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9 01:21:11

진주시/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진주시

1. 고대

삼국 시대 진주시 행정구역 변천사
거열성
(居烈城)
(663년 이전)
거타주
(居陀州)
(663)
청주
(菁州)
(685)
강주
(康州)
(757)
청주
(菁州)
(799)
강주
(康州)
(825)

남강 유역을 따라 구석기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진주 대평리, 이곡리 청동기 유적이 유명한데, 대평리 유적은 기원전 청동기시대 마을 취락, 방어시설, 전쟁 유적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처음으로 들어선 나라는 삼한변한의 12국 중의 고순시국(古淳是國)으로 추정되며,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과 더불어 고령가야(古寧伽倻)로 추정되는 곳이기도 하다. 자타국 역시 진주 지역으로 비정되기도 한다.

가야의 영역이었다가 신라 진흥왕 때 신라에 편입되었다. 이후 문무왕 3년(663) 거타주(居陀州)라 불리게 되었다가 신문왕 5년(685)에 청주(菁州)로 그 명칭이 변경되었다. 참고로 충청북도 청주시와는 한자가 다르다.

신라 경덕왕 16년(757) 강주(康州)로 불리게 되었다. 이 때부터 통일신라9주 5소경 중 지금의 도청(행정)에 해당하는 치소를 강주에 설치해, 강주 11군 27현을 관할하는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이 때부터 1천 년 이상 지금의 서부경남+경북 남부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경주시, 상주시와 더불어 영남의 주요 도시로 기능하게 된다.

후삼국시대에는 호족 윤웅이 진주를 지배하다 의령태수 왕봉규가 찬탈한다. 왕봉규는 권지강주사를 자칭하고 강주의 지배자로 후삼국시대 중후반부 927년까지 살아남아 번영했지만 고려군의 침공으로 멸망했다.

2. 고려

고려 시대 진주시 행정구역 변천사
강주
(康州)
(천수 1)
진주
(晉州)
(940)
태조 23년(940) 진주(晉州)로 개명되었다. 성종 2년(983) 전국 12목중 하나인 진주목으로 승격되었다. 한때 경상진주도, 진합주도라는 이름으로 지역명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이후 무신정권 집권자였던 최충헌, 최이, 최항 삼부자는 진주를 봉토로 받아 공작으로 군림하였다.[1]

3. 조선

조선 시대 진주시 행정구역 변천사
진양대도호부
(晉陽大道護府)
(1392)
진주
(晉州)
(1402)
태조 1년(1392) 진양대도호부[2]로 정해지다가 태종 2년(1402) 전국 20목 중의 하나인 진주목으로 강등되었다.

남강을 따라 형성된 충적평야가 있고, 바다와 인접해 있어 각종 물자가 풍부하며, 탁월한 교통과 입지조건 덕분에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본격적으로 대도시로 거듭나게 되었다. 기생 문화로 대표되는 유흥문화는 풍요롭고 인구가 많은 대도시가 아니면 발달할 수가 없는데, 조선 3대 기생하면 강계 기생, 평양 기생, 그리고 진주 기생이었다. 그렇게 진주는 조선시대 경상도에서 경주, 상주에 버금가는 중요한 도시로 기능했다.

또한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 전투가 벌어진 곳이었으며 당시 내성과 외성, 절벽과 해자, 남강으로 둘러싸인 천혜의 요새였으며 전라도로 가는 길목을 잡는 중요 거점 지역이었다. 그래서 1862년 임술농민봉기(진주민란)가 벌어졌다는 건 당시 조선이 자정작용이 거의 불가능한 막장상태에 빠졌다는 의미가 된다. 진주 같은 대도시에 민란까지 벌어질 지경이면 당시 안동 김씨 정권은 손도 못 쓸 정도니까.

하동군 평사리 최참판댁에 살던 소설 토지의 주인공 서희간도 용정에 갔다가 귀국한 후에는 하동이 아닌 진주에서 살게 되는 것도 이런 맥락. 이후 소설의 상당 부분이 진주를 배경으로 이루어진다. (2부 이후부터) 이 시기 백정들의 권리 찾기 운동인 형평운동(1923년)이 일어난 곳도 이 곳이다.

고종 32년(1895)에 고종이 8도제를 폐지하고 전국을 23부로 나누어 관찰사를 두었는데 이때 진주에는 23부 중의 하나인 진주부(지금의 도격)가 설치되고, 진주목은 진주군으로 개칭되어 군수(참서관)를 두었다.

1896년 경상도가 남북으로 분할될 때 경상남도청 소재지가 되었다.

4. 일제강점기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e2e2e>
파일:고시치노키리_White.svg
'''일제강점기
{{{+1'''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기도 평안남도
파일:경성부 휘장(1925-1945).svg 파일:인천부 마크(1921~1945).png 파일:개성부 휘장.png 파일:신의주부 마크(1929~?).png 파일:평양부 마크(1922~?).png 파일:진남포부 마크(1924~?).png
경성부 인천부 개성부 평양부
함경북도 함경남도
파일:청진부 마크(1933~?).png 파일:나진부 마크(1937~?).png 파일:성진읍(1938~?)의 마크.png 파일:원산부 마크(1926~?).png 파일:함흥부 마크(?~?).png 파일:흥남읍(일제강점기)의 마크.png
청진부 나진부 성진부 원산부 함흥부 흥남부
황해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파일:대전부 2기(1939~?) 마크.png 파일:군산부 마크(1928~?).png 파일:목포부 마크(1926~?).png 파일:광주부 마크(1925~?).png
해주부 대전부 군산부 전주부 목포부 광주부
경상남도
파일:대구부 마크(1927~?).png 파일:부산부 마크(?~?).png 파일:마산부 마크(1936~?).png 파일:진주부 마크(1940~?).png
대구부 부산부 마산부 진주부 }}}}}}}}}
갑오개혁 이후 진주시 행정구역 변천사
진주군
(晋州郡, 1896)
진주부(晋州府, 1939)
진양군(晋陽郡)
진주시(晋州市, 1949)
진양군(晋陽郡)
진주시
(1995)
일본어로는 신슈(Shin-shū)라고 독음되었다. 1914년 함안군 상봉면, 하봉면, 상사면이 진주군에 편입되어 사봉면이 되었고, 진주군 축동면, 부화곡면, 곤양군(昆陽郡)을 사천군으로 통폐합하면서 내륙 도시가 되었다. 또한 양전면이 창원군에 흡수되었다.

무역항으로서 부산부, 마산부의 입지가 급상승하면서, 1925년 경상남도청이 진주에서 부산으로 이전되었다.[3]

1938년 진주읍에 도동면, 평거면이 편입되고, 1년 후 진주읍이 진주부로 승격되고 진주군의 잔여지역이 진양군으로 개칭되었다.

5. 대한민국

1949년 진주부가 진주시로 개칭되었다.

1950년 6.25 전쟁 때 폭격으로 진주시청사가 전소되었고 구시가지 대부분이 파괴되었다. 이후 시가지 복원 사업을 통해 만들어진 시가지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중앙시장도 그때 지금의 위치로 왔다고 한다.

1973년 진양군 정촌면과 내동면의 일부가 진주시에 편입되었다. 이후 1995년 진주시와 진양군이 다시 통합되었고 그 해 3월 2일 문산면이 문산읍으로 승격되었다. 남강댐 건설로 생겨난 호수인 '진양호'의 이름은 옛 진양군에서 따온 이름이다.

2015년 12월 17일 경상남도청 서부청사가 개청되어 90년 만에 도청의 일부 기능이 환원되었다.


[1] 당시 고려는 군현제였으며 고려가 봉한 오등봉작제는 형식상 봉건제이다. 진짜로 땅을 떼어내줘서 공작으로 봉하는 건 고대 중국의 주나라의 제도로 진작 끝난 제도였다.[2] '진양(晉陽)'이란 이름은 훗날 진주군 진주읍이 ()로 승격 분리되면서, 남은 진주군이 개칭된 '진양군'으로 부활했다. 또한 조선 세조(수양대군)의 왕자 시절 봉호 중 하나인 '진양대군(晉陽大君)'의 '진양'도 여기서 딴 것.[3] 물론 진주에서 극심한 반대운동이 일어났지만 끝내 막을 수 없었다. 이후 부산이 경상남도에서 분리되면서 경상남도청을 다시 이전해야 하는 상황이 찾아오자 마산과 진주가 유치를 놓고 대립했으나 결국 누구도 얻지 못하고 1983년 계획도시인 창원으로 가버렸다. 도청이 진주를 떠난지 90년이 지나서야 서부청사가 진주에 문을 열며 반쯤이나마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