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bgcolor=white,black> 본선 철도 | ||||
평라선 | 강원선 | 금강산청년선 | 만포선 | 백두산청년선 | |
청년이천선 | 평남선 | 평덕선 | 평부선 | 평의선 | |
함북선 | 북부내륙선 | 황해청년선 | |||
제1지선 철도 | |||||
대건선 | 은산선 | 천성탄광선 | 고원탄광선 | 금야선 | |
신흥선 | 서호선 | 창흥선 | 북청선 | 두언선 | |
단풍선 | 금골선 | 일탄선 | 고참탄광선 | 대향선 | |
강덕선 | 청진항선 | 라진항선 | 천내선 | 문천항선 | |
송도원선 | 대각선 | 조양탄광선 | 봉천탄광선 | 개천탄광선 | |
청년팔원선 | 룡문탄광선 | 강계선 | 운하선 | 백무선 | |
오시천선 | 삼지연선 | 평양화전선 | 보산선 | 대안선 | |
룡강선 | 도지리선 | 서해갑문선 | 명당선 | 고비선 | |
덕산선 | 삼등탄광선 | 령대선 | 재동선 | 솔골탄광선 | |
관하선 | 득장선 | 잉포선 | 덕남선 | 장상선 | |
송림선 | 봉산선 | 룡성선 | 안주탄광선 | 개천선 | |
구봉산선 | 평북선 | 철산선 | 백마선 | 다사도선 | |
덕현선 | 무산선 | 세천선 | 고건원선 | 춘두선 | |
홍의선 | 두만강선 | 승리선 | 운봉선 | 은률선 | |
배천선 | 옹진선 | 금강산청년선 | 구성선 | 압록강선 | |
제2지선 철도 | |||||
직동탄광선 | 성산인입선 | 장진선 | 만덕선 | 신성선 | |
회둔탄광선 | 후산선 | 청남선 | 녕변선 | 삼공일선 | |
신온전용선 | 수풍선 | 장연선 | 정도선 | 부포선 | |
회령탄광선 | 안천전용선 | ||||
폐선된 철도 | |||||
최가령선 | 명학선 | 형봉선 | 보천선 | 청화력선 | |
잠진리선 | 마평선 | 석하리선 | 토해선 | 운산선 | |
과일선 | 토해선 | 태탄선 | 리원선 | 원산항선 | |
개천청년선 | 서해리선 | 서창선 | 룡암선 | 시정선 | |
남동선 | 박천선 | 강안선 | 홍군선 | 동포선 | |
성평선 | 회암선 | 안골선 | 금천탄광선 | ||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 |||||
}}}}}}}}} |
<colcolor=#fff><colbgcolor=#ED1C27> 장진선 長津線 | Jangjin Line | |
노선 정보 | |
분류 | 제2지선 철도 |
기점 | 영광역 |
종점 | 사수역 |
역 수 | 13개 |
개업 | 1926년 10월 (상통지선) |
소유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운영 | |
사용차량 | 불명 |
차량기지 | 불명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58.6 ㎞ |
궤간 | 762 ㎜ |
선로구성 | 단선 |
사용전류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신호방식 | |
최고속도 | 불명 |
표정속도 | 불명 |
통행방향 | 왼쪽 |
[Clearfix]
1. 개요
북한의 제2지선 철도 노선.2. 노선 정보
1923년 신흥철도주식회사의 주도로 함남선의 함흥-오로 구간이, 1926년에 나머지 구간인 오로-함남신흥 구간이 개통되었다.1926년 10월 오로-상통 구간의 상통지선이 개통되었고, 1934년 장진댐 건설에 필요한 물자를 조달하면서 장진강 주변 지역 일대의 임업 및 기타 자원의 개발의 일환으로 상통지선을 연장하게 된다.
1938년 4월 22일 조선총독부 철도국에 흡수되었고, 상통지선의 상통-사수 구간은 장진선으로 분리되었다.
1935년 당시 후창을 거쳐 중강진까지 연장하는 함중선(함흥-중강진) 계획이 있었으나[1] 1930년대에 착수한 철도 사업들이 대개 그랬듯이 결국 장진에서 별 진척을 보지 못한 채 끝이 나고 말았다.
미 해병대에서는 장진호 전투로 인해 항상 회자되는 철도 노선으로, 철도 노선의 중요성에 비해 미국에서 장진선의 존재를 아는 사람이 많다.
2.1. 강삭철도
자세한 내용은 장진선/강삭철도 문서 참고하십시오.2.2. 연혁
- 1926년 10월 1일: 오로-상통 구간의 개통으로 상통지선 개통
- 1934년 9월 1일: 상통-삼거 구간 개통
- 1934년 11월 1일: 삼거-구진 구간 개통
- 1935년 7월 15일: 신대-구진 구간 폐지
- 1935년 8월 30일: 사수-신대 구간 폐지
- 1938년 4월 22일: 운영주체가 조선총독부 철도국으로 이관되면서[2] 상통-사수 구간이 장진선으로 분리됨
- 해방 이후
- 날짜 불명: 상통지선과 장진선의 통합으로 현재의 노선이 완성됨.
3. 역 목록
기점거리 | 역간거리 | 역명 | 분기선 | 소재지 | |
0.0 | 0.0 | 영 광 | 榮 光 | 신흥선 | 함경남도 영광군 |
5.6 | 5.6 | 동 양 | 東 陽 | ||
9.1 | 3.5 | 송 당 | 松 堂 | ||
| | | | ||
13.3 | 4.2 | 상 통 | 上 通 | ||
17.4 | 4.1 | 룡 수 | 龍 水 | ||
23.4 | 6.0 | 하기천 | 下岐川 | ||
28.4 | 5.0 | 삼 거 | 三 巨 | ||
32.0 | 3.6 | 보 장 | 堡 庄 | ||
35.8 | 3.8 | 황초령 | 黃草嶺 | 함경남도 장진군 | |
41.2 | 5.4 | 고 토 | 古 土 | ||
46.4 | 5.2 | 부 성 | 富 盛 | ||
49.2 | 2.8 | 상 평 | 上 坪 | ||
54.3 | 5.1 | 장 진 | 長 津 | ||
58.6 | 4.0 | 사 수 | 泗 水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