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祖國解防戰爭勝利紀念館 Victorious Fatherland Liberation War Museum | |
| |
<colbgcolor=#f5f5f5,#2d2f34> 다른 이름 | 전승기념관 |
설립 | 1953년 8월 17일 |
준공 | 2013년 7월 27일 (서장동 신관 개관) |
연혁 |
|
규모 | 연건축면적 52,000㎡ |
주요 시설 | 승리상 푸에블로호 |
주소 |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평양시 보통강구역 서장동) |
1. 개요
북한의 박물관. 평양시 보통강구역 서장동에 있다.군사박물관으로서 북한측 지도자가 전쟁을 일으킨 사실은 빼놓은 채 북한이 6.25 전쟁에서 승리하였다고[1] 주장하며 만든 곳이다. '전승기념관(戰勝紀念館)\'으로도 불린다.
북한을 방문한 대한민국 국민들에게는 만경대고향집,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 금수산태양궁전, 대성산혁명렬사릉, 애국렬사릉, 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와 마찬가지로 정부의 사전 승인 없이 방문해서는 안 될 곳 중 하나에 해당된다.[2]
남북간에 화해 분위기가 유지되고 진보 진영의 방북이 잦았을 때도 앞에 있는 다른 시설들을 방문하는 사람은 있어도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을 방문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다만 1980년대말 임수경과 문규현 신부가 방북했을 때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을 참관했다는 언급이 노동신문에 보도된 바 있다. 다만 객관적 증거는 없으며 임수경 본인도 방문사실을 부인하고 있다. 대성산혁명렬사릉을 방문한 사실은 사진증거 등으로 남아있으며 임수경이 쓴 글도 방명록에 기록되어 있다.
근처에 중앙계급교양관, 류경호텔, 류경정주영체육관, 봉화병원, 서장회관, 평양교예극장 등의 시설물이 있다.
2. 역사
6.25 전쟁의 휴전 협정이 조인된 직후인 1953년 8월 17일에 중구역 해방산동에 '조국해방전쟁기념관\'이라는 이름으로 건립됐다.1974년 4월 11일에 현재 위치인 서성구역 상신동으로 이전하면서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으로 개칭했다.
2013년 7월 27일에 맞춰서 모란봉구역 서장동으로 확장하여 이전했는데 바로 보통강 건너편이라서 다리를 놓아서 연결했다.
3. 특징
6정보 52,000㎡의 건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80여개의 전시실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6.25 전쟁 북침설/허위 문건/북한의 승리로 끝났다는 선전물 등 역사 왜곡 및 프로파간다성 내용이 가득하다.박물관 외부에는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등 역사 왜곡 및 프로파간다적 기념물들이 가득하며 내부에는 6.25 전쟁에 사용된 무기들이 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쟁을 통틀어 북한이 미군 항공기 12,700대를 격추했다는(...) 상식적으로 불가능한 이야기들이 실려 있다.
4. 구성
4.1. 전시시설
- 본관(本館)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의 본 전시관에 해당된다. 보통강 건너편 서성구역에 있는 '대전해방작전관'과 연결통로로 이어져 있다. - 서울해방전투관
서울을 점령한 북한군 105전차사단, 3보병사단, 4보병사단 등을 선전하는 곳으로, 인공 치하의 서울 세트장, T-34 전차 모형, 서울을 침공한 각 사단의 군기가 전시되어 있다. - 근위부대관
6.25 전쟁 당시 근위칭호를 받은 14개의 부대들을 선전하는 곳으로, 14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근위부대관에는 각 부대의 역대 부대장들의 초상화, 각 부대의 전공기록, 전쟁시기 침공경로, 14개의 근위군기가 전시되어 있다. - 장진호반전투관
- 1211고지방어전투관
- 351고지공격전투관
- 대전해방작전대형전경화관(大田解放作戰大型前景化館)
대전 전투 관련 선전을 하는 공간이다. 원형 건물로서 건물 안에서 바깥쪽 벽에 붙어있는 대형 그림을 감상하는 공간이다. 다만 대전 전투는 북한이 이기긴 했지만 전략적으로 보면 유엔군의 지연전 성공으로 인해 낙동강 방어선을 북한이 돌파하지 못하게 된 전투였다는 것을 생각하면 신기한 부분이다.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祖國解防戰爭勝利紀念塔)
일명 '승리상(勝利象)'으로 불리는 동상. 인민군 병사가 인공기와 PPSh-41을 들고 있는 모습을 담고 있다.
- 푸에블로호(USS Pueblo)
푸에블로호 피랍사건에서 획득한 함정. 1998년에 김정일의 지시에 따라서 평양으로 옮겨왔는데 이 기념관 앞 보통강변에 정박해 뒀다.
- 공훈무기전시장(功勳武器展示場)
6.25 전쟁 때 인민군이 사용한 무기를 전시하는 공간이다.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앞 정원 중 남쪽 시설물에 해당된다. 전차나 전투기 모두 별 모양의 킬마크를 기본 10여개는 넘게 달고 있는데, 당연히 실제 전투에서 이런 전과를 거둔 기체는 아니고 전과 과장을 위해 임의로 그려넣은 것이다.
- 로획무기전시장(虜獲武器展示場)
6.25 전쟁 때 유엔군으로부터 획득한 무기를 전시하는 공간이다.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앞 정원 중 북쪽 시설물에 해당된다. 공훈무기전시장에 전시된 인민군의 무기와는 다르게 이곳에 전시된 무기들은 죄다 하나같이 반파 내지 격파당한 처참한 상태이거나 포신이 아래로 향해 있는 상태로 전시되고 있다. 유엔군이 패배했다는 것을 강조하려는 것인지 복원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
4.2. 전시품
D | 격파되거나 잔해인 것을 복원하지 않고 전시한 것이다. |
- 미국/영국
- 독일
- 15 cm sFH 18 - 1대가 전시 중인데 소련에서 공여한 게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5. 둘러보기
북한의 전쟁범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 학살 사건 | 서울대학교병원 학살 사건 | 고성군 학살 사건 | 고산군 천주교도 학살 사건 | 해주시 학살 사건 | 수안군 학살 사건 | 영흥군 학살 사건 | 함흥시 학살 사건 | 고원군 학살 사건 | 원산시 학살 사건 | 평양시 학살 사건 | 갑산군 학살 사건 | 신천·재령군 봉기 | 목사-의무병 학살 | 303 고지 학살 | 블러디 걸치 학살 | 선천 터널 학살 | 챕린-메딕 학살 | 개성 학살 | 태전 학살 | 서천등기소 학살 사건 | 대전형무소 학살 사건 | 전주형무소 학살 사건 | 서울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피해 사건 | 경기 북부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피해 사건 |
외국의 참전 | 중국인민지원군 | |
납북/납치 | 납북 | 납북 일본인 | |
강제 노역 | 정치범수용소/북한 | 로동교화소 | 청년돌격대 | 북한/인권 | |
강간 | 정치범수용소/북한/실상 | |
포로 | 6.25 전쟁/국군 포로 | |
기타 | 이산가족 | 6.25 전쟁 | 6.25 전쟁 학살 | 김일성 | 조선인민군 | 조선로동당 | |
도발 | 북한/대남 도발 | 북한/대미 도발 | 북한/대일 도발 | 북한 대미얀마 도발 | 북한 대말레이시아 도발 | |
핵개발 관련 | 북한의 핵개발 | 북한의 미사일 개발 | 북한 평산군 핵 폐수 방류 의혹 | 풍계리 핵실험장 | ICBM | |
관련 문서 | 틀:북한 관련 문서 | 틀:북한의 인권 침해 | 틀:북한의 역사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유럽 | |
아시아 | ||
아메리카 |
||<tablebordercolor=#fff,#333><tablewidth=100%><bgcolor=#fff,#333> ※현재 문서가 있는 박물관만 기재 ||
}}}}}} ||[1] 다만 누구나 알 듯이 중공군이 참전하지만 않았다면 북진통일은 하고도 남았다.[2] 물론 신청한다고 해서 승인될 가능성은 엄청나게 낮을 것이다. 북측이 당신에게 이 곳의 방문을 권유한다는 것은 '당신을 정치적으로 이용해먹겠다'는 말을 달리 표현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대한민국 국가보안법에 저촉될 위험성도 있다.[3] 안내판에는 M4A1이라고 적혀 있지만 A2버전이다.[4] 한대는 잔해상태이고 나머지 한대는 온전하나 다른 미제 전차들처럼 전차포가 아래로 향해있다.[5] 안내판에는 F-86D라고 적혀있는데 정작 사진은 일반 F-86으로 나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