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이인의 前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한명숙 문서 참고하십시오.
화관문화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1987 손목인 작곡가 | 1988 이봉수 바이올리니스트 | 1988 정윤주 작곡가 | 1988 황문평 작곡가 | 1991 박창오[1] 가수 | ||||
1992 이경모 사진작가 | 1995 이미자 가수 | 1996 김혜자[2] 가수 | 1997 김덕용[3] 배우, 희극인 | 1997 임성기 언론인 | |||||
1998 코리아나 가수, 1988 서울 올림픽 주제가 《손에 손 잡고》를 부름 | 1999 김용걸 발레리노 | 1999 김지영 발레리나 | 1999 현동주[4] 가수 | 2000 한명숙 가수 | |||||
2001 강명보 문화원장 | 2001 김병학 문화원장 | 2001 문호근† 뮤지컬 연출가 | 2001 민형근 문화원장 | 2001 송해 희극인 | |||||
2001 장수봉 문화원장 | 2001 황용주 국악인 | 2002 김진원 문화원장 | 2002 박광태 극단대표 | 2002 백기현 오페라 단장 | |||||
2002 이은임[5] 한복 디자이너 | 2002 이창교 문화원장 | 2002 정호돈 문화원장 | 2002 최종규 문화원장 | 2002 허종성 문화원장 | |||||
2003 김영임 국악인 | 2003 노상준 문화원장 | 2003 변훈† 작곡가 | 2003 양중해 시인 | 2003 이영철 문화원장 | |||||
2003 이칠용 공예가 | 2003 정영삼 한국민속촌회장 | 2003 정지옥 문화원장 | 2004 김상희 가수 | 2004 김직승 출판가 | |||||
2004 김태환 한국영상박물관장 | 2004 서현석 지휘자 | 2004 송춘희 대중예술가 | 2004 신정교 문화원장 | 2004 윤수옥 문화원장 | |||||
2004 윤통웅 한국예술실연자단체연합회장 | 2004 이춘희 국악인 | 2004 최용문 문화원장 | 2005 남선우 문화원장 | 2005 신영희 국악인 | |||||
2005 정광태 코미디언, 가수 | 2005 정범태 사진작가 | 2005 조규돈 강릉문화원 사무국장 | 2005 홍성덕 국악인 | 2006 김세윤 문화원장 | |||||
2006 김인배 작곡가 | 2006 김인수[6] 국극배우 | 2006 서진길 사진작가 | 2006 이인숙 박물관장 | 2006 이춘화 출판가 | |||||
2006 임규흥[7] 무용인 | 2006 장영 문화원장 | 2006 장주원 공예가 | 2007 김성환 연기자 | 2007 김영섭 문화원장 | |||||
2007 류복현 문화원장 | 2007 이순희 한국음악재단 회장 | 2007 진태옥 패션디자이너 | 2007 최성준[8] 가수 | 2008 구자흥 안산 문화예술의전당 관장 | |||||
2008 김계담 문화원장 | 2008 김현 시각디자이너 | 2008 박공서 기업인 | 2008 박영수 청주문화원 고문 | 2008 배용준 배우 | |||||
2008 이영춘[9] 가수 | 2009 이케다 다이사쿠 창가학회 회장 | 2010 박두식†[10] 희극인 | 2017 임영주 문화원장 | 2018 강봉식 이와테 현립대학 교수, 일본한국어교육학회 설립 유공 | |||||
2018 방탄소년단[11] 가수 | 2018 천한봉 도예가 | 2020 장상호 전국문화원연합회 국장 | 2024 최수종 배우 | ||||||
<colbgcolor=#E9E96A><colcolor=#000> 한명숙 韓明淑 | Han Myung-sook | |
성명 | 한명숙 |
출생 | 1935년 12월 1일 ([age(1935-12-01)]세) |
평안남도 진남포시 | |
가족 | 배우자 이인성[1], 슬하 2남 1녀 |
종교 | 불교 |
데뷔 | 1953년 주한미8군 무대 데뷔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가수.2. 생애
젊은 시절 |
대한민국의 원로 가수.
대표곡으로는 '노란 샤쓰의 사나이'가 있다.
그러나 1971년에 남편과 사별한 이후 2004년에 급속히 몰락하여 현재 월수입조차 없이 사글세방에서 매우 가난하게 살고 있다고 한다. 설상가상으로 공황장애를 앓고 있는 아들의 치료비로도 많은 돈이 들어갔다. #
그래도 2013년 1월에는 역시 같은 동료 원로 가수들인 명국환, 안다성, 금사향 등과 함께 신곡 녹음에도 참여한 바 있다. #
현재도 소중규모의 콘서트에서 노래 활동을 하고 있다고 전해지며, 인천광역시와 서울특별시 등에서 거주했다.
한명숙 가요무대 스페셜 |
가수 한명숙의 트레이드 마크이자 명곡 《노란 샤쓰의 사나이》. 시간이 흘러서 이 노래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선수단 입장곡으로 나오기도 했다.
2022년 근황으로 병원에서 퇴원한 후 휠체어에 의지하여 지내고 있다고 한다. #
3. 수상
- 2012년 제12회 대한민국 전통가요대상 원로가수상
- 2010년 문화체육관광부 감사패
4. 대표곡
5. 여담
- 후배 가수 한혜진의 본명이 한명숙이다.
- 가요무대 첫방송부터 쭉 출연하다가 2000년대 후반 이후로 TV에 나오지 않는다.
- 공부를 할 형편이 안 돼서 중졸 출신에 인천광역시에 정착 한 뒤에 가수로 데뷔했다고 한다.
- 휘버스의 멤버이자 한양대 작곡과 출신 이일권이 아들이다.
[1]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상사 출신이며, 한명숙이 36세이던 1971년경에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