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40001>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시 | ||||
도소재지 해주시 | |||||
군 | |||||
강령군 | 과일군 | 룡연군 | 배천군 | 벽성군 | |
봉천군 | 삼천군 | 송화군 | 신원군 | 신천군 | |
안악군 | 연안군 | 옹진군 | 은률군 | 은천군 | |
장연군 | 재령군 | 청단군 | 태탄군 | ||
}}}}}}}}} |
松禾郡 / Songhwa County
송화군 松禾郡 / Songhwa County | ||
국가 | 북한 | |
인구 | 42,919명 | |
광복 당시 면적 | 723㎢ | |
광역시도 | 황해남도 | |
광복 당시 행정구역 | 13면 | |
시간대 | UTC+9 | |
[clearfix]
1. 개요
송화군(松禾郡)은 북한 황해남도 북서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삼천군, 서쪽으로 과일군, 남쪽으로 장연군, 북쪽으로 은률군과 접해 있는 군이다.한국의 서단에 위치하여 강수량이 적어 논농사보다는 밭농사와 과일농사를 많이 한다. 급기야 김씨 통치하에서 일부 지역이 '과일군'으로 변개되기까지 했다.
2. 역사
통일신라에서 한산주에 소속시키고 고을 이름을 웅한이(熊閑伊)라 이름붙였다.송화군이란 이름은 1408년에 청송현[1]과 가화현을 병합하면서 한 글자씩 따와서 송화현이라고 한 것이 시초이다. 1896년 황해도 송화군이 되었으며 1909년 풍천군(豊川郡, 현재의 과일군)을 병합하였다.
광복 후 국토가 분단되면서 북한 치하에 들어갔다. 1952년 북한이 행정구역 개편을 하면서 봉래면, 도원면, 장양면, 연방면 일부를 삼천군을 신설하면서 떼어줬고, 1967년에 옛 풍천군 지역에 위치한 과수농장지구를 과일군으로 분리하면서 면적이 대폭 축소되었다.
3. 교통
도로는 8번 국도와 54번 국도(대한민국 기준)가 지나간다.철도는 은률선과 장연선이 지나간다.
4.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545b96>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 | ||
해주시 | 송림시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545b96> 군 ||
벽성군 | 연백군 | 금천군 | 평산군 | 신계군 |
장연군 | 송화군 | 은율군 | 안악군 | 신천군 |
재령군 | 황주군 | 봉산군 | 서흥군 | 수안군 |
}}}}}}}}} ||
황해도의 미수복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 송화군 松禾郡 Songhwa County | }}} | |||
<colbgcolor=#19143C><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 송화읍 읍내리 | |||||
상위 행정구역 | 황해도 | |||||
하위 행정구역 | 13면 | |||||
면적 | 723.26㎢ | |||||
인구 | 87,648명[2] | |||||
인구밀도 | 121.18/㎢ | |||||
명예군수 | 윤인수 | |||||
명예읍·면장 | 13석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송화군 소개 |
광복 당시 13개 면이다.
4.1. 구 송화군 지역
아래 지역은 원래부터 송화군이었던 곳이다.- 송화면(松禾面)
- 도원면(桃源面)
- 관할 리 : 탑평(塔坪), 가화(佳花), 군산(群山), 공세(公稅), 도암(道巖), 동촌(東村), 매계(梅溪), 산현(山峴), 화계(花溪)
- 군(郡)의 남단에 위치한 면으로 고려 초 가화현(嘉禾縣)의 치소였다. 어천(魚川)이 서쪽 장연군 방향으로 흐른다.
- 봉래면(蓬萊面)
- 연방면(蓮芳面)
- 관할 리 : 구탄(九灘), 관천(冠川), 다암(多巖), 마산(馬山), 명례(明禮), 방림(芳林), 백화(白華), 연교(鷰郊), 청사(靑沙)
- 송화면 동남쪽에 있는 면. 송화면에서 흘러오는 위양천이 남대천에 합류하는 지점이다.
- 연정면(蓮井面)
- 장양면(長陽面)
- 관할 리 : 애천(艾川), 괴원(槐院), 동자(童子), 모정(茅井), 순막(筍幕), 억소(億沼), 연산(蓮山), 자양(紫陽), 전산(錢山), 주련(珠連), 평촌(坪村), 학령(鶴嶺), 효촌(孝村)
- 군의 동남단에 있는 면. 구릉지대를 어천(魚川)이 서쪽 도원면 방향으로 흐른다.
4.2. 구 풍천도호부 지역
아래 지역은 1909년에 송화군으로 흡수된 풍천군에 속했던 곳이다.- 상리면(上里面)
- 관할 리 : 도은(道隱), 신평(薪坪), 와룡(臥龍), 철관(喆舘), 화천(華川)
- 화천리에 화장사(華藏寺) 터가 있고 그 경내에는 12층 석탑이 남아 있었다.
- 운유면(雲遊面)
- 관할 리 : 사기(沙器), 간촌(間村), 다천(多川), 당관(唐舘), 당산(堂山), 서의(西儀), 송곡(松谷), 송학(松鶴), 송현(松峴), 용수(龍首), 조항(鳥項)
- 해안지대에 위치한 면. 면 최북단은 접도(蝶島)라는 작은 섬이다.
- 율리면(栗里面)
- 관할 리 : 세진(細眞), 당잠(唐岑), 대밀(大密), 대촌(大村), 보덕(保德), 신촌(新村), 월현(月峴)
- 서남부 내륙지대에 위치한 면으로 산내천(山內川)이 발원하여 운유면으로 흐른다. 장연군과의 경계에 박석산(礴石山, 596m)이 솟아있다. 은율선 철도는 지나지만 역은 없다.
- 진풍면(眞風面)
- 천동면(泉洞面)
- 풍해면(豊海面)
- 하리면(下里面)
- 관할 리 : 오정(五井), 노정(蘆井), 두복(斗福), 수사(水舍), 안농(安農), 장천(長泉), 청량(淸凉)
- 송화면과 풍해면 사이에 위치한 면으로 산수역이 있다.
[1] '청송 김씨'의 '청송'이 바로 이것. 경상북도 청송군이 아니다(한자는 같다).[2] 1944년 인구총조사[3] 북쪽으로 은율군 남부면과 경계를 접한다.[4] 산 자체를 수증산(修證山)이라 부르기도 한다.[5] 등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