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6 21:00:34

보현사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777777,#555555> 평양시 평양성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고구려 고분군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고구려 고분군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법운암
룡화사 · 평양성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단군릉
개성시 개성역사유적지구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고구려 고분군 (강서삼묘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 의주 남문
함경남도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 함흥읍성
함경북도 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고구려 고분군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성불사
공통 천리장성
}}}}}}}}}


파일:불교 종교표지(흰색).svg 일제강점기불교 31본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a2d5b> 경기도 봉은사 · 봉선사 · 용주사 · 전등사
충청도 법주사 · 마곡사
경상도 동화사 · 은해사 · 고운사 · 김룡사 · 기림사 · 해인사 · 통도사 · 범어사
전라도 위봉사 · 보석사 · 백양사 · 화엄사 · 선암사 · 송광사 · 대흥사
강원도 건봉사 · 유점사 · 월정사
황해도 패엽사 · 성불사
평안도 영명사 · 법흥사 · 보현사
함경도 석왕사 · 귀주사
}}}}}}}}} ||


파일:평북영변 보현사 전경.jpg
일제강점기 보현사 전경
보현사

普賢寺

1. 개요2. 상세3. 산하 박물관4. 여담

1. 개요

북한묘향산에 있는 사찰. 천주사(天柱寺), 서운사(棲雲寺)[1]와 함께 평안북도 영변군 3대 사찰로 꼽힐 정도로 유명한 대사찰이었으며, 그 중 가장 으뜸으로 꼽힌 절이다. 현지에서의 행정구역은 자강도 향산군 향암리이다.

2. 상세

파일:통일전망대 MBC 로고.png 파일:김팀장의 북한 확대경.png
<rowcolor=white> 묘향산의 역사유적 보현사와 팔만대장경
(2023년 6월 15일 공개분)

고려 현종 19년(1028년)에 처음 지어졌으며, 지어질 당시의 이름은 안심사(安心寺)였다. 원래 황해도 황주군 출신의 탐밀(探密)이라는 승려가 연주산(묘향산)에 들어와서 수행하고자 지은 난야(蘭若, 암자)였는데, 정종 4년(1038년) 탐밀의 조카로써 제자가 된 굉곽(宏廓)이라는 승려가 숙부의 암자에 찾아왔고, 사방에서 제자들이 몰려들면서 4년 만인 정종 8년(1042) 동남쪽 100보 되는 곳에 243칸 대찰로 중창했다고 한다. '보현사'라는 이름도 이때 처음 붙여졌다. 이후 문종 21년(1067) 보현사에 전답을 기증하였다고 한다.

고려 말의 고승 나옹화상[2]이 이 절에 주석하기도 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승병장으로 유명한 휴정대사가 보현사에 머물렀다. 또한 임진왜란 때에 살아남은 전주 사고의 조선왕조실록해주강화도를 거쳐서 이곳에서 임진왜란이 끝날 때까지 쭉 보관하기도 했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 31본산의 하나로서 부속건물들을 많이 거느렸다. 6.25 전쟁 때 폭격으로 대부분 절 건물이 파괴되었으나, 전후에 복원하면서 가람 배치의 기본인 대웅전과 산자락에 바짝 붙어서 폭격을 피한 건물 중심으로 새단장을 하고, 부서진 건물 터에는 그냥 잔디를 심고 꽃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또한 내부 박물관이 있다. 해당 문단 참조.

보현사 경내의 주요 건물로는 조계문, 해탈문, 천왕문, 만세루, 대웅전, 관음전, 영산전, 수충사[3]이 있고, 고려 당시의 유물로는 묘향산 보현사 8각 13층탑, 묘향산 보현사 4각 9층탑이 있다.

요사채는 성속(聖俗)이 어우러진 격조 높은 공간으로 승화되어, 빈틈없고 냉랭한 신앙행태에 숨통을 열어주고 부처님과 대중의 중계자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4]

3. 산하 박물관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체제선전시설
평양시
<colbgcolor=#cccccc,#333333> 중구역 김일성광장 (대주석단) · 당창건사적관 · 조선혁명박물관 · 천리마동상
대동강구역 당창건기념탑 · 옥류전시관
대성구역 금수산태양궁전 · 대성산혁명렬사릉
만경대구역 국가선물관 · 만경대고향집 · 청년운동사적관 · 칠골혁명사적관
모란봉구역 개선문 · 조중우의탑 · 해방탑
보통강구역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 푸에블로호) · 중앙계급교양관
서성구역 3대혁명전시관 · 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
기타 애국렬사릉 (형제산구역) · 재북인사릉 (룡성구역) ·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락랑구역) (철거) · 주체사상탑 (동대원구역)
량강도
전체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 (정일봉) ·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자강도
전체 국제친선전람관
함경북도
전체 회령고향집
황해남도
전체 신천박물관
전국
전체 구호나무 · 김일성김정일동상 · 명제비 · 영생탑
일반 박물관
평양시
중구역 조선미술박물관 · 조선민속박물관 · 조선우표박물관 · 조선중앙력사박물관 · 철도성 혁명사적관
대성구역 자연박물관 · 조선중앙동물원 · 조선중앙식물원
락랑구역 과학기술전당 · 락랑박물관
기타 지하철도건설박물관 (모란봉구역) · 평양문화전시관 (대동강구역)
개성시
전체 개성고려박물관
강원도
전체 원산력사박물관
자강도
전체 강계력사박물관
량강도
전체 혜산력사박물관
평안남도
전체 평성력사박물관
평안북도
전체 신의주력사박물관 · 향산력사박물관
함경남도
전체 함흥력사박물관
함경북도
전체 청진력사박물관
황해남도
전체 해주력사박물관
황해북도
전체 사리원력사박물관
}}}}}}}}}

보현사는 북한불교 박물관으로 쓰이고 있으며, 조선불교도련맹에서 관리한다. 물론 남한에도 성보박물관이 딸린 사찰들은 많지만, 경우가 다르다. 북한 전역의 많은 불교문화재를 보현사에 있는 불교력사박물관에 모아놓은 것이다. 향산력사박물관이라고도 불린다.[A]

절의 경내에는 금동삼존불, 석실형 청동탑 등 인근의 불교 유물을 가져다 놓기도 했으며[A], 금강산 유점사[7]의 범종 등 북한 전국의 사찰에서 나온 많은 불교 유물들을 이곳에 모아 보관, 전시해 놓았다. 1997년 기준 불상 101개, 불화 84점, 불교장식품 149점에 불경목판 원판과 남한의 해인사 팔만대장경 목판인쇄본 완질 1,159권 등 총 5,430점이 있었다고 한다.[8] 2018년 기준으로 6,793권을 소장했다는 이야기가 나왔다.[9]

그리고 묘향산 관광객의 관광 코스에 포함시켰다. 북한이 김씨 부자 숭배 이외의 종교에 부정적이기는 하지만, 한국사의 많은 문화재가 불교 미술품이고 특유의 민족주의 성향으로 역사는 또 매우 중시하기 때문에, 북한 땅 전체의 불교 문화재를 여기에 가득 모아 놓고 관광코스로 포함시킨 데서 보현사라는 절을 상당히 중요하게 취급함을 알 수 있다.

4. 여담

  • 보현사가 북한 정권으로서도 나름 의미가 있다면 있다. 당장 김일성1945년 해방 직후부터 1994년 사망하기 전까지 126회에 걸쳐 역사유적 현지지도를 했는데, 그 중 50회가 사찰 방문이었고, 그 50회 중 17회는 보현사를 찾았다고 한다. 김일성 본인의 묘향산 별장인 향산특각이 마침 보현사 옆에 있었다고. 1994년 7월 8일에 김일성이 사망한 곳도 바로 이 향산특각이다. # 향산특각은 김일성 사망 뒤인 2013년 10월 이전에 김정일이 철거하였다. #
  • 역사스페셜에서 북한문화유산 특집으로 보현사가 소개되었는데, 소장 유물 가운데 북한 측이 "백제 시대 것"이라고 하면서 보여준 금동불상이 있었다. 취재진이 그 불상을 촬영해서 남한의 학자에게 보여주고 고증을 부탁했더니, "백제 때가 아니라 고려 말기나 조선시대의 작품 같다"는 견해를 내놓았다.
  • 유홍준에 따르면 북한에서 보현사는 가장 큰 절일 뿐 아니라 북한 불교의 총림(叢林)으로, 남한으로 치면 서울조계사에 삼보사찰인 송광사, 해인사를 합친 것과 같은 위상이라고 소개하였다. 다만 자신이 좋아하는 [10]에서 느꼈던 한국 산사(山寺)의 그윽하고 깊은 향취를 느낄 수는 없었는데, 곰곰히 생각해보니 '그 절의 스님들이 기거하면서 일상생활을 하는 곳인 요사채가 복원되지 않았기 때문'이더라고 감상을 적었다.
  • 북한 조선불교도련맹 승려들은 전부 대처승이고 삭발조차 하지 않은 일종의 불교 관련 문화재 관리 공무원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보현사 승려들은 다른 조선불교도련맹 승려들과 달리 2000년대 중반 들어 삭발을 하는 등 불교 색채를 드러내려 나름 노력하는 편이다.
  • 팔만대장경 번역본 또한 보현사 경내에 보관 중이다. 보현사를 포함한 일부 북한 사찰 승려들은 외부 방문객이 요청하면 불경을 독송하곤 하는데, 불교 지식 공부를 어느 정도나마 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물론 조선불교도련맹 자체가 어용 관제 단체이지만 그 대표적 간부들은 박태화 대선사나 홍화두 대선사 등 일제강점기·한국전쟁 전 승려들이었기 때문에 불교 관련 지식 전수가 이루어질 수 있었을 것이다.
  • 2013년 북한에서는 미국 CNN에 보현사 취재를 허용했다. 북한 입장으로서는 체재 건재를 선전하고 싶었겠지만, 정작 기자들이 취재한 영상에는 폭우로 지반이 무너지거나 도로가 아주 폭삭 내려앉은 꼴이며, 강가에서 물고기를 잡거나 빨래하고 머리 감는 주민들의 모습까지 그대로 드러나 버렸다. 그와는 극단적으로 대비되는 보현사의 모습이 차라리 이질적으로 느껴지면서, 누가 봐도 연출된 것임을 그대로 드러내 보이는 결과가 되었다.#
  • 2015년에 KBS 취재진이 찍은 묘향산 보현사의 모습은 여기를 참조.#



[1] 이 두 절은 묘향산에 있는 보현사와 다르게 약산에 있다.[2] 태조 이성계의 왕사(王師)였던 무학대사의 스승이다.[3] 유정대사와 휴정대사, 처영대사의 영정을 모신 전각이다.[4] 그런데 북한에서는 승려들은 전부 대처승이고, 사찰에서 기거하는 일 없이 따로 사하촌(寺下村) 격인 아랫마을에 살면서 출퇴근하는 사람이다. 그렇다보니 요사채가 복원될 겨를이 없었다.[A] 문화재재단이 동일한 전시물이 소개되고 있어 확실히 맞는 듯. 해당 링크에서 주요 유물도 소개하고 있다. #[A] [7] 6.25 전쟁 때 폭격으로 불타 없어졌다.[8] 유홍준이 <나의 북한문화유산답사기>를 쓰던 1997년 당시[9] JTBC 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 2018년 9월 20일 방송분 참고[10] 전라남도 순천시 선암사, 충청남도 서산시 개심사, 전남 강진군 무위사 혹은 경상북도 안동시 봉정사 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