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 행정구역 변천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지역 구분 | 시내 지역 | 칠곡 지역 | 안심 지역 | 시지 지역 | 현풍 지역 | 군위군 지역 | |||
양주 수창군 대구현 壽昌郡 大丘縣 757 | 양주 수창군 팔리현 壽昌郡 八里縣 757 | 양주 장산군 章山郡 750 | 양주 화왕군 현효현 火王郡 玄驍縣 757 | 상주 숭선군 군위·효령·부림현 軍威縣 757 | 구산현 龜山縣 650 | |||||
영남도 수성군 대구현 壽城郡 大丘縣 940 | 영남도 수성군 팔리현 壽城郡 八里縣 940 | 영동도 장산현 章山縣 940 | 영남도 창녕군 포산현 昌寧郡 苞山縣 940 | 영남도 상주목 군위·효령·부계현 壽城縣 1018 | 영남도 안동부 구산현 義興郡 1012 | |||||
영남도 경산부 대구현 京山府 大丘縣 1018 | 영남도 경산부 팔거현 京山府 八莒縣 1018 | 영동도 경주부 하양현 慶州府 河陽縣 1018 | 영동도 경주부 장산현 慶州府 章山縣 1018 | 영남도 밀성부 현풍현 密城府 玄風縣 1018 | 영남도 일선군 군위·효령·부계현 軍威縣 1143 | 영남도 안동부 의흥군 義興郡 1062 | ||||
경상도 대구현 大丘縣 1394 | 경상도 성주목 팔거현 星州牧 八莒縣 1401 | 경상도 경주부 하양현 慶州府 河陽縣 1395 | 경상도 경주부 경산현 慶州府 慶山縣 1395 | 경상도 현풍현 玄風縣 1314 | 경상도 군위현 軍威縣 1390 | 경상도 의흥현 義興縣 1413 | ||||
경상도 대구군 大丘郡 1419 | ||||||||||
경상도 대구도호부 大丘都護府 1466 | 경상도 칠곡도호부 漆谷都護府 1640 | |||||||||
대구부 대구군 大邱郡 1895 | 대구부 하양군 안심면 河陽郡 安心面 1896 | 경상북도 의흥군 義興郡 1896 | ||||||||
경상북도 대구군 大邱郡 1896 | 경상북도 하양군 안심면 河陽郡 安心面 1896 | |||||||||
[[일제강점기| 일제 ]] 강점기 | ||||||||||
대한민국 | 경상북도 대구시 大邱市 1949 | |||||||||
대구직할시 大邱直轄市 1981 |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2e2e2e>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기도 | 평안남도 | ||||
경성부 | 인천부 | 개성부 | 평양부 | |||
함경북도 | 함경남도 | |||||
청진부 | 나진부 | 성진부 | 원산부 | 함흥부 | 흥남부 | |
황해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
해주부 | 대전부 | 군산부 | 전주부 | 목포부 | 광주부 | |
경상남도 | ||||||
대구부 | 부산부 | 마산부 | 진주부 | }}}}}}}}} |
경상북도의 부 (府)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1f2023> | 대구부 大邱府 Taikyū City | }}} | |||
<colbgcolor=#2e2e2e><colcolor=#fff> 부청 소재지 | 대구부 동운정(東雲町) 소재[1] | |||||
상위 행정구역 | 경상북도 | |||||
하위 행정구역 | 44정 28동 (1938년 이후) | |||||
면적 | 116.82km²(1938년) | |||||
인구 | 206,638명(1944년) | |||||
존속기간 | 1910년 10월 1일 ~ 1949년 8월 14일[2] |
대구부청 현재의 대구광역시의회 자리에 있었다. |
본정통의 모습 현재의 서성로 일대로 당시 대구의 주요 도로였다. |
[clearfix]
1. 개요
일제강점기 당시 설치되었던 부로 현재 대구광역시의 전신이다. 일본어로는 다이큐(たいきゅう, Taikyū)라고 불렀다.2. 역사
1910년 일제에 의해 대구군 지역에 대구부가 설치되었다. 1911년에 중심 시가지 지역에 있던 서상면과 동상면을 합쳐 대구면을 설치하였고 1914년에는 대구면을 제외한 지역을 달성군으로 분리하면서 면적이 크게 줄어들었으나 1938년 달성군과 경산군 일부를 편입해 면적이 늘어났다. 하위 행정구역으로 일본인 거주지역은 정(町), 조선인 거주지역은 동(洞)을 사용하여 구분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1914년 달성군 분리 당시의 대구부 지역과 1917년 편입한 현 대봉동 일대는 정을 사용했지만 1938년에 편입한 지역은 동을 사용했다.1917년 4월 1일에, 동년 2월 15일에 공포한 조선총독부령 제9호로 달성군 수성면 대명동과 봉덕동의 각 일부를 대구부에 편입해 대봉정(현 중구 대봉동)을 신설하였다.
1938년 10월 1일에 달성군 수성면, 달서면(감삼동 제외), 성북면 3개 면을 대구부에 편입하였다.
소화13(1938)년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09.27. 공포)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경상북도 달성군 수성면 대명동, 봉덕동, 두산동, 지산동, 범물동, 황청동, 범어동, 효목동, 만촌동, 상동, 중동, 하동, 신천동, 신암동 | 경상북도 대구부 대명동, 봉덕동, 두산동, 지산동, 범물동, 황청동, 범어동, 효목동, 만촌동, 상동, 중동, 하동, 신천동, 신암동 |
경상북도 달성군 달서면 원대동, 조야동, 평리동, 비산동, 노곡동, 성당동, 내당동, 상리동, 중리동, 이현동 | 경상북도 대구부 원대동, 조야동, 평리동, 비산동, 노곡동, 성당동, 내당동, 상리동, 중리동, 이현동 |
경상북도 달성군 달서면 감삼동 | 경상북도 달성군 성서면 감삼동 |
경상북도 달성군 성북면 침산동, 산격동, 검단동, 복현동 | 경상북도 대구부 침산동, 산격동, 검단동, 복현동 |
경상북도 달성군 성북면 동변동, 서변동, 연경동 | 경상북도 달성군 공산면 동변동, 서변동, 연경동 |
1940년대 초까지 조선 제4의 도시였으나 인천부가 경성의 외항 및 공업도시로써 발전하면서 순위가 밀려났다. 그러나 인구 밀도는 인천부를 2배 이상 압도했으며 해방 전까지 조선 5대 도시 자리를 유지했다.
특이한 점으로, 일제강점기에 정해진 각 부의 휘장은 대부분 해방 후 교체되었으나, 대구부 휘장은 해방 후에도 오랫동안 교체되지 않고 1996년까지 대구시와 대구직할시의 휘장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그런 이유로, 지금도 대구광역시의 맨홀에서는 이 휘장을 종종 찾아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