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 |||||
|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f5f5f5,#555555> 본선 | ||||
| 제1지선 | |||||
| 제2지선 | |||||
| 폐선 | |||||
|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 |||||
| }}}}}}}}} | |||||
| <colcolor=#fff><colbgcolor=#ED1C27> 만포선 滿浦線 | Manpho Line | |
| | |
| 노선 정보 | |
| 분류 | 본선철도 |
| 기점 | 순천역 |
| 종점 | 만포청년역 |
| 역 수 | 42개 |
| 개업 | 1918년 12월 1일 (개천선 개천 - 천동 구간) |
| 소유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 운영 | |
| 사용차량 | 불명 |
| 차량기지 | 불명 |
| 노선 제원 | |
| 노선연장 | 299.8 ㎞ |
| 궤간 | 1,435 ㎜ |
| 선로구성 | 단선 |
| 사용전류 | 직류 3,000V 가공전차선 |
| 신호방식 | |
| 최고속도 | 불명 |
| 표정속도 | 불명 |
| 통행방향 | 왼쪽 |
| 개통 연혁 | 1918.12.1. 개천 ↔ 천동 (개천선) 1932.12.1. 순천 ↔ 천동 (만포선) 1933.10.15. 개천 ↔ 구장 1934.11.1. 구장 ↔ 희천 1935.10.1. 희천 ↔ 개고 1936.12.1. 개고 ↔ 전천 1937.12.1. 전천 ↔ 강계 1939.2.1. 강계 ↔ 만포 |
1. 개요
순천역과 만포청년역(만포역)을 잇는 노선.이 노선의 제일 중요한 부분이라면 강계시 일대. 실제로 개마고원 한복판에 덩그러니 놓여 있는 산업도시인 데다, 한국전쟁 당시 김일성이 여기로 도망 온 전력도 있고 해서 전후 북한에서 많이 밀어준 동네에 속한다.
그리고 만포시도 무시 못하는 지역인데,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연결이 되어 있다는 점 하나만으로도 꽤나 중요하다. 화물 유동량도 평의선을 통하는 양 만큼이나 많은 듯. 하지만 문제는 이 노선의 병맛이 넘치고 넘쳐흐르는 철길 상태...
통일이 된다면 환경이 비슷한 전라선처럼 250㎞/h급으로 고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제8기동사단 사단가 1절에 등장한다.
대부분의 북한 선로가 그렇듯이 강을 따라서 선로가 있다. 그러다 보니 선형이 굉장히 나쁘다. 아마 고속화 이전에 선형 변경이 있을 것이다.
2. 역사
- 1918년 12월 1일: 개천선 개천 - 천동 구간 개통(협궤)
- 1931년 4월 26일: 순천역에서 만포선 착공
- 1932년 11월 11월 1일: 순천 - 천동 구간 개통
- 1933년 7월 15일: 개천선 개천 - 천동 구간의 표준궤 개궤 준공과 동시에 만포선으로 편입
- 1933년 10월 15일: 개천 - 구장 구간 개통
- 1934년 11월 1일: 구장 - 희천 구간 개통
- 1935년 10월 1일: 희천 - 개고 구간 개통
- 1936년 12월 1일: 개고 - 전천 구간 개통
- 1937년 12월 1일: 전천 - 강계 구간 개통
- 1939년 2월 1일: 강계 - 만포 구간 개통으로 전 구간 개통
- 1939년 10월 1일: 만포철교 준공 및 개통
- 1941년 5월 1일: 어룡역 개업[1]
- 1941년 9월 16일: 남전역 개업[2]
- 1942년 11월 1일: 중성간역 개업[3]
3. 운행되는 열차
- 급행열차 : 15-16호, 17-18호 - 해주청년역과 만포청년역을 운행하는 편성
- 급행열차 : 19호, 20호 - 평양역과 희천청년역을 운행하는 편성
- 준급행열차 : 124-125호, 126-127호 - 신의주청년역과 청진청년역을 운행하는 편성
- 준급행열차 : 134-135호, 136-137호 - 만포청년역과 함흥역을 운행하는 편성
- 준급행열차 : 138-139호, 140-141호 - 만포청년역과 장연역을 운행하는 편성
- 완행열차 : 250호, 251호 - 신의주청년역과 희천청년역을 운행하는 편성
4. 역 목록
| 만포선 역 목록 | |||||
| 역 명 | 역간거리 | 기점거리 | 분기노선 | 소재지 | |
| 순 천 | 順 川 | 0.0 | 0.0 | 평라선 | 평남 순천시 |
| 중 평 | 中 坪 | 10.9 | 10.9 | ||
| 각 암 | 閣 岩 | 6.8 | 17.7 | 평남 개천시 | |
| 룡원리 | 龍源里 | 4.4 | 22.1 | ||
| 천 동 | 泉 洞 | 10.5 | 32.6 | 천동선[4] | |
| 개 천 | 价 川 | 6.3 | 38.9 | 개천선 춘혁선 조양탄광선 | |
| 원 리 | 院 里 | 8.0 | 46.9 | ||
| 봉 천 | 鳳 泉 | 3.0 | 49.9 | 봉천탄광선 | |
| 자 작 | 自 作 | 4.1 | 54.0 | 개천탄광선 | |
| 람 전 | 藍 田 | 4.3 | 58.3 | ||
| 구장청년 | 球場靑年 | 4.7 | 63.0 | 평덕선 청년팔원선 룡암선 | 평북 구장군 |
| 어 룡 | 魚 龍 | 5.5 | 68.5 | 룡문탄광선 | |
| 신흥동 | 新興洞 | 3.0 | 71.5 | ||
| 북신현 | 北薪峴 | 9.6 | 81.1 | | 평북 향산군 |
| 묘향산 | 妙香山 | 9.0 | 90.1 | 향산선 | |
| 부 성 | 富 成 | 12.9 | 103.0 | 자강 희천시 | |
| 희천청년 | 熙川靑年 | 6.8 | |||
| 청 하 | 淸 下 | 4.9 | 114.9 | ||
| 초 상 | 草 上 | 8.3 | 123.2 | ||
| 동 신 | 東 新 | 6.4 | 129.6 | 자강 동신군 | |
| 개고청년 | 价古靑年 | 10.7 | 140.0 | 자강 송원군 | |
| 연 목 | 椽 木 | 10.8 | 150.8 | ||
| 진 평 | 津 坪 | 5.8 | 156.6 | 자강 전천군 | |
| 고 인 | 古 仁 | 10.7 | 167.3 | ||
| 리 만 | 梨 滿 | 6.8 | 174.5 | ||
| 창 평 | 倉 坪 | 10.1 | 184.3 | ||
| 운 송 | 雲 松 | 5.2 | 189.8 | ||
| 전 천 | 前 川 | 5.6 | 195.1 | ||
| 화 암 | 花 岩 | 8.0 | 203.1 | ||
| 쌍방동 | 雙芳洞 | 9.4 | 212.5 | 자강 성간군 | |
| 중성간 | 中城干 | 4.9 | 217.4 | ||
| 성 간 | 城 干 | 4.1 | 221.5 | ||
| 신 청 | 新 淸 | 9.0 | 230.5 | ||
| 부 지 | 富 只 | 7.1 | 237.6 | ||
| 공 인 | 公 仁 | 6.3 | 243.9 | 자강 강계시 | |
| 강 계 | 江 界 | 6.7 | 250.6 | 강계선 | |
| 곡 하 | 曲 河 | 10.3 | 260.9 | ||
| 쌍 부 | 雙 富 | 8.9 | 269.8 | 자강 시중군 | |
| 안 찬 | 安 贊 | 7.1 | 276.9 | ||
| 시 중 | 時 中 | 9.1 | 286.0 | ||
| 건 하 | 乾 下 | 5.9 | 291.9 | 자강 만포시 | |
| 만포청년 | 滿浦靑年 | 7.9 | 299.8 | 북부내륙선 운하선 메이지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