고, 또한 이삭대엽에서도 평거, 중거, 두거 등으로 확장되면서 엄청나게 많은 곡으로 늘어나 현재 66곡이 전한다. 즉 원래 있던 곡의 장단, 속도, 진행, 음조 등을 변형시키면서 새롭게 확장한 곡이 가곡이다. 조선 사회의 지식층에서 애창되면서 발전된 가곡은 시조·가사와 함께 정가(正歌)라고 하여 판소리나 잡가 또는 민요처럼 일반 백성들에 의해서 구전되는 속가(俗歌)와 예술적으로 구분된다. 세악편성의 반주로 연주되는 가곡은 시조나 가사에 비해서 세련된 예술성을 지닌 노래이다. 오늘날 현대시에 피아노 반주를 곁들여서 작곡가들이 작곡한 이른바 예술가곡과 엄연히 구분된다. 부르는 사람의 성별에 따라서 남창(男唱)·여창(女唱)·남녀창(男女唱) 세 가지로 분류된다.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이며, 2010년 11월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지정되었다.

가곡은 시조시를 노랫말로 삼고, 우조와 계면조 두 개의 악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가곡을 부를 때 평조에서 계면조로 넘어가기 위해 쓰이는 반우반계 등이 있다. 가곡은 남창 26곡과 여창 15곡, 남녀창 1곡이 전해지며 한바탕으로 초수대엽, 이수대엽, 중거, 평거, 두거, 삼수대엽, 소용, 반엽, 언롱, 평롱, 계락, 환계락, 우락, 언락, 편락, 편수대엽, 언편, 태평가가 전해진다. 이 중에 초수대엽, 삼수대엽, 소용, 언롱, 우롱, 언락, 우편, 편락, 언편은 남창에만 있고 환계락은 여창만 있다. 남녀창은 태평가 단 한 곡만 전하며 초수대엽, 이수대엽부터 느린 한배로 진행되다가 편수대엽과 같은 마지막에 가까운 곡에 다다를 때 빨라졌다가 마지막 곡인 태평가를 부를 때는 다시 느린 한배로 돌아가는 형식을 보인다.

가곡의 장단은 10점 16박 장단과 10점 10박 장단이 있다. '점'은 장단 안에서 장구를 치는 단위, 박은 장단 전체의 박자를 세었을 때의 수이다. 10점 10박 장단은 '편장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가곡 중 여창에서는 황종이나 태주 이상의 음을 가성으로 부르는 '속소리'가 쓰인다. 그리고 가곡은 노랫말을 길게 뻗기 때문에 모음을 장중하게 표현하고자 ㅏ,ㅓ 같은 모음을 아으~, 어으~ 하고 뻗어주고 ㅐ,ㅔ와 같은 모음은 옛 발음을 살려 아이, 어이로 발음한다.

가곡은 보통 '우조 초수대엽', '여창 계면조 이수대엽', '남창 편수대엽'처럼 곡의 이름으로 부르지만, 노랫말로 쓰인 시조시의 앞 구를 따서 '동창이', '언약이', '진국명산'과 같이 부르기도 한다. 한 곡에 여러 시조시가 쓰이기도 하며, 예시로 여창 환계락의 경우 널리 불리는 '앞내나' 말고도 '사랑을 찬찬', '사랑을 사자하니', '물아래'와 같은 시조가 노랫말로 쓰이기도 한다.

2. 지명

대한민국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지명으로, 한국에는 22곳의 가곡리, 2곳의 가곡동, 2곳의 가곡면이 존재한다.

2.1. 목록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지정면 가곡리
    •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공근면 가곡리
    •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가곡리
    •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가곡리
    • 경상북도 봉화군 상운면 가곡리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가곡리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가곡리
    • 경상북도 예천군 개포면 가곡리
    • 전라남도 순천시 가곡동
    •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가곡리
    • 전라북도 장수군 계남면 가곡리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가곡리
    •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가곡리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가곡리
    • 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가곡리
    • 충청북도 청주시 오창읍 가곡리
    •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가곡리
    • 전라남도 영광군 홍농읍 가곡리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가곡리
    •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가곡리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가곡면
    • 전라남도 곡성군 오산면 가곡리
    •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가곡리
    • 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


[1] 같은 멜로디에 다른 가사를 집어넣어 반복해서 부르도록 하는 경우를 말한다. 대중음악에서 흔히 쓰는 1절, 2절... 방식이다.[2] 더구나 당시에는 성악곡 하면 오페라와 종교곡이 훨씬 대접받는 시대였음을 고려할 것. 모차르트나 베토벤과 같은 고전파 작곡가들도 가곡을 남겼으나, 그들의 다른 곡에 비하면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다.[3] 청라언덕이 나온다.[4]석굴암을 소재로 한 노래가 맞다.[5] 버전이 2개라고 한다.[6] 버전이 2개라고 한다.[7] 한양대학교의 설립자이자 초대 이사장 겸 총장을 지낸 김연준 이사장의 작품이다. 교가도 손수 지었다. 그래서 한양대학교의 음악 관련 행사 피날레는 항상 한양대학교 교가와 청산에 살리라로 마무리된다.[8] 버전이 2개라고 한다.[9] 모두가 잘 알다시피 금난새 선생의 아버지다.[10] 버전이 2개라고 한다.[11] 베토벤이 이탈리아어 가사에 곡을 붙인 사례가 있는데, 이 노래는 독일 가곡이 아니라 이탈리아 가곡으로 분류된다. 중국 한시를 한국어로 번역한 것에 곡을 붙인 사례(김성태의 동심초 같은)도 그래서 중국 가곡이 아닌 한국 가곡. 슈베르트 역시 현재의 오스트리아 땅에서 태어나서 살다 간 사람이지만 그의 곡의 작사자 역시 지금의 독일 땅에서 살다 간 사람이 많다.[12] 대한민국 애국가의 초기 선율로도 쓰였고 개신교 찬송가인 ' 천부여 의지 없어서 ' 또한 이 멜로디를 사용한다.[13] 작사가로 원래 이 사람의 에서 비롯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