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강동구에 대한 내용은 강동구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40001>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구역 | |||
대동강구역 | 대성구역 | 동대원구역 | 락랑구역 | |
력포구역 | 룡성구역 | 만경대구역 | 모란봉구역 | |
보통강구역 | 사동구역 | 삼석구역 | 서성구역 | |
선교구역 | 순안구역 | 은정구역 | 시인민위 중구역 | |
평천구역 | 형제산구역 | 화성구역 | ||
군 | ||||
강남군 | 강동군 | |||
동* | ||||
방현동 | ||||
* 2018년에 평안북도 구성시에서 평양시로 편입됨. |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40001>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181818,#e5e5e5 | 읍 | 인민위 강동읍 | ||||||||
로동자구 | 고비로동자구 | 남강로동자구 | 대리로동자구 | 영남로동자구 | 상리로동자구 | |||||
속추로동자구 | 송가로동자구 | 하리로동자구 | 흑령로동자구 | |||||||
리 | 구빈리 | 동리 | 난산리 | 룡흥리 | 맥전리 | |||||
명의리 | 문화리 | 문흥리 | 봉화리 | 삼등리 | ||||||
송석리 | 순창리 | 태잠리 | 향목리 | 화강리 |
평양시의 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 강동군 江東郡 Kangdong County | }}} | |||
<colbgcolor=#e40001><colcolor=#fff> 군소재지 | 강동읍 | |||||
광역행정구역 | 평양시 | |||||
하위 행정구역 | 1읍 9로동자구 18리[1] | |||||
면적 | 516km² | |||||
인구 | 221,539명[2] | |||||
인구 밀도 | 429명/km² | |||||
군 당위원장 | | 미상 | ||||
최고 인민 회의 | <colbgcolor=#e40001><colcolor=#ffffff> 강동 | | 조준모 (재선) | |||
봉화 | | 김재옥 (초선) | ||||
삼등 | | 김정철 (초선) | ||||
상리 | | 강표영 (초선) | ||||
흑령 | | 김표훈 (초선) | ||||
송석 | | 황강철 (초선) | ||||
지역번호 | 02, 0195 |
[clearfix]
1. 개요
평양시 동부의 군. 이름 그대로 대동강의 동쪽에 있다.2. 상세
현재 기준 1읍 9로동자구 18리로 구성되어 있다. 1999년 12월에 평성시에서 1개리[3]를 편입했고, 2010년대에 또 다시 평성시에서 2개리[4]를 편입했다. 군의 북서쪽을 서강(西江)이 관통하고, 남쪽은 대동강을 통해 황해북도의 중화군과 수안군과 인접한다.군소재지는 강동읍이다.
행정구역상으로는 평양시 소속이지만 평양 중심 시가지와는 거리가 먼 지역으로, 읍내 외에는 완연한 시골인 것을 위성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평양강동간 고속도로를 통해 이동이 비교적 쉽다.
2022년 5월에는 '림경로동자구'라는 지명이 확인되었다.
2023년 11월 노동신문 기사에서는 농촌 개발로 '송금리'가 들어섰다고 한다.
3. 역사
한사군 시대에는 낙랑군(樂浪郡) 사망현(駟望縣)이었다가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고려 전기에 서경기가 신설되었을 때 그곳에 속해 있었다가 1136년 서경기를 6개 현으로 분할할 때 잉을사향(仍乙舍鄕)·반석촌(班石村)·박달곶촌(朴達串村)·마탄촌(馬灘村)을 합쳐서 현재 강동군의 모태가 되는 강동현(江東縣)이 만들어졌다. 삼등현도 같은 시기에 성주군 소속 부곡 3개를 떼어 신설되었다.
고려 중기 최충헌의 무신정권기에 고려군과 몽골 제국군, 동하군과 결성한 연합군이 후요(대요수국)를 멸망시킨 전투인 강동성 전투가 이곳에서 벌어졌다.
한때 성주의 속현이 된 적도 있었으나, 1391년에 다시 현령이 생겼다.
1908년 삼등현을 흡수하였다.
1947년 대동군 시족면, 중화군 풍동면, 청룡면을 편입하였다.
1983년 3월 평양시로 편입되었다.
4.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2d914b>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 시 | 평양시 | 진남포시 | |||||||
군 | 대동군 | 순천군 | 맹산군 | 양덕군 | 덕천군 | |||||
파일:성천군 상징.png 성천군 | 강동군 | 중화군 | 용강군 | 영원군 | ||||||
강서군 | 평원군 | 안주군 | 개천군 | |||||||
명목상 도청소재지 : 평양시 | }}}}}}}}} |
광복 당시 1읍 5면이었다.
- 승호읍(勝湖邑)
- 강동면(江東面)
- 고천면(高泉面)
- 관할 리 : 열파(閱波), 고성(古城), 관학(冠鶴), 광덕(廣德), 구암(龜巖), 도덕(道德), 동서(東西), 마학(馬鶴), 맥전(麥田), 명(明), 반석(盤石), 삼성(三成), 선광(先光), 수(壽), 용천(龍泉), 천답(泉畓), 향교(鄕校)
- 1929년 폐지된 고읍면 고성리·맥전리·명리·향교리를 편입하였다.
- 봉진면(鳳津面)
- 관할 리 : 한왕(漢王), 건천(乾泉), 고성(姑城), 금곡(金谷), 동(東), 동삼(東三), 문왕(文旺), 변희(卞希), 봉당(鳳塘), 봉호(鳳湖), 북삼(北三), 상단(上端), 신(新), 연(蓮), 외단(外端), 용연(龍淵), 운룡(雲龍), 중단(中端), 하단(下端), 향목(香木)
- 1929년 구지면, 마산면과 고읍면 동삼리·북삼리를 조합하여 신설하였다.
- 면소재지인 한왕리에는 일명 한왕묘(漢王墓)라는 고분이 있다.
- 삼등면(三登面)
- 관할 리 : 봉의(鳳儀), 고류(古柳), 문명(文明), 고봉(古鳳), 대(垈), 명학(鳴鶴), 반룡(攀龍), 봉래(鳳來), 봉서(鳳瑞), 봉오(鳳梧), 사단(社壇), 사탄(沙灘), 상동(上東), 생금(生金), 석름(石凜), 석문(石門), 속추(束芻), 송가(松街), 송석(松石), 영대(靈臺), 옥정(玉井), 용연(龍淵), 자양(紫陽), 제령(祭靈), 청탄(淸灘), 태잠(太岑)
- 조선시대에는 삼등현이라는 독립된 고을이었으나 1908년(융희 2) 강동군에 흡수되었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영주면(靈宙面)을 편입하였다. 삼등탄광에서 무연탄을 채굴하였으며, 철도는 평덕선 삼등역과 삼등탄광선 대리역이 있다.
- 황해도 수안군과 맞닿은 동남쪽 남강 중 일부 구간은 삼십육동천(三十六洞川)이라는 기암절벽의 경승지다.
- 원탄면(元灘面)
5. 출신 인물
[1] 2012년 기준. 2010년대 이후로 평성시에서 2개리를 넘겨받았다.[2] 2008년 10월 기준 내각 중앙통계국 인구주택총조사 통계[3] 경신리[4] 월포리, 하단리[5] #[6] 고천면 맥전리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