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00:07:50

남포시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대한민국의 명목상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평안남도(이북5도위원회)/하위 행정구역]]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평안남도(이북5도위원회)/하위 행정구역#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평안남도(이북5도위원회)/하위 행정구역#진남포시|진남포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대한민국의 명목상 행정구역: }}}[[평안남도(이북5도위원회)/하위 행정구역]]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평안남도(이북5도위원회)/하위 행정구역#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평안남도(이북5도위원회)/하위 행정구역#진남포시|진남포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bgcolor=#FFF,#191919>
평양시
남포시 개성시 라선시
함경남도 함경북도 량강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자강도
황해남도 황해북도 강원도
[주의] 북한에서는 남한에서 'OO특별/광역시'라고 표기하는 것과 달리 'OO시'라고 표기한다.
[가] 북한 헌법과 조선로동당 규약상으로는 '직할시'만 명시적으로 존재하며, 평양시, 남포시, 라선시, 개성시를 모두 동급의 직할시(혹은 특별시)로 간주한다.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40001>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구역
{{{#!wiki style="margin: -16px -11px;" 강서구역 대안구역 와우도구역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천리마구역
시소재지
항구구역
}}}
{{{#!wiki style="margin: -16px -11px;" 룡강군 온천군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북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북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북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북한특별시
{{{#!wiki style="margin: -5px 0;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f2023>
남포시
南浦市 | Nampho City
}}}
<colbgcolor=#e40001><colcolor=#fff> 시소재지 항구구역 선창동 일대[1]
하위 행정구역 5구역 2
면적 1,295㎢
인구 약 983,660명[2]
인구 밀도 약 760명/㎢
당 위원회
책임비서


리재남
시 인민위원장

송승철
최고인민회의

25석[3]


1석[4]
지역번호 039
ISO 3166-2 KP-14
1. 개요2. 역사
2.1. 역대 책임비서/당위원장
3. 경제4. 교통5. 기후6. 행정구역7. 남북통일 이후 전망8. 시설9. 유적10. 기타11.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1. 개요

언어별 명칭
한국어 남포
남포시
영어 Nampho City[5]
러시아어 Нампхо
중국어 南浦(nánpǔ)
일본어 南浦(ナムポ[6] / なんぽ[7])

북한 평안도 지방의 남서부에 있는 항구도시이자 행정구역 관내 인구 기준으로 북한 제2의 도시.[8] 최근의 전면적인 북한 지리 자료인 2008년경의 《조선향토대백과》 자료로 인해 현재도 평안남도 소속이라는 오해가 있으나 2010년 한국의 광역시에 비유할 수 있는 도급의 도시가 되었다. 인구는 2008년 기준 약 98만 명. 최근에는 115만 명이라는 통계도 눈에 띄는 편. 왜냐하면 2008년 당시에는 특급시로 격하된 이후라 강서구역, 대안구역, 천리마구역이 군으로 떨어져 나간 상태였지만 2010년 이후 특별시로 승격되면서 이들 군이 다시 구역으로 편입된 것은 물론 온천군까지 편입했기 때문이다.## 북한이 2018년에 발간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요경제지대들>이라는 책자에서는 남포시의 인구가 근 100만 명이라는 언급이 있는 것으로 볼 때 북한 당국은 남포시의 인구를 98만명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보인다.

2. 역사

시기 당시 행정구역
고려 시대 ~ 조선 시대 삼화현
대한제국 평안남도 삼화부
평안남도 삼화군(1903~1906)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진남포부
1945년 평안남도 진남포시
1946년 평안남도 남포시
1978년 대안시 신설
1979년 남포시(직할시)
2004년 평안남도 남포시(특급시)
2010년 남포시(특별시)

고구려 초중기부터 중요한 도시였는지, 덕흥리 고분이나 강서삼묘 등 고구려 대형 고분이 많다. 고분 벽화 중 많은 수가 남포의 강서구역에 있는 고분들이 출처다. 하지만 정작 고구려가 이곳을 뭐라고 불렀는지는 남아있는 기록이 없다.

고려 때부터 삼화현(三和縣)이라 불렸다. 대한제국 시기 개항장으로 지정되면서 삼화부(三和府)로 승격되었고 1903년 삼화군으로 강등되었다가 1906년에 다시 삼화부로 승격되었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e2e2e>
파일:고시치노키리_White.svg
'''일제강점기
{{{+1'''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기도 평안남도
파일:경성부 휘장(1925-1945).svg파일:제2기 경성부 휘장_White.png 파일:인천부 휘장.svg파일:인천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개성부 휘장.png파일:미수복 경기도 개성시 휘장.svg 파일:신의주부 마크(1929~?).png파일:신의주부 화이트.svg 파일:평양부 마크(1922~?).png파일:평양부 로고_White.png 파일:진남포부 휘장.svg파일:진남포부 휘장 화이트.svg
경성부 인천부 개성부 평양부
함경북도 함경남도
파일:청진부 휘장.svg파일:청진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나진부 휘장.svg파일:나진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성진읍(1938~?)의 마크.png 파일:원산부 휘장.svg파일:원산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함흥부 휘장.svg파일:함흥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흥남읍(일제강점기)의 마크.png
청진부 나진부 성진부 원산부 함흥부 흥남부
황해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파일:해주부 마크(1939~?).png 파일:대전부 휘장 2기.svg파일:대전부 휘장 2기 화이트.svg 파일:군산부 마크(1928~?).png 파일:전주읍 마크(1930~?).png 파일:목포부 마크(1926~?).png 파일:광주부 휘장.svg파일:광주부 휘장 화이트.svg
해주부 대전부 군산부 전주부 목포부 광주부
경상남도
파일:대구부 마크(1927~?).png파일:대구광역시 휘장(일제강점기~1996)_White.svg 파일:부산부 휘장.svg파일:부산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마산부 휘장.svg파일:마산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진주부 마크(1940~?).png
대구부 부산부 마산부 진주부 }}}}}}}}}

1910년 일제강점기가 되면서 진남포부(鎭南浦府)로 개칭되었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개항장 외곽 지역(삼화면 등)을 용강군에 넘겨주었다.

해방 직전의 남포시 지도. 현재의 도시 배치와 유사하다.

8.15 광복 이후인 1951년이 아니라 1946년 8월에 남포로 바꿨다.#

본래 대동강 하구의 작은 어촌인 증남포(甑南浦)였으나, 증남포에 개항 이후 철도가 깔리고 급속히 발전했고, 진남포로 개칭되었다. 강점기 시절에 평양 외항구로써 그 무역량은 부산인천에 이은 전국 3위의 거대 항구였다고 한다. 대동강 하구에 면한 지리적 조건은 유리하지만 조수간만(潮水干滿)의 차가 커서 선박의 출입은 불편하다.

현재도 북한 무역의 대부분 지분을 차지하고 있는 주요 도시이자 평양의 외항 역할을 지속하고 있는 도시다. 북쪽으로는 평양시와 인접하여 평양남포간 고속도로로 이어져 있다. 대동강의 하구에 있어 평양의 외항 역할을 한다는 점이나 엄청난 조수간만의 차이 때문에 갑문식 독을 설치했다는 점, 무엇보다 변동이 있긴 하지만 광역행정구역으로 분리되기도 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남한의 인천광역시와 판박이라고 볼 수 있다. 인천 역시 한강의 하구와 맞닿아 있는 서울의 외항 역할을 하고 있고 경인고속도로경인선으로 두 도시가 이어져 있으며 조수간만의 차이 때문에 아시아 최대 규모의 갑문식 독을 인천항 내항에 설치했고 경기도에서 분리된 광역지방자치단체이기 때문이다.

1979년 12월에 남포시가 대안시, 룡강군과 함께 직할시(평양과 동급)가 되었으며 남포시는 남포구역으로 개편하였다. 1983년에는 남포구역이 항구 구역과 와우도구역으로 개편했으며 대안시는 대안구역, 천리마구역, 강서구역으로 개편하였다. 1988년 7월 서해갑문의 남단 지역이 은률군에서 편입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PRK2006_Pyongnam-Nampo.png
2004년~2010년의, 평안남도 소속 시이던 시절의 영역.

파일:남포시.png
2010년 특별시 승격 후 주변 지역을 편입한 모습.

2004년에 평안남도에 귀속되면서 특급시인 남포시로 대안구역, 천리마구역, 강서구역은 군으로 떨어져 나갔고[9], 항구구역과 와우도구역은 폐지되었다.

하지만 2010년 라선과 함께 특별시로 승격된 이후 기존 남포시 영역에 항구구역과 와우도구역이 설치되었고, 남포시로 운영되기 전 직할시로 운영되던 영역이었던 강서군, 대안군, 룡강군, 천리마군은 물론, 온천군까지 새로 편입하였다. 2010년의 편입 과정에서 강서군, 대안군, 천리마군은 구역으로 조정되었다.

이런식으로 행정구역 개편이 잦아서 대체 어디까지가 남포인지, 몇 명이 이 동네에 사는지 자료마다 다르다. 두산백과에서는 98만 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서는 86만 9천명, 통일부약 73만 명을 제시하고 있다. 통일부 통계는 남포에 편입된 강서구역, 대안구역, 룡강군, 천리마구역, 온천군의 인구가 포함 안 돼 있어 37만 명으로 적혀있지만, 해당 인구를 전부 더하면 98만 명이다. 함흥시보다도 많은 수치다.

2.1. 역대 책임비서/당위원장

3. 경제

남북경협 합작기업 중 하나인 평화자동차 공장이 여기에 있고, 승용차 등을 생산하고 있다. 이 외에 화성-12, 화성-13 등을 조립하는 태성기계공장도 여기에 위치한다.

특급기업소인 남포제련종합기업소가 해방 전 쿠하라(久原) 광업의 제련소가 위치한 남포시 하비석동에 있다.

대우그룹에서 남북 최초 합작공단인 남포공단을 개성공단보다 8년 앞선 1992년에 열었다. 그러나 대우의 자금난과 김우중회장의 정부와의 갈등 등으로 인해 1998년에 문을 닫았고, 1999년 철수해 이후 이 부지는 위에 서술된 평화자동차 공장으로 쓰인다.

파일:/image/001/2012/02/10/PYH2011022108930001300_P2.jpg

부동항으로 분류되었지만 지구 온난화서해갑문 건설의 부작용으로 결빙횟수가 늘고 있다. 1996년부터 2013년 초까지 17번의 겨울에서 남포항이 결빙되지 않은 것은 2번 뿐이고, 특히 2008년 말부터 2013년 초까지는 연속 5년째 결빙되고 있는 중인데다 평균 결빙일수도 50일에 달하고 있어 부동항 지위를 상실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위의 위성사진은 2012년 초의 모습이다.

그러나 해마다 60일 결빙되던 상황에서 2014년 2주 간 결빙이 있기도 했으며#, 2025년에도 1월이 아닌 2월이 되어서야 결빙되었다. #

4. 교통

평양남포간 고속도로가 여기에 연결되며, 철도로는 평남선이 여길 지난다. 참고로 남포선은 서해갑문과도 연결이 되어있다.

5. 기후

남포시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냉대기후에 속한다. 최한월인 1월 평균기온은 -4.6°C이며 최난월인 8월의 평균기온은 23.9°C로 연교차는 28.5°C로 비교적 큰 대륙성 기후에 속한다. 겨울이 길고 혹독한 북한에서는 비교적 따뜻한 곳이라 할 수 있다. 허나 어디까지나 북한에서 겨울이 따뜻하다는 뜻이지 정말로 겨울이 따뜻하다는 뜻은 아니다.

남포의 위도는 포르투갈의 수도 리스본과 비슷한데[10] 리스본의 1월 평균기온은 영상 11.6°C로 한반도 전체를 통틀어 가장 겨울이 따뜻한 서귀포시보다도 훨씬 더 따뜻하다. 최난월인 8월의 평균기온은 23.5°C로 남포와 비슷하다. 즉, 여름은 두 곳의 기온이 비슷하지만 겨울은 남포가 리스본보다 훨씬 더 춥다는 뜻이다. 남포가 리스본보다 훨씬 더 추운 이유는 리스본이 난류인 멕시코 만류의 혜택으로 온화한 데 비해[11] 남포는 대륙 동안에 위치하여 시베리아에서 불어오는 찬바람을 직격탄으로 맞기 때문이다. 게다가 평안도 지역은 동해안과는 또 다르게 북부에서 내려오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을 직접 받아 겨울철 비가 적고 한랭한 만주지역과 비슷한 경향성을 보인다. 즉 연강수량은 925mm로 한반도 내 대표적인 소우지이다. 옆동네인 평양시와 마찬가지로 대동강 일대는 비가 적게 오는 편이며, 여름에도 한참 남쪽의 한강을 끼고 있는 서울 못지않게 더운 편이다. 개마고원이나 함경북도에 비하면 많이 오는 편이지만 남한과 비교하면 영남 내륙 지방보다도 비가 적게 온다.

6.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40001>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구역
{{{#!wiki style="margin: -16px -11px;" 강서구역 대안구역 와우도구역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천리마구역
시소재지
항구구역
}}}
{{{#!wiki style="margin: -16px -11px;" 룡강군 온천군 }}}
}}}}}}}}}

7. 남북통일 이후 전망

통일 이후에는 한창 경제 붐이 일어날 평양시와 (남포시를 포함한) 그 위성도시들의 외항으로서 상당한 주가를 달릴 것이다. 물론, 서해안 항구로서의 역할은 인천항, 평택·당진항 등의 수도권 항구와 목포항 등의 서남권 항구들에게 밀리겠지만, 굳이 인천에다가 짐을 싣고 평양으로 옮길 일이 없는 이상 자체적인 경쟁력은 보유한 것으로 보는 게 맞다. 다만, 평양-남포권이 서울-인천권하위호환인 데다가 남포항이 부동항의 지위를 상실했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성장 기대는 접는 것이 좋다.[12] 평양과의 접근성 때문에 평양에서 사업을 하거나 평양에 살고 싶기는 해도 당장 여건이 되지 않는 주민들에게는 이주희망지역 1순위가 될 수도 있고 평양국제비행장의 지형적 제한성 때문에 새로운 국제공항부지 선정지로도 입지가 탄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물류업으로 개성시사리원시와 더불어 유력한 후보지로 각광받을 가능성도 있다[13].

통일 이후에 이름이 남포시에서 진남포시가 될지는 미정이다. 1963년에 당시 문교부의 '북한을 포함한 공산권 지명 통일안'에서 겸이포를 송림, 혜산진을 혜산으로, 만포진을 만포로 하듯이 진남포는 남포로 하기로 했지만,# 이후로도 한동안 신문기사를 보면 '진남포' 명칭도 상당히 많이 사용되었다. 일제 때 신문기사에서조차 남포와 진남포가 혼용되어 사용되었다.

8. 시설

9. 유적

고구려 수도였던 평양 근교라서 유네스코 세계유산 <고구려 고분군>의 일부로 등재된 강서삼묘, 덕흥리 벽화분, 약수리 벽화분, 수산리 벽화분, 룡강대총, 쌍영총 등 고구려 무덤이 대량 존재한다.

10. 기타

  • 한국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1985년 남포에 30층, 100m 높이 아파트 '남포 타워'가 세워졌다고 하나 원산시에 있는 북망 타워[14]와는 달리 인터넷에 공개된 사진이 없다.
  • 북한에서 자강도가 충성심이 비정상적으로 높아[15] 김정일이 '고난의 행군 시기 가장 정든 고장'이라고 말했다면, 남포 또한 김일성이 추억했다고 하는 충신이나 사례가 많은 고장이다. 북한을 상징했던 천리마 운동이 시작된 곳이자 종파사건이 일어나자 종파들을 보내주면 용광로에 넣어버리겠다고 말한 천리마구역의 강선제강소[16][17], 종파들이 어쩌고 저쩌고 해도 김일성을 끝까지 지지한다고 말했던 강서구역 태성리의 태성할머니[18], 북한 헌법에까지 나와있던 청산리 방법[19], 현재까지도 북한의 모든 공장 당사업의 기본 원칙인 대안의 사업체계[20]까지 모두 남포에서 일어난 일이다.

파일:남포 야경.png
  • 2014년 이전 촬영된 야경 사진이 존재하는데, 북한의 열악한 전력 사정을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21]

11.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1] 당위원회 청사 위치는 알려지지 않고 있고, 당위원회의 감독을 받는 인민위원회 청사는 근처 와우도구역에 있다. 2020년 1월 25일 시당위원회가 물 문제를 해결했다는 내용의 노동신문 기사에 따르면 정확히는 김부자 동상 주변을 '시소재지'라고 부르고 있다.[2] 2008년 기준 북한 인구조사인구주택총조사 통계 기준. 2010년 특별시 승격 당시 편입된 지역을 포함한 수치로, 2008년 당시 평안남도 남포시의 인구는 365,000명이었다.[3] 항구구역 강양모, 박준호, 송승철, 최동명, 강덕춘
와우도구역 리길춘, 김득삼, 장룡식, 독고창국
강서구역 김평해, 정철준, 윤춘화, 리광철
천리마구역 김한일, 박광호, 리남선, 김계관
대안구역 최승룡, 로익
룡강군 임종실, 창재룡
온천군 림경만, 조경국, 신인옥, 신동호
[4] 강서구역 김영재[5]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Namp'o,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은 Nampho[6] 남포, 한국어 발음 기준[7] 난포, 일본식 음독 기준[8] 실질적으로는 청진 또는 함흥이 북한 제2의 도시로 간주된다. 남포시는 시가지와는 떨어져 있는 강서, 용강, 천리마, 대안 등의 별개의 지역까지 한꺼번에 한 행정구역으로 묶은 것이기 때문. 함흥 역시 인구가 많던 흥남시(흡수 이전 약 36만)를 흡수한 것이라 실질적으로는 제2의 도시를 청진으로 간주한다고 한다.[9] 라선시도 비슷한 길을 걸었다. 직할시에서 오랫동안 돌아오지 못하다 2019년에 겨우 다시 승격한 개성시도 있다.[10] 남포 : 북위 38° 44', 리스본 : 북위 38° 42' 50"[11] 사실 이는 서유럽 대부분이 다 포함되는 이야기다.[12]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된다면 남포항도 먼 미래에 다시 부동항 지위를 되찾을 수도 있긴 하다. 그리고 평양의 외항 역할을 하는 남포항은 서해갑문 통과 문제, 낮은 안전성 등이 문제가 되어 기존 남포항을 보수, 증축하기보다는 다른 곳에 신항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큰데, 남포가 평양 기준으로 정서향의 최단거리에 있는 것은 아니라서 북한 기준으로 증산군에 속하는 지역(구 강서군의 서해안 지대)에 신항이 건설될 거라는 예측이 존재한다.[13] 통일 직후, 이북 지역 재개발 및 재건으로 상주해야 할 남한 인력들로 사리원시와 더불어 각광받을 곳이다. 특히 남포는 사리원시에 비해 평양에 더 가깝다.[14] 1984년 완공된 32층, 150m 높이 아파트로, 평양 밖에 있는 건물 중 가장 높은 건물이다.[15] 어느 정도냐고 하면 평양 사람들도 기겁할 정도라고 한다.[16] 현재의 천리마제강연합기업소[17] 이때문에 심심하면 강선의 노동계급이라는 어구를 들먹이며 따라배우라고 선전하고 있으며 영화까지 만들어졌다.[18] 이 사례도 영화로 만들어져 연일 신문에 났었다.[19] 강서구역 청산리에서 일어난 일[20] 대안구역 대안기계공장에서 김일성이 발상한 것이다.[21] 사진의 배경은 사진의 왼쪽에 위치해 있다.[22] 1924년생으로, 세는 나이로 100세를 맞이했다. 덕원신학교 출신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