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원 영월군 법흥사2. 평안 평원군 법흥사3. 경북 안동시 법흥사지4. 서울 삼청동 법흥사 터5. 경북 예천군 법흥사6. 경남 창원시 법흥사7. 경북 봉화군 법흥사8. 일본 나라현 법흥사
1. 강원 영월군 법흥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법흥사(영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법흥사(영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 평안 평원군 법흥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법흥사(평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법흥사(평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경북 안동시 법흥사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부분을
참고하십시오.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에 위치했던 사찰터. 현재는 국보로 지정됨 칠층전탑만 남아있으며, 옛 사찰부지에는 고성이씨 종택이 들어서 있다. 지역명인 법흥동 역시 예전의 법흥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4. 서울 삼청동 법흥사 터
신라 진평왕 때 나옹선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절. 연굴사지로도 추정된다. 문재인 대통령 내외의 초석 착석 논란이 일어났던 곳이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정숙/비판 및 논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정숙/비판 및 논란#법흥사터 연화문 초석 착석 논란|법흥사터 연화문 초석 착석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경북 예천군 법흥사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에 위치한 천태종 소속의 사찰. 역사는 짧지만 중심전각인 미륵보전의 규모가 상당한 편이다.6. 경남 창원시 법흥사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에 위치한 소규모 사찰7. 경북 봉화군 법흥사
봉화군 법전리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절. 절 앞에 커다란 밭이 있었는데 그 밭에 마을이 생겨서 '법전리(法田/法典)'가 되었다고 한다.8. 일본 나라현 법흥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카데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카데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일본 나라에 위치한 아스카데라(아스카사)의 다른 이름이 '법흥사(法興寺/호코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