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4 22:13:33

황주군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40001>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도인민위
사리원시
송림시 }}}
곡산군 금천군 린산군 봉산군 상원군
서흥군 수안군 승호군 신계군 신평군
연산군 연탄군 은파군 중화군 토산군
평산군 황주군 장단군
}}}}}}}}}
파일:북한 국기.svg 황해북도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황주군
黃州郡
Hwangju County
}}} ||
<colbgcolor=#ED1C27,#222222><colcolor=white>


<colbgcolor=#ED1C27,#222222><colcolor=white> 상위 황해북도
하위 1읍 28리



대의원
[ 펼치기 · 접기 ]
파일:wpk.jpg 리혜정 (제381호 황주선거구)
파일:wpk.jpg 로광섭 (제382호 청룡선거구)
파일:wpk.jpg 김철국 (제383호 삼정선거구)
파일:wpk.jpg 한철남 (제384호 흑교선거구)
시당 파일:wpk.jpg 림명철[1]
(황주군당 책임비서)
인민위 파일:wpk.jpg 위희선[2]
(황주군 인민위원회 위원장)
면적 517.10㎢
시간대 UTC+9
인구 155,215명 (2008년)
인구밀도 300명/km² (2008년)
관청
소재지

황주군 인민위원회
(위치 미상)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PRK2006_Hwangbuk-Hwangju.png
황주군 지도

1. 개요2. 지리3. 역사4. 교통5.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6. 명승고적7. 여담

[clearfix]

1. 개요

2008년 기준 인구 155,215명. 황주읍이 중심이다. 서쪽으로 대동강 하구에 있는 지역으로 재령강과도 접한다. 황해도의 '황'을 맡고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2. 지리

인근 남포시와 함께 사과의 생산지로도 알려진 곳이다.[3] 위성사진으로 황주 일대를 보면 토양이 붉은 것을 볼 수 있는데 테라로사 토양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지역이다.

3. 역사

한사군 시대에는 낙랑군(樂浪郡) 소속이었던 둔유현(屯有縣)[4]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시대고구려가 이 땅을 차지했는데 이 때는 동홀(冬忽)이라고 불렀다.[5]

신라가 이후 이곳을 병합하면서 신라 헌덕왕 때 취성군(取城郡)을 설치했다.[6] 일단 삼국사기 지리지의 기록상으로는 신라 9주 5소경한주에 속했는데, 신라 후기에 한주와 구분되는 특수 행정구역 패강진을 신라 서북면에 설치했다는 설을 긍정한다면 이 곳도 위치상 패강진 관할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후삼국시대에는 고구려계 호족과 유민의 근거지 중 하나가 되었는데, 바로 이곳에서 같은 패서 출신의 고구려 유민 계통 대호족인 왕륭, 유천궁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황보제공이 황주 일대를 다스리는 호족으로서 왕건을 도왔고, 황주 황보씨는 신정왕태후와 이후 천추태후까지 배출해 고려 초기 정국을 주도하는 주요 세력이었다. 고려시대부터 지금까지 사용하는 지명인 황주가 되었다. 고려 성종 2년에 목을 둘 때 황주목이 되었고, 8목으로 개편될 때도 목으로 남았다. 고려 말기에는 잠깐 북계로 이속됐다가 우왕 14년에 다시 서해도로 돌아왔고 조선시대에도 그대로 황해도 소속이 되어 황해도의 '황'에 해당되는 큰 도시로서 이름이 쭉 이어졌다. 그러나 1895년 23부제 실시 당시에는 기존 황해도 소속 군들 중 유일하게 평양부에 소속되어 있었다가, 13도제로 다시 바뀌면서 황해도로 돌아왔다. 철도에 설치되어 있었던 철화현은 1338년에 주현이 되었다가 나중에 다시 황주와 합쳐졌고 1396년에 다시 설치되었다가 1408년에 도로 황주에 합쳐진 것을 끝으로 복현되지 않았다.

일제강점기에도 대동강에 접한 겸이포(송림) 지역이 항만, 제철로 크게 발달했다. 1931년 읍으로 승격한 겸이포(송림)는 읍이었음에도 인구가 가장 적은 (오늘날의 )인 경상남도 진주시에 맞먹었을 정도(5만3천)였다. 하지만 겸이포(송림)가 해방과 함께 송림시로 분리 승격되면서 반토막이 났다. 광복 당시 황주군(송림 포함) 인구는 16만.

이북 5도 행정구역상 남쪽으로 봉산군, 동쪽으로 서흥군, 서쪽으로 재령강을 건너 안악군, 대동강을 건너 평안남도 용강군, 북쪽으로는 평안남도 중화군과 접한다. 한편 북한 행정구역상으로는 한때 평양시와 접하였으나 평양의 일부 지역을 쳐내면서 옛날 이야기가 되었으며[7], 봉산군에서 승격된 사리원시(인구 30만)와 남쪽에 접한다.
부군면 통폐합
1912년 내동리
內洞里
내남리
(內南里)
내서리
(內西里)
내북리
(內北里)
외남리
(外南里)
색곤리
(塞昆里)
남천리
(南川里)
외중리
(外中里)
외서리
(外西里)
향교리
(鄕校里)
사직리
(社稷里)
예동리
(禮洞里)
덕명리
(德明里)
녹사리
(綠沙里)
화동리
(和洞里)
상운리
(上雲里)
하운리
(下雲里)
1914년 덕월리
(德月里)
황강리
(黃崗里)
적벽리
(赤壁里)
성남리
(城南里)
벽성리
(碧城里)
제안리
(齊安里)
예동리
(禮洞里)
천황리 성북리
(城北里)
운봉리
(雲峰里)
신상리
(新上里)

4. 교통

평부선황주역이 있고, 송림선이 여기서 뻗어나간다. 황주군의 일부인 흑교는 교통 취락으로 평안남도 중화군 바로 남쪽에 위치하며, 흑교역이 있다.

5.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545b96>
파일:황해도 휘장(이북5도위원회) 하양.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해주시 상징.png
해주시
파일:송림시 상징.png
송림시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545b96> ||
파일:벽성군 상징.png
벽성군
파일:연백군 상징.png
연백군
파일:금천군 상징.png
금천군
파일:평산군 상징.png
평산군
파일:신계군 상징.png
신계군
파일:장연군 상징.png
장연군
파일:송화군 상징.png
송화군
파일:은율군 상징.png
은율군
파일:안악군 상징.png
안악군
파일:신천군 상징.png
신천군
파일:재령군 상징.png
재령군
파일:황주군 상징.png
황주군
파일:봉산군 상징.png
봉산군
파일:서흥군 상징.png
서흥군
파일:수안군 상징.png
수안군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50%> 파일:곡산군 상징.png
곡산군 ||<width=50%> 파일:옹진군 상징.png
옹진군 ||
명목상 도청소재지 : 해주시
}}}}}}}}} ||
황주군
黃州郡 / Hwangju County
파일:황주군기.png
파일:황주군.jpg

[8]
광복 당시 면적 822㎢
이북5도 행정구역 1읍 11면
  • 황주읍(黃州邑)
    • 관할 리 : 황강(黃崗), 덕월(德月), 동천(東天), 벽성(碧城), 성남(城南), 성북(城北), 신상(新上), 예동(禮洞), 운봉(雲峰), 적벽(赤壁), 제안(齊安)
    • 황강리에 읍사무소, 제안리에 군청이 있으며 경의선 황주역이 있다. 황주역에서 송림시 방향으로 송림선이 분기해 나간다. 읍의 남쪽을 황주천(황주강)이 흐르고 있다.
    • 황주읍성은 현재까지 남아 있다.
  • 구락면(龜洛面)
    • 관할 리 : 덕우(德隅), 구락(龜洛), 구룡(龜龍), 미산(眉山), 박산(朴山), 영암(靈巖), 월이(月移), 인훈(仁訓), 장평(長坪)
    • 군내 동남단의 면. 최동단이자 면소재지 덕우리는 서흥군 소사면 남죽리와 함께 북한 행정구역상 연탄군 연탄읍에 해당된다.
    • 면 남부에 1374년 창건된 고찰 심원사(心源寺)가 아직 남아 있고, 봉산군·서흥군과의 경계에 자비령이 있다.
  • 구성면(九聖面)
    • 관할 리 : 석산(石山), 구림(九林), 서정(西井), 용궁(龍宮), 용두(龍頭), 죽대(竹垈), 청운(靑雲), 화동(和洞)
    • 동쪽 천주면과의 경계선에 경의선 긴등역[A]이 있다. 청운리는 북한 치하에서 2008년에 송림시로 넘어간 2개 리 중 하나이다.
  • 도치면(都峙面)
    • 관할 리 : 도치(都峙), 가와(加瓦), 금송(金松), 노동(蘆洞), 대송(大松), 상산(商山), 성동(城洞)
  • 삼전면(三田面)
    • 관할 리 : 내송(內松), 석천(石泉), 외송(外松), 용전(龍田), 철도(鐵島)
    • 군내에서 유일하게 대동강과 접하는 면으로, 강 건너는 안악군 안곡면, 평남 용강군 다미면이다. 면의 북쪽 경계에 황주천이 흐른다.
    • 철도리의 철도(鐵島)는 하중도로 과거 유배지로도 쓰였으나, 현재 위성사진으로 보면 황주군 쪽 강폭은 좁은 곳은 15미터도 안 된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따르면 조선 초까지 존재했던 철화현(鐵和縣)이 이 섬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영풍면(永豊面)
    • 관할 리 : 냉정(冷井), 냉천(冷泉), 동산(東山), 성재(成財), 신정(新井), 영풍(永豊), 이정(梨井)
    • 송림선 장천리역이 있다.
  • 인교면(仁橋面)
    • 관할 리 : 소매(小梅), 능산(陵山), 묵치(墨峙), 문수(文秀), 상매(上梅), 여이(汝伊), 인제(仁濟), 창대(昌垈), 천파(川波)
  • 주남면(州南面)
    • 관할 리 : 내함(內咸), 금산(金山), 대세(大稅), 소선(小仙), 순천(順天), 율목(栗木), 이우(梨隅), 정방(正方)
    • 역사학자 박은식이 이곳 출신이다. 경의선이 통과하지만 역은 없어 이웃 청룡면의 침촌역을 이용한다. 이우리에 황주비행장이 있다.
    • 정방리 정방산에 정방산성, 정방약수, 성불사가 있다.
  • 천주면(天柱面)
    • 관할 리 : 내동(內東), 경천(敬天), 구이(九伊), 내교(內橋), 봉진(鳳進), 와동(瓦洞), 외두(外斗), 외상(外上), 외하(外下), 용계(龍溪), 이동(梨洞), 장좌(長佐)
    • 서쪽 구성면과의 경계선에 경의선 긴등역[A]이 있다.
  • 청룡면(靑龍面)
    • 관할 리 : 소관(小串), 구로(九老), 상비(上比), 인덕(仁德), 청룡(靑龍), 포남(浦南), 포북(浦北), 화산(華山)
    • 경의선 침촌역(村驛)[11]이 있다.
  • 청수면(淸水面)
    • 관할 리 : 금광(金光), 묵천(墨川), 석평(石坪), 원정(遠井), 인포(仁浦), 진교(榛橋), 청원(淸源), 토정(土井)
    • 인포리는 북한 치하에서 2008년에 송림시로 넘어갔다.
  • 흑교면(黑橋面)
    • 관할 리 : 흑교(黑橋), 고정(高井), 금석(金石), 내로(內蘆), 빙량(氷梁), 용연(龍淵), 용정(龍井), 원동(院洞), 장사(長沙), 정수(淨水), 정자(亭子), 청천(淸川), 흑천(黑川)
    • 경의선 흑교역이 있다.

6. 명승고적

월파루(月波樓)
月波樓의 一名은 湧金亭이라 하야 黃州城邑을 등지고 赤壁江沿岸에 놉히소사잇는 樓閣으로 高麗時代의 建物이며 그 建造에 잇서 藝術美를 極盡하야 자못 雄雅한 맛이잇고 附近에 風光이 明麗하야 西鮮唯一의 景勝地이다

7. 여담

  • 대표적인 전래동화 심청전의 배경이 되는 곳이다.


[1] 2022년[2] 2022년[3] 이북5도에서 쓰는 황주군 군기에도 사과가 들어가 있다.[4] 공손강이 이 둔유현을 기준으로 이남에 있는 지역을 대방군으로 삼았다.[5] 우동어홀(于冬於忽)이라고도 불렸다.[6] 세종실록 지리지 기준으로는 경덕왕 때 취성군이 되었다고 나와 있다.[7] 바로 위가 상원군, 중화군인데 여기가 평양에 들어갔다가 도로 분리되면서 엉뚱하게도 황해북도에 붙었기 때문.[8] 지도에서 송림시가 겸이포읍으로 써져 있다.[A] 광복 당시 및 1950년 국군의 수복 당시에는 없던 역이다.[A] [11] 자의 특성상 심촌역이라고도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