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bgcolor=white,black> 본선 철도 | ||||
평라선 | 강원선 | 금강산청년선 | 만포선 | 백두산청년선 | |
청년이천선 | 평남선 | 평덕선 | 평부선 | 평의선 | |
함북선 | 북부내륙선 | 황해청년선 | |||
제1지선 철도 | |||||
대건선 | 은산선 | 천성탄광선 | 고원탄광선 | 금야선 | |
신흥선 | 서호선 | 창흥선 | 북청선 | 두언선 | |
단풍선 | 금골선 | 일탄선 | 고참탄광선 | 대향선 | |
강덕선 | 청진항선 | 라진항선 | 천내선 | 문천항선 | |
송도원선 | 대각선 | 조양탄광선 | 봉천탄광선 | 개천탄광선 | |
청년팔원선 | 룡문탄광선 | 강계선 | 운하선 | 백무선 | |
오시천선 | 삼지연선 | 평양화전선 | 보산선 | 대안선 | |
룡강선 | 도지리선 | 서해갑문선 | 명당선 | 고비선 | |
덕산선 | 삼등탄광선 | 령대선 | 재동선 | 솔골탄광선 | |
관하선 | 득장선 | 잉포선 | 덕남선 | 장상선 | |
송림선 | 봉산선 | 룡성선 | 안주탄광선 | 개천선 | |
구봉산선 | 평북선 | 철산선 | 백마선 | 다사도선 | |
덕현선 | 무산선 | 세천선 | 고건원선 | 춘두선 | |
홍의선 | 두만강선 | 승리선 | 운봉선 | 은률선 | |
배천선 | 옹진선 | 금강산청년선 | 구성선 | 압록강선 | |
제2지선 철도 | |||||
직동탄광선 | 성산인입선 | 장진선 | 만덕선 | 신성선 | |
회둔탄광선 | 후산선 | 청남선 | 녕변선 | 삼공일선 | |
신온전용선 | 수풍선 | 장연선 | 정도선 | 부포선 | |
회령탄광선 | 안천전용선 | ||||
폐선된 철도 | |||||
최가령선 | 명학선 | 형봉선 | 보천선 | 청화력선 | |
잠진리선 | 마평선 | 석하리선 | 토해선 | 운산선 | |
과일선 | 토해선 | 태탄선 | 리원선 | 원산항선 | |
개천청년선 | 서해리선 | 서창선 | 룡암선 | 시정선 | |
남동선 | 박천선 | 강안선 | 홍군선 | 동포선 | |
성평선 | 회암선 | 안골선 | 금천탄광선 | ||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 |||||
}}}}}}}}} |
<colcolor=#fff><colbgcolor=#ED1C27> 평덕선 平德線 | Phyŏngdŏk Line | |
노선 정보 | |
분류 | 본선철도 |
기점 | 평양역 |
종점 | 구장청년역 |
역 수 | 37개 |
개업 | 1911년 9월 1일 (평양탄광선) |
소유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운영 | |
사용차량 | 불명 |
차량기지 | 불명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189.7 ㎞ |
궤간 | 1,435 ㎜ |
선로구성 | 단선 |
사용전류 | 직류 3,000V 가공전차선 |
신호방식 | |
최고속도 | 불명 |
표정속도 | 불명 |
통행방향 | 왼쪽 |
개통 연혁 | 1911.9.1. 평양 ↔ 사동 (평양탄광선) 1918.5.5. 사동 ↔ 승호리 (평양탄광선) 1939.6.29. 승호리 ↔ 석름 (서선선) 1939.11.14. 석름 ↔ 평남강동 (서선선) 1941.10.1. 신성천 ↔ 북창 (서선선) 1944.12.28. 북창 ↔ 옥천 (서선선) 1945.5.25. 옥천 ↔ 장안 (서선선) |
[clearfix]
1. 개요
대동강역과 구장청년역을 잇는 철도 노선.대동강-향장 구간은 평양철도총국, 두일령-구장청년 구간은 개천철도총국 관할로 분류되어 있으며 평양과 북창군, 덕천역 포함하여 평안북도 일대의 탄광 및 공업 중심지를 연결하는 북한의 핵심 노선이다.
대동강역에서는 평부선를 거쳐 평양역으로 이어지고, 신성천역에서는 평라선과 교차하며, 구장청년역에서는 만포선에 이어진다.
1979년 6월부로 전 구간에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2. 역사
평덕선은 북한에서 평양탄광선, 서선선의 전 구간과 덕팔선의 일부 구간을 통폐합한 노선이라 각 노선마다 별도로 서술한다.2.1. 평양탄광선
- 1911년 9월 1일: 평양 - 사동 구간 개통
- 1918년 5월 5일: 사동 - 승호리 구간 연장 개통
- 1920년 10월 15일: 선교리역 개업.[1]
- 1925년 11월 1일: 청룡역 개업 및 명당선 개통[2]
- 1934년 11월 1일: 입석리역 개업 및 고비선 개통.[3]
2.2. 서선선
- 1939년 6월 29일: 서선중앙철도 주식회사 승호리-석름 구간 개통
- 1939년 11월 14일: 석름 - 평남강동 구간까지 연장
- 1941년 10월 1일: 신성천 - 북창 구간 개통
- 1942년 9월 18일: 평남강동 - 신성천 구간 개통
- 1944년 4월 1일: 승호리 - 신성천 구간이 조선총독부 철도국에 인수 및 평양탄광선으로 편입
- 1944년 12월 28일: 북창 - 옥천 구간이 개통되었다.[4]
- 1945년 5월 25일: 옥천 - 장안 구간 개통[5]
2.3. 덕팔선
관련 문서: 청년팔원선- 1940년: 서선중앙철도에서 서선선의 지선 개념으로 덕천 - 구장 - 팔원 구간의 철도노선 신설을 계획하면서 1940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의 승인이 떨어지자[6] 덕천역 너머로 덕팔선 착공
- 1945년: 태평양 전쟁 종전 및 해방으로 장상리역 이후의 구간은 공사 중단
- 1945년: 소련군정 주도 하에 향장역 개업 및 기존 덕팔선의 향장 - 장상 구간은 장상선이라는 별도 지선으로 분류
- 1954년: 향원 - 구장 - 팔원 구간 선로 개통 및 덕팔선 준공
2.4. 노선 통폐합~현재
태평양 전쟁의 종전과 함께 광복을 맞이하는 것도 잠시 1946년 38선을 기준으로 남북이 분단되면서 소련군정 내에 건설된 대부분의 조선총독부 철도국 노선이 기존 평양탄광선과 서선선이 국유화되었고, 두 노선을 통합하여 평덕선으로 개칭한다.전쟁이 끝나고 덕팔선 공사가 구장역을 거쳐 팔원역까지 개통되자 덕팔선의 향장 - 구장 구간은 평덕선으로 편입되었고, 또한 대동강 - 미림 까지의 중간 선로들이 일부 이설되어 지금의 노선이 형성된다.
1979년 6월 전 구간의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3. 역 목록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 규정에 따라 적었다.평덕선 역 목록 | |||||||
역명 | 역간거리 | 기점거리 | 구 역명 | 분기노선 | 비고 | 소재지 | |
평양 | 平壤 | -2.6 | -2.6 | 평의선 평남선 | 평양 중구역 | ||
대동강 | 大同江 | 0.0 | 0.0 | 평부선 | 평양 선교구역 | ||
동평양 | 東平壤 | 3.2 | 3.2 | 평양 력포구 | |||
송신 | 松新 | 3.2 | 6.4 | 평양 사동구 | |||
미림 | 美林 | 7.0 | 13.4 | ||||
청룡 | 靑龍 | 5.9 | 19.3 | 명당선 | |||
립석리 | 立石里 | 1.8 | 21.1 | 고비선 | 황북 승호구 | ||
승호리 | 勝湖里 | 4.8 | 25.9 | ||||
만달리 | 晩達里 | 4.2 | 30.1 | ||||
화천 | 貨泉 | 3.8 | 33.9 | ||||
금옥 | 金玉 | 4.7 | 38.6 | ||||
송가 | 松街 | 3.2 | 41.8 | 덕산선 | 평양 강동구 | ||
삼등 | 三登 | 6.4 | 48.2 | 삼등탄광선 | |||
흑령 | 黑嶺 | 3.3 | 51.5 | ||||
석름 | 石凜 | 4.0 | 55.5 | ||||
강동 | 江東 | 8.5 | 64.0 | 평남강동(Phyŏngnam Kangdong / 平南江東) | |||
백원 | 百源 | 8.0 | 72.0 | 평남 성천군 | |||
성천 | 成川 | 9.2 | 81.2 | 평남성천(Phyŏngnam Sŏngchŏn / 平南成川) | |||
삼덕 | 三德 | 7.0 | 88.2 | ||||
신성천 | 新成川 | 6.1 | 94.3 | 평라선 | |||
금평 | 錦坪 | 7.4 | 101.7 | 풍평(Phungphyŏng / 豊坪) | |||
원창 | 院倉 | 5.7 | 107.4 | 령대선 | 평남 은산군 | ||
구정 | 九井 | 3.6 | 111.0 | 재동선 | |||
송남청년 | 松南靑年 | 7.0 | 118.0 | 송남(Songam / 松南) | 솔골탄광선 | 평남 북창군 | |
가창 | 假倉 | 4.0 | 122.0 | ||||
북창 | 北倉 | 8.4 | 130.4 | 관하선 득장선 | |||
옥천 | 玉泉 | 3.5 | 133.9 | ||||
구현 | 鳩峴 | 2.4 | 136.3 | 잉포선 | |||
회안 | 檜安 | 3.4 | 139.7 | ||||
남덕 | 南德 | 5.4 | 145.1 | 장안(Jangan / 長安) | 평남 덕천시 | ||
제남 | 濟南 | 4.0 | 149.1 | ||||
남덕천 | 南德川 | 3.7 | 152.8 | 덕남선 | |||
덕천 | 德川 | 2.0 | 154.8 | 서창선 | |||
향원 | 鄕元 | 4.7 | 159.5 | ||||
향장 | 鄕長 | 5.7 | 165.2 | 장상선 | |||
두일령 | 杜日嶺 | 4.2 | 169.4 | ||||
함가 | 咸家 | 7.8 | 178.2 | 평북 구장군 | |||
구장청년 | 球場靑年 | 14.1 | 192.3 | 구장(Kujang / 球場) | 만포선 청년팔원선 룡암선 |
3.1. 1945년 8월 15일 이전
㎞ | 역명 | 한자 | 환승노선 | 소재지 |
0.0 | 대동강 | 大同江 | 경의선 | 평양시 |
3.3 | 선교리 | 船橋里 | ||
7.5 | 사동 | 寺 洞 | ||
10.8 | 미림 | 美 林 | ||
16.7 | 청룡 | 靑 龍 | 대동군 청룡면 | |
18.5 | 입석리 | 立石里 | 강동군 승호읍 | |
23.3 | 승호리 | 勝湖里 | ||
31.3 | 화천 | 貨 泉 | ||
39.2 | 송가 | 松 街 | 강동군 삼등면 | |
45.7 | 삼등 | 三 登 | ||
49.0 | 흑령 | 黑 嶺 | ||
53.0 | 석름 | 石 凜 | ||
61.5 | 평남강동 | 平南江東 | 강동군 강동면 | |
69.5 | 백원 | 百 源 | 성천군 통선면 | |
76.0 | 순덕 | 順 德 | 성천군 성천면 | |
78.7 | 평남성천 | 平南成川 | 성천군 통선면 | |
85.7 | 삼덕 | 三 德 | 성천군 삼덕면 | |
91.9 | 신성천 | 新成川 | 평원선 | |
99.3 | 풍평 | 豊 坪 | 성천군 쌍룡면 | |
105.0 | 원창 | 院 倉 | 순천군 신창면 | |
108.6 | 구정 | 九 井 | ||
111.1 | 월포 | 月 浦 | ||
119.6 | 가창 | 假 倉 | 맹산군 보인면 | |
128.0 | 북창 | 北 倉 | 맹산군 옥천면 | |
133.9 | 옥천 | 玉 泉 | ||
140.3 | 장안 | 長 安 | 덕천군 덕천면 |
3.2. 폐역
<rowcolor=#ffffff> 이전역 | 역명 | 다음역 | 폐역일 | 폐역 사유 | 비고 | |
동평양 | 선교리 | 船橋里 | 송신 | 불명 | 대동강 - 미림 구간 선로 이설 | |
송신 | 사동 | 寺洞 | 미림 | 불명 | ||
백원 | 순덕 | 順德 | 성천 | 불명 | 불명 |
4. 관련 문서
[1] 조선총독부관보 다이쇼 제2455호, 1920년 10월 16일.[2] 조선총독부관보 다이쇼 제3956호, 1925년 10월 26일.[3]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2328호, 1934년 10월 12일.[4]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5376호, 1945년 1월 10일.[5]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5500호, 1945년 6월 6일.[6]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4021호, 1940년 6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