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0 20:10:05

대구부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행정구역 변천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지역 구분
시내 지역
칠곡 지역
안심 지역
시지 지역
현풍 지역
군위군 지역
양주
수창군 대구현
壽昌郡 大丘縣
757
양주
수창군 팔리현
壽昌郡 八里縣
757
양주
장산군
章山郡
750
양주
화왕군 현효현
火王郡 玄驍縣
757
상주
숭선군 군위·효령·부림현
軍威縣
757
구산현
龜山縣
650
영남도
수성군 대구현
壽城郡 大丘縣
940
영남도
수성군 팔리현
壽城郡 八里縣
940
영동도
장산현
章山縣
940
영남도
창녕군 포산현
昌寧郡 苞山縣
940
영남도
상주목 군위·효령·부계현
壽城縣
1018
영남도
안동부 구산현
義興郡
1012
영남도
경산부 대구현
京山府 大丘縣
1018
영남도
경산부 팔거현
京山府 八莒縣
1018
영동도
경주부 하양현
慶州府 河陽縣
1018
영동도
경주부 장산현
慶州府 章山縣
1018
영남도
밀성부 현풍현
密城府 玄風縣
1018
영남도
일선군 군위·효령·부계현
軍威縣
1143
영남도
안동부 의흥군
義興郡
1062
경상도
대구현
大丘縣
1394
경상도
성주목 팔거현
星州牧 八莒縣
1401
경상도
경주부 하양현
慶州府 河陽縣
1395
경상도
경주부 경산현
慶州府 慶山縣
1395
경상도
현풍현
玄風縣
1314
경상도
군위현
軍威縣
1390
경상도
의흥현
義興縣
1413
경상도
대구군
大丘郡
1419
경상도
대구도호부
大丘都護府
1466
경상도
칠곡도호부
漆谷都護府
1640
대구부
대구군
大邱郡
1895
대구부
칠곡군
퇴천·문주·팔거면
漆谷郡 退川·文朱·八居面
1895
대구부
하양군 안심면
河陽郡 安心面
1896
대구부
경산군 북면
慶山郡 北面
1896
대구부
경산군 서면
慶山郡 西面
1896
대구부
현풍군
玄風郡
1895
경상북도
군위군
軍威郡
1896
경상북도
의흥군
義興郡
1896
경상북도
대구군
大邱郡
1896
경상북도
칠곡군
퇴천·문주·팔거면
漆谷郡 退川·文朱·八居面
1896
경상북도
하양군 안심면
河陽郡 安心面
1896
경상북도
경산군 북면
慶山郡 北面
1896
경상북도
경산군 서면
慶山郡 西面
1896
경상북도
현풍군
玄風郡
1896
[[일제강점기|
일제
강점기
]]
경상북도
대구부
大邱府
1910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면
漆谷郡 漆谷面
1914
경상북도
경산군 안심면
慶山郡 安心面
1914
경상북도
경산군 고산면
慶山郡 孤山面
1914
경상북도
달성군
達城郡
1914
경상북도
군위군
軍威郡
1914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
大邱市
1949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
漆谷郡 漆谷邑
1980
경상북도
경산군 안심읍
慶山郡 安心邑
1973
경상북도
경산군 고산면
慶山郡 孤山面
1980
대구직할시
大邱直轄市
1981
대구광역시
大邱廣域市
1995
대구광역시
大邱廣域市
2023
}}}}}}}}}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e2e2e>
파일:고시치노키리_White.svg
'''일제강점기
{{{+1'''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기도 평안남도
파일:경성부 휘장(1925-1945).svg파일:제2기 경성부 휘장_White.png 파일:인천부 휘장.svg파일:인천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개성부 휘장.png파일:미수복 경기도 개성시 휘장.svg 파일:신의주부 마크(1929~?).png파일:신의주부 화이트.svg 파일:평양부 마크(1922~?).png파일:평양부 로고_White.png 파일:진남포부 휘장.svg파일:진남포부 휘장 화이트.svg
경성부 인천부 개성부 평양부
함경북도 함경남도
파일:청진부 휘장.svg파일:청진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나진부 휘장.svg파일:나진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성진읍(1938~?)의 마크.png 파일:원산부 휘장.svg파일:원산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함흥부 휘장.svg파일:함흥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흥남읍(일제강점기)의 마크.png
청진부 나진부 성진부 원산부 함흥부 흥남부
황해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파일:해주부 마크(1939~?).png 파일:대전부 휘장 2기.svg파일:대전부 휘장 2기 화이트.svg 파일:군산부 마크(1928~?).png 파일:전주읍 마크(1930~?).png 파일:목포부 마크(1926~?).png 파일:광주부 휘장.svg파일:광주부 휘장 화이트.svg
해주부 대전부 군산부 전주부 목포부 광주부
경상남도
파일:대구부 마크(1927~?).png파일:대구광역시 휘장(일제강점기~1996)_White.svg 파일:부산부 휘장.svg파일:부산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마산부 휘장.svg파일:마산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진주부 마크(1940~?).png
대구부 부산부 마산부 진주부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제강점기 경상북도부(府)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fff,#191919> 파일:대구부 마크(1927~?).png파일:대구광역시 휘장(일제강점기~1996)_White.svg대구부
大邱府
Taikyū City
}}}
<colbgcolor=#2e2e2e><colcolor=#fff> 부청 소재지 <colbgcolor=#fff,#000> [ruby(동운정,ruby=東雲町)] 295
(現 중구 동인동1가 2-1)[1]
상위 행정구역 경상북도
하위 행정구역 44정 28동 (1938년 이후)
면적 116.82km²(1938년)
인구 206,638명(1944년)
존속기간 1910년 10월 1일 ~ 1949년 8월 14일[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경상북도폐지된 부(府)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경상북도 대구시.png파일:대구광역시 휘장(일제강점기~1996)_White.svg대구부
大邱府
Taegu City
}}}
부청 소재지 동인동 295
상위 행정구역 경상북도
하위 행정구역 72동
면적 116.82km²(1938년)
인구 206,638명(1944년)
현재 인구 1,168,184명[3]
존속 기간 1945년 8월 15일 ~ 1949년 8월 14일[4]
파일:대구부청.jpg
대구부청
현재의 대구광역시의회 자리에 있었으며, 1949년 6월 화재로 전소되었다.
파일:대구본정통.jpg
[ruby(혼,ruby=本)][ruby(마치,ruby=町)][ruby(도리,ruby=通り)](서문로)의 모습
현재의 서문로 일대로 당시 대구의 주요 도로였다.
1. 개요2. 역사3. 역대 부윤

1. 개요

일제강점기 당시 설치되었던 부로 현재 대구광역시의 전신이다. 일본어로 다이큐(역사적 가나 표기법: タイキウ, 현대 가나 표기법: たいきゅう,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 Taikyū)라고 불렀다.

2. 역사

1910년 일제에 의해 대구군 지역에 대구부가 설치되었다. 1911년에 중심 시가지 지역에 있던 서상면과 동상면을 합쳐 대구면을 설치하였고 1914년에는 대구면을 제외한 지역을 달성군으로 분리하면서 면적이 크게 줄어들었으나 1938년 달성군과 경산군 일부를 편입해 면적이 늘어났다. 하위 행정구역으로 일본인 거주지역은 정(町), 조선인 거주지역은 동(洞)을 사용하여 구분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1914년 달성군 분리 당시의 대구부 지역과 1917년 편입한 현 대봉동 일대는 정을 사용했지만 1938년에 편입한 지역은 동을 사용했다.

1917년 4월 1일에, 동년 2월 15일에 공포한 조선총독부령 제9호로 달성군 수성면 대명동과 봉덕동의 각 일부를 대구부에 편입해 대봉정(현 중구 대봉동)을 신설하였다.

1938년 10월 1일달성군 수성면, 달서면(감삼동 제외), 성북면(무태 제외) 3개 면을 대구부에 편입하였다.
소화(昭和) 13년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09.27. 공포)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경북 달성군
慶北 達城郡
수성면
壽城面
[ruby(대명동,ruby=大明洞)], [ruby(봉덕동,ruby=鳳德洞)], [ruby(두산동,ruby=斗山洞)], [ruby(지산동,ruby=池山洞)], [ruby(범물동,ruby=凡勿洞)], [ruby(황청동,ruby=黃淸洞)], [ruby(범어동,ruby=泛漁洞)], [ruby(효목동,ruby=孝睦洞)], [ruby(만촌동,ruby=晩村洞)], [ruby(상동,ruby=上洞)], [ruby(중동,ruby=中洞)], [ruby(하동,ruby=下洞)], [ruby(신천동,ruby=新川洞)], [ruby(신암동,ruby=新巖洞)] 경북 대구부
慶北 大邱府
[ruby(대명동,ruby=大明洞)], [ruby(봉덕동,ruby=鳳德洞)], [ruby(두산동,ruby=斗山洞)], [ruby(지산동,ruby=池山洞)], [ruby(범물동,ruby=凡勿洞)], [ruby(황청동,ruby=黃淸洞)], [ruby(범어동,ruby=泛漁洞)], [ruby(효목동,ruby=孝睦洞)], [ruby(만촌동,ruby=晩村洞)], [ruby(상동,ruby=上洞)], [ruby(중동,ruby=中洞)], [ruby(하동,ruby=下洞)], [ruby(신천동,ruby=新川洞)], [ruby(신암동,ruby=新巖洞)]
달서면
達西面
[ruby(원대동,ruby=院垈洞)], [ruby(조야동,ruby=助也洞)], [ruby(평리동,ruby=平里洞)], [ruby(비산동,ruby=飛山洞)], [ruby(노곡동,ruby=魯谷洞)], [ruby(성당동,ruby=聖堂洞)], [ruby(내당동,ruby=內堂洞)], [ruby(상리동,ruby=上里洞)], [ruby(중리동,ruby=中里洞)], [ruby(이현동,ruby=梨峴洞)] [ruby(원대동,ruby=院垈洞)], [ruby(조야동,ruby=助也洞)], [ruby(평리동,ruby=平里洞)], [ruby(비산동,ruby=飛山洞)], [ruby(노곡동,ruby=魯谷洞)], [ruby(성당동,ruby=聖堂洞)], [ruby(내당동,ruby=內堂洞)], [ruby(상리동,ruby=上里洞)], [ruby(중리동,ruby=中里洞)], [ruby(이현동,ruby=梨峴洞)]
[ruby(감삼동,ruby=甘三洞)] 경북 달성군
慶北 達城郡
성서면
城西面
감삼동
성북면
城北面
[ruby(동변동,ruby=東邊洞)], [ruby(서변동,ruby=西邊洞)], [ruby(연경동,ruby=硏經洞)] 공산면
公山面
[ruby(동변동,ruby=東邊洞)], [ruby(서변동,ruby=西邊洞)], [ruby(연경동,ruby=硏經洞)]
[ruby(침산동,ruby=砧山洞)], [ruby(산격동,ruby=山格洞)], [ruby(검단동,ruby=檢丹洞)], [ruby(복현동,ruby=伏賢洞)] 경북 대구부
慶北 大邱府
[ruby(침산동,ruby=砧山洞)], [ruby(산격동,ruby=山格洞)], [ruby(검단동,ruby=檢丹洞)], [ruby(복현동,ruby=伏賢洞)]

같은해, 편입된 지역에 부 출장소(府 出張所)를 설치했다.
소화(昭和) 13년 대구부출장소설치조례 제22호(1938.11.2. 공포)
출장소명 관할지역 소재지
동부출장소
東部出張所
종전 수성면(壽城面) 중동 492-1
中洞 492-1
서부출장소
西部出張所
종전 달서면(達西面) 중 대구부 편입지역 평리동 707
平里洞 707
북부출장소
北部出張所
종전 성북면(城北面) 중 대구부 편입지역 산격동 851
山格洞 851

1920년대까지는 조선 제4의 도시였으나 인천부가 경성의 외항 및 공업도시로써 발전하면서 순위가 밀려났지만 인구 밀도는 인천부를 2배 이상 압도했으며 해방 전까지 조선 5대 도시 자리를 유지했다.

특이한 점으로, 일제강점기에 정해진 각 부의 휘장은 대부분 해방 후 교체되었으나, 대구부 휘장은 해방 후에도 오랫동안 교체되지 않고 1996년까지 대구시와 대구직할시의 휘장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그런 이유로, 지금도 대구광역시의 맨홀에서는 이 휘장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했다. 일인 관료들이 물러나게됨에 따라, 부윤(府尹)자리 또한 공석이 되었는데, 당시 부부윤(副府尹)으로 근무하던 권영세[5]씨가 10월 미군이 대구를 접수할 때까지 그 업무를 대리했다.

1949년 8월 15일, 전국의 모든 부(府)가 시(市)로 개칭됨에 따라, 대구부대구시로 개칭되었다[6].

3. 역대 부윤

역대 경상북도 대구부윤 참조



[1] 현재 저 건물이 남아있는 것은 아니고 1949년 6월 화재로 전소되었다가 1955년 미군의 원조로 재건되었다. 현재는 시의회 의사당으로 사용되고 있다.[2] 1949년 8월 15일 대구시로 개칭[3] 현재 대구광역시 중구, 서구, 남구 전역, 달서구 성당동/두류동, 동구(안심1~3동, 혁신동/공산동 제외), 수성구(고산1~3동 제외), 북구(칠곡지구/연경동 제외) 지역 인구[4] 행정구역명 개칭. 부(府)를 시(市)로.[5] 제2대 경상북도 대구부윤, 초대 경상북도 달성군수. 친일반민족행위자.[6] 다만, 세간의 인식-개칭이 아닌 승격이라 주장하는 것과는 달리, 이는 단순한 개칭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