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3 23:02:52

평덕선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777777,#555555> 본선 강원선 · 금강산청년선 · 만포선 · 백두산청년선 · 북부내륙선 · 청년이천선 · 평남선 · 평덕선 · 평라선 · 평부선 · 평의선 · 함북선 · 황해청년선
제1지선 강계선 · 강덕선 · 개천선 · 개천탄광선 · 고건원선 · 고비선 · 고원탄광선 · 고참탄광선 · 관하선 · 구봉산선 · 구성선 · 금강산청년선 · 금골선 · 금야선 · 다사도선 · 단풍선 · 대각선 · 대건선 · 대안선 · 대향선 · 덕남선 · 덕산선 · 덕현선 · 도지리선 · 두만강선 · 두언선 · 득장선 · 라진항선 · 령대선 · 룡강선 · 룡문탄광선 · 룡성선 · 명당선 · 무산선 · 문천항선 · 배천선 · 백마선 · 백무선 · 보산선 · 봉산선 · 봉천탄광선 · 북청선 · 삼등탄광선 · 삼지연선 · 서해갑문선 · 서호선 · 세천선 · 솔골탄광선 · 송도원선 · 송림선 · 승리선 · 신흥선 · 안주탄광선 · 압록강선 · 오시천선 · 옹진선 · 운봉선 · 운하선 · 은률선 · 은산선 · 일탄선 · 잉포선 · 장상선 · 재동선 · 조양탄광선 · 창흥선 · 천내선 · 천성탄광선 · 철산선 · 청년팔원선 · 청진항선 · 춘두선 · 평북선 · 평양화전선 · 홍의선
제2지선 녕변선 · 만덕선 · 부포선 · 삼공일선 · 성산인입선 · 수풍선 · 신성선 · 신온전용선 · 안천전용선 · 장연선 · 장진선 · 정도선 · 직동탄광선 · 청남선 · 회둔탄광선 · 회령탄광선 · 후산선
폐선 강안선 · 개천청년선 · 과일선 · 금천탄광선 · 남동선 · 동포선 · 룡암선 · 리원선 · 마평선 · 명학선 · 박천선 · 보천선 · 서창선 · 서해리선 · 석하리선 · 성평선 · 시정선 · 안골선 · 운산선 · 원산항선 · 잠진리선 · 청화력선 · 최가령선 · 태탄선 · 토해선 · 토해선 · 형봉선 · 홍군선 · 회암선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
<colcolor=#fff><colbgcolor=#ED1C27> 평덕선
平德線 | Phyŏngdŏk Line
파일:attachment/평덕선_1.jpg
노선 정보
분류 본선철도
기점 평양역
종점 구장청년역
역 수 37개
개업 1911년 9월 1일 (평양탄광선)
소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운영
사용차량 불명
차량기지 불명
노선 제원
노선연장 189.7 ㎞
궤간 1,435 ㎜
선로구성 단선
사용전류 직류 3,000V 가공전차선
신호방식
최고속도 불명
표정속도 불명
통행방향 왼쪽
개통 연혁 1911.9.1. 평양 ↔ 사동 (평양탄광선)
1918.5.5. 사동 ↔ 승호리 (평양탄광선)
1939.6.29. 승호리 ↔ 석름 (서선선)
1939.11.14. 석름 ↔ 평남강동 (서선선)
1941.10.1. 신성천 ↔ 북창 (서선선)
1944.12.28. 북창 ↔ 옥천 (서선선)
1945.5.25. 옥천 ↔ 장안 (서선선)

1. 개요2. 역사
2.1. 평양탄광선2.2. 서선선2.3. 덕팔선2.4. 노선 통폐합~현재
3. 역 목록
3.1. 1945년 8월 15일 이전3.2. 폐역
4. 관련 문서

1. 개요

대동강역구장청년역을 잇는 철도 노선.

대동강-향장 구간은 평양철도총국, 두일령-구장청년 구간은 개천철도총국 관할로 분류되어 있으며 북한의 수도 평양승호, 강동, 은산, 북창, 덕천, 구장 등 평안남도 일대의 탄광도시들을 연결하는 북한의 핵심 노선 중 하나이다.

대동강역에서는 평부선를 거쳐 평양역으로 이어지고, 신성천역에서는 평라선과 교차하며, 구장청년역에서는 만포선에 이어진다.

1979년 6월부로 전 구간에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2. 역사

평덕선은 북한에서 평양탄광선, 서선선의 전 구간과 덕팔선의 일부 구간을 통폐합한 노선이라 각 노선마다 별도로 서술한다.

2.1. 평양탄광선

  • 1911년 9월 1일: 평양 - 사동 구간 개통
  • 1918년 5월 5일: 사동 - 승호리 구간 연장 개통
  • 1920년 10월 15일: 선교리역 개업.[1]
  • 1925년 11월 1일: 청룡역 개업 및 명당선 개통[2]
  • 1934년 11월 1일: 입석리역 개업 및 고비선 개통.[3]

2.2. 서선선

  • 1939년 6월 29일: 서선중앙철도 주식회사 승호리-석름 구간 개통
  • 1939년 11월 14일: 석름 - 평남강동 구간까지 연장
  • 1941년 10월 1일: 신성천 - 북창 구간 개통
  • 1942년 9월 18일: 평남강동 - 신성천 구간 개통
  • 1944년 4월 1일: 승호리 - 신성천 구간이 조선총독부 철도국에 인수 및 평양탄광선으로 편입
  • 1944년 12월 28일: 북창 - 옥천 구간이 개통되었다.[4]
  • 1945년 5월 25일: 옥천 - 장안 구간 개통[5]

2.3. 덕팔선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청년팔원선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 1940년: 서선중앙철도에서 서선선의 지선 개념으로 덕천 - 구장 - 팔원 구간의 철도노선 신설을 계획하면서 1940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의 승인이 떨어지자[6] 덕천역 너머로 덕팔선 착공
  • 1945년: 태평양 전쟁 종전 및 해방으로 장상리역 이후의 구간은 공사 중단
  • 1945년: 소련군정 주도 하에 향장역 개업 및 기존 덕팔선의 향장 - 장상 구간은 장상선이라는 별도 지선으로 분류
  • 1954년: 향원 - 구장 - 팔원 구간 선로 개통 및 덕팔선 준공

2.4. 노선 통폐합~현재

태평양 전쟁의 종전과 함께 광복을 맞이하는 것도 잠시 1946년 38선을 기준으로 남북이 분단되면서 소련군정 내에 건설된 대부분의 조선총독부 철도국 노선이 기존 평양탄광선과 서선선이 국유화되었고, 두 노선을 통합하여 평덕선으로 개칭한다.

전쟁이 끝나고 덕팔선 공사가 구장역을 거쳐 팔원역까지 개통되자 덕팔선의 향장 - 구장 구간은 평덕선으로 편입되었고, 또한 대동강 - 미림 까지의 중간 선로들이 일부 이설되어 지금의 노선이 형성된다.

1979년 6월 전 구간의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3. 역 목록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 규정에 따라 적었다.
평덕선 역 목록
역명 역간거리 기점거리 구 역명 분기노선 비고 소재지
평양 平壤 -2.6 -2.6 평의선
평남선
평양 중구역
대동강 大同江 0.0 0.0 평부선 평양 선교구역
동평양 東平壤 3.2 3.2 평양 력포구
송신 松新 3.2 6.4 평양 사동구
미림 美林 7.0 13.4
청룡 靑龍 5.9 19.3 명당선
립석리 立石里 1.8 21.1 고비선 황북 승호구
승호리 勝湖里 4.8 25.9
만달리 晩達里 4.2 30.1
화천 貨泉 3.8 33.9
금옥 金玉 4.7 38.6
송가 松街 3.2 41.8 덕산선 평양 강동구
삼등 三登 6.4 48.2 삼등탄광선
흑령 黑嶺 3.3 51.5
석름 石凜 4.0 55.5
강동 江東 8.5 64.0 평남강동(Phyŏngnam Kangdong / 平南江東)
백원 百源 8.0 72.0 평남 성천군
성천 成川 9.2 81.2 평남성천(Phyŏngnam Sŏngchŏn / 平南成川)
삼덕 三德 7.0 88.2
신성천 新成川 6.1 94.3 평라선
금평 錦坪 7.4 101.7 풍평(Phungphyŏng / 豊坪)
원창 院倉 5.7 107.4 령대선 평남 은산군
구정 九井 3.6 111.0 재동선
송남청년 松南靑年 7.0 118.0 송남(Songam / 松南) 솔골탄광선 평남 북창군
가창 假倉 4.0 122.0
북창 北倉 8.4 130.4 관하선
득장선
옥천 玉泉 3.5 133.9
구현 鳩峴 2.4 136.3 잉포선
회안 檜安 3.4 139.7
남덕 南德 5.4 145.1 장안(Jangan / 長安) 평남 덕천시
제남 濟南 4.0 149.1
남덕천 南德川 3.7 152.8 덕남선
덕천 德川 2.0 154.8 서창선
향원 鄕元 4.7 159.5
향장 鄕長 5.7 165.2 장상선
두일령 杜日嶺 4.2 169.4
함가 咸家 7.8 178.2 평북 구장군
구장청년 球場靑年 14.1 192.3 구장(Kujang / 球場) 만포선
청년팔원선
룡암선

3.1. 1945년 8월 15일 이전

역명 한자 환승노선 소재지
0.0 대동강 大同江 경의선 평양시
3.3 선교리 船橋里
7.5 사동 寺 洞
10.8 미림 美 林
16.7 청룡 靑 龍 대동군 청룡면
18.5 입석리 立石里 강동군 승호읍
23.3 승호리 勝湖里
31.3 화천 貨 泉
39.2 송가 松 街 강동군 삼등면
45.7 삼등 三 登
49.0 흑령 黑 嶺
53.0 석름 石 凜
61.5 평남강동 平南江東 강동군 강동면
69.5 백원 百 源 성천군 통선면
76.0 순덕 順 德 성천군 성천면
78.7 평남성천 平南成川 성천군 통선면
85.7 삼덕 三 德 성천군 삼덕면
91.9 신성천 新成川 평원선
99.3 풍평 豊 坪 성천군 쌍룡면
105.0 원창 院 倉 순천군 신창면
108.6 구정 九 井
111.1 월포 月 浦
119.6 가창 假 倉 맹산군 보인면
128.0 북창 北 倉 맹산군 옥천면
133.9 옥천 玉 泉
140.3 장안 長 安 덕천군 덕천면

3.2. 폐역

<rowcolor=#ffffff> 이전역 역명 다음역 폐역일 폐역 사유 비고
동평양 선교리 船橋里 송신 불명 대동강 - 미림 구간 선로 이설
송신 사동 寺洞 미림 불명
백원 순덕 順德 성천 불명 불명

4. 관련 문서


[1] 조선총독부관보 다이쇼 제2455호, 1920년 10월 16일.[2] 조선총독부관보 다이쇼 제3956호, 1925년 10월 26일.[3]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2328호, 1934년 10월 12일.[4]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5376호, 1945년 1월 10일.[5]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5500호, 1945년 6월 6일.[6]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4021호, 1940년 6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