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bgcolor=white,black> 본선 철도 | ||||
평라선 | 강원선 | 금강산청년선 | 만포선 | 백두산청년선 | |
청년이천선 | 평남선 | 평덕선 | 평부선 | 평의선 | |
함북선 | 북부내륙선 | 황해청년선 | |||
제1지선 철도 | |||||
대건선 | 은산선 | 천성탄광선 | 고원탄광선 | 금야선 | |
신흥선 | 서호선 | 창흥선 | 북청선 | 두언선 | |
단풍선 | 금골선 | 일탄선 | 고참탄광선 | 대향선 | |
강덕선 | 청진항선 | 라진항선 | 천내선 | 문천항선 | |
송도원선 | 대각선 | 조양탄광선 | 봉천탄광선 | 개천탄광선 | |
청년팔원선 | 룡문탄광선 | 강계선 | 운하선 | 백무선 | |
오시천선 | 삼지연선 | 평양화전선 | 보산선 | 대안선 | |
룡강선 | 도지리선 | 서해갑문선 | 명당선 | 고비선 | |
덕산선 | 삼등탄광선 | 령대선 | 재동선 | 솔골탄광선 | |
관하선 | 득장선 | 잉포선 | 덕남선 | 장상선 | |
송림선 | 봉산선 | 룡성선 | 안주탄광선 | 개천선 | |
구봉산선 | 평북선 | 철산선 | 백마선 | 다사도선 | |
덕현선 | 무산선 | 세천선 | 고건원선 | 춘두선 | |
홍의선 | 두만강선 | 승리선 | 운봉선 | 은률선 | |
배천선 | 옹진선 | 금강산청년선 | 구성선 | 압록강선 | |
제2지선 철도 | |||||
직동탄광선 | 성산인입선 | 장진선 | 만덕선 | 신성선 | |
회둔탄광선 | 후산선 | 청남선 | 녕변선 | 삼공일선 | |
신온전용선 | 수풍선 | 장연선 | 정도선 | 부포선 | |
회령탄광선 | 안천전용선 | ||||
폐선된 철도 | |||||
최가령선 | 명학선 | 형봉선 | 보천선 | 청화력선 | |
잠진리선 | 마평선 | 석하리선 | 토해선 | 운산선 | |
과일선 | 토해선 | 태탄선 | 리원선 | 원산항선 | |
개천청년선 | 서해리선 | 서창선 | 룡암선 | 시정선 | |
남동선 | 박천선 | 강안선 | 홍군선 | 동포선 | |
성평선 | 회암선 | 안골선 | 금천탄광선 | ||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 |||||
}}}}}}}}} |
<colcolor=#fff><colbgcolor=#ED1C27> 무산선 茂山線 | Musan Line | |
노선 정보 | |
분류 | 제1지선 철도 |
기점 | 고무산역 |
종점 | 무산역 |
역 수 | 13개 |
개업 | 1927년 8월 20일 (함북선) |
소유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운영 | |
사용차량 | 불명 |
차량기지 | 불명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57.9 ㎞ |
궤간 | 762 ㎜ (개궤 전) 1,435 ㎜ (개궤 후) |
선로구성 | 단선 |
사용전류 | 직류 3,000V 가공전차선 |
신호방식 | |
최고속도 | 불명 |
표정속도 | 불명 |
통행방향 | 왼쪽 |
개통 연혁 | 1927.8.20. 고무산 ↔ 신참 1929.11.15. 신참 ↔ 무산 |
[Clearfix]
1. 개요
고무산역과 무산역을 잇는 산업철도.주 목적은 무산에서 생산되는 철을 수송하기 위한 것이며, 이 때문에 무산광산부터 고무산역에 이르기까지 거의 대부분의 구간이 복선전철화되어 있다(철송청년역부터 무산역까지는 단선).
산업 철도로서의 용도도 중요하지만, 하필 무산읍이 아예 중국에 붙어 있는 판이라서(그냥 두만강 바로 옆이다) 더욱 중요하다. 2011년 연말까지 중국에서 무산역으로 이어지는 철도를 놓기로 했는데, 목적은 당연히 무산의 철광이다. 덕분에 무역 중개 기지 및 철광으로써 무산의 중요도는 더욱 올라갈 전망이다. 결국 2012년 공사가 마무리되었다는 기사가 났다. 그러나 두만강을 건너는 구간은 협상중이다. 만약 철도가 이어지면 철광석의 수송뿐 아니라 청진항으로 가는 화물열차가 지나가는 역할도 할 것으로 기대된다.더구나 철의 수요가 단순히 중국뿐만이 아니라 저 아래쪽의 김책시 김책제철소(김책역 인근), 청진역 인근의 산업공단 등등 수요가 여러 모로 많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괜히 북한에서 복선씩이나 해 준 게 아니다.
일단 전 구간 표준궤에 전철. 하필이면 백무선이 협궤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연계는 되지 않는 상황이다. 만일 그게 가능했으면 혜산이나 길주 등도 꽤나 큰 공업도시로 성장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근데 아무리 협궤 좋아하는 일제였다지만 여기서 백무선을 놓은 일제를 까기는 좀 곤란한 게, 당시의 기술력으로 제대로 된 터널은 어림도 없었고 산간지방의 경사를 극복하는 건 협궤뿐이었다. 아니, 일단 백무선의 북계수역이 해발 1,715m로 가장 높다.
여하간 백무선이 광궤로 개궤되지 않았음에도 여러 모로 철광 하나 덕에 비싼 몸이 되신 노선 되겠다.
2. 역사
- 1927년 8월 20일: 조선철도주식회사의 사철로 함북선이라는 명칭으로 고무산 - 신참 구간 개통
- 1929년 11월 15일: 신참 - 무산 구간 개통
- 1937년 2월 1일: 무산철산역 개업
- 1940년 5월 1일: 전 구간 표준궤 개궤 완료
- 1944년 4월 1일: 무산강안역 폐지, 전 노선 국유화 및 함북선에서 무산선으로 노선명 변경
3. 기타
무산선에는 무산이라는 지명이 여러 곳에 붙는데, 당연하게도 무산빼고는 해당 노선의 가치가 없기 때문이다. 더 놀라운 것은 무산으로 끝나는 곳만 고무산역, 폐무산역, 무산역으로 3곳이라는 점이다.이렇게 된 이유는 무산의 위치가 2번이나 이동하면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세종 때 육진을 개척할 당시까지도 이곳에는 여전히 여진족이 살고 있어 조선의 행정력이 완전히 미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1438년(세종 20) 인접지인 부령군 관내 지금의 고무산에 만호진을 두었으며, 1509년(중종 4) 그 서쪽 지금의 폐무산으로 진을 옮겨 첨사진(僉使鎭)으로 승격시켰다가, 1674년(현종 15)에 이르러 다시 지금의 군청 소재지인 삼봉평(三峯坪)에 진을 옮겨, 비로소 무산이라 한 것이다.[1]
4. 역 목록
기점거리 | 역간거리 | 역명 | 분기선 | 소재지 | ||
0.0 | 0.0 | 고무산 | 古茂山 | 함북선 | 함경북도 부령군 | |
4.2 | 4.2 | 서 상 | 西 上 | |||
8.9 | 4.7 | 무 수 | 舞 袖 | |||
14.5 | 5.5 | 폐무산 | 廢茂山 | |||
18.9 | 4.4 | 차 령 | 車 嶺 | |||
22.6 | 3.7 | 금 패 | 金 牌 | 함경북도 무산군 | ||
33.6 | 11.0 | 신 참 | 新 站 | |||
39.4 | 5.8 | 서풍산 | 西豊山 | |||
45.7 | 6.3 | 주 초 | 朱 草 | |||
-.- | -.- | 새 길 | - | |||
50.5 | -.- | 철송청년[2] | 鐵松靑年 | |||
54.3 | 3.8 | 무산철산 | 茂山鐵山 | |||
57.9 | 3.6 | 무 산 | 茂 山 | 백무선 |
[1] 이 과정에서 고무산 지역은 6진인 부령에 가장 가깝기 때문에 진의 이동과는 관계없이 거주민이 가장 많았으므로 고(古)자를 추가해서 고무산이라고 지정했으며, 폐무산 지역도 그냥 포기할 수 없기에 폐무산진을 따로 만든것. 그래서 일반 지역 명칭엔 한자 뜻상 거의 붙지 않는 폐(廢)자가 붙게 된 것이다. 당연히 무산 지역은 최후로 무산진이 정착해서 그냥 무산이라고 지정했다.[2] 개업 당시 역명은 진화(Jinhwa / 珍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