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10:04:06

충숙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670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700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태조 혜종 정종(定宗) 광종
<rowcolor=#670000>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경종 성종 목종 현종
<rowcolor=#670000>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덕종 정종(靖宗) 문종 순종
<rowcolor=#670000>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선종 헌종 숙종 예종
<rowcolor=#670000>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인종 의종 명종 신종
<rowcolor=#670000>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희종 강종 고종 원종
<rowcolor=#670000>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충혜왕
<rowcolor=#670000>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충목왕 충정왕 공민왕 우왕
<rowcolor=#670000> 제33대 제34대
창왕 공양왕
}}}}}}}}}}}}
충숙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고려의 왕자
[[틀:고려의 왕자/선종 ~ 공양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6700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200 20%, #FFB200 80%, #FF9D00);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양헌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594B;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안경공|{{{#!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국왕 · 왕후 · 왕태후 · 왕태자
후궁 : 태조 ~ 예종 · 의종 ~ 공양왕
왕자 : 국조 ~ 문종 · 선종 ~ 공양왕
왕녀 : 태조 ~ 문종 · 선종 ~ 공양왕
※ 작호가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사람만 기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670000> 숙종 신종 희종 강종 고종
헌종 명종 신종 희종 희종
<rowcolor=#670000> 영종 충선왕 충숙왕 충혜왕 창왕
원종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우왕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제27대 국왕
충숙왕 | 忠肅王
출생 1294년 8월 6일[1]
(음력 충렬왕 20년 7월 7일)
즉위 1313년 4월 28일[A]
(음력 충선왕 5년 3월 24일)
고려 개경 정궁 강안전
(現 경기도 개성시)
사망 1339년 5월 11일[B] (향년 44세)
(음력 충숙왕(후) 8년 3월 24일)
고려 개경 침전
(現 경기도 개성시)
능묘 의릉(毅陵)
재위기간 고려 제27대 국왕
1313년 4월 28일[A] ~ 1330년 2월 26일[C][6]
(음력 충선왕 5년 3월 24일 ~ 충숙왕 17년 2월 1일)
고려 태상왕
1330년 2월 26일[C] ~ 1332년 3월 29일[D]
(음력 충숙왕 17년 2월 1일 ~ 충혜왕 2년 2월 24일)
고려 제27대 국왕 (복위)
1332년 3월 29일[D] ~ 1339년 5월 11일[B]
(음력 충숙왕(후) 1년 2월 24일 ~ 충숙왕(후) 8년 3월 24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본관 개성 왕씨
고려: 도(燾) → 만(卍)
: 아라트나시리(阿剌忒訥失里)
부모 부왕 충선왕
모후 의비
형제자매 3남 1녀 중 2남
배우자 복국장공주, 조국장공주, 경화공주, 명덕태후
후궁 수비 권씨
자녀 3남
종교 불교
의효(宜孝)
봉호 강릉대군(江陵大君)[11]
시호 고려: 의효대왕(懿孝大王)
: 충숙왕(忠肅王)
}}}}}}}}}

1. 개요2. 정체성3. 생애4. 평가5. 기타6. 가족관계7. 대중매체에서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고려의 제27대 군주.

묘호는 없고 시호는 '충숙의효대왕'(忠肅懿孝大王). 원래 이름은 '도'(燾)였으나 군주로 즉위한 후에 '만'()으로 개명했다. 자는 '의효'(宜孝), 몽골식 휘는 '아라트나시리'(阿剌忒訥失里)였다.

2. 정체성

최초의 한•몽 혼혈 군주였던 제26대 충선왕의 차남이자 충혜왕, 공민왕의 부왕이었다. 그리고 충숙왕의 어머니는 충선왕의 제1비 계국대장공주 보르지긴 부다시리가 아니고, 제2비인 의비(懿妃) 예수진(也速眞, 야속진)이었다. 의비 예수진은 몽골인이었는데 원나라 보르지긴 오복 키야트 씨족, 즉 황금씨족 출신은 아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아버지와 자식들보다도 고려인 혈통이 옅은 혈통적으로는 고려사에서 몽골계에 가장 가까운 고려왕이었지만[12][13], 아이러니하게도 자신이 고려인이라는 정체성은 역대 혼혈 고려 왕 중 가장 강한 왕이었다.

재위 기간 고려보다 원에 머무른 기간이 더 많은 아버지와 달리 충숙왕은 그래도 고려에 머물며 통치하였으며, 상왕이 되어 원나라로 가던 도중 황주에서 아들 충혜왕을 만나게 되었는데, 충혜왕이 자신에게 몽골식 복장을 입고 몽골식 예법인 호례를 올리자 아들을 엄하게 꾸짖기도 했다.
네 아비와 어미가 모두 고려 사람이거늘[14] 어찌 내게 호례를 행하느냐? 그리고 옷은 또 뭐가 그렇게 사치스러우냐? 다른 이에게 보이기 민망하니 어서 갈아입거라!
말이 꾸짖은 것이지 고려사의 기록을 보면 충숙왕의 훈계에 충혜왕이 눈물까지 흘리며 물러났다고 적혀있는지라 무진장 혼이 난 것으로 보인다.

3. 생애

<colcolor=#670000> 역대 강릉(江陵)의 가신
1대 강릉대군(江陵大君) 왕만(王卍)
2대 강릉부원대군(江陵府院大君) 왕전(王顓)
3대 강령부원대군(江寧府院大君) 왕우(王禑)

1299년 강릉군에 봉해졌고, 이후 강릉대군(江陵大君)으로 진봉되었으며 그의 친형인 세자 왕감이 왕위 계승 문제로 인해 1310년 부왕인 충선왕에게 살해당한 뒤에 정식으로 후계자가 되었다. 1313년 원나라심왕 자리를 지키던 아버지의 양위를 받아 즉위했지만 아버지 충선왕은 이후 아들의 발목을 잡는 결정을 하고 만다. 안 그래도 충선왕이 상왕으로 건재하여 충숙왕의 왕권이 약한 상황에서 충선왕이 1316년 자신의 원나라 작위인 심양왕, 즉 심왕 자리와 고려의 세자 자리를 이복형 강양공[15]의 차남인 연안군 왕고에게 물려준 것이다. 물론 온전한 자의가 아닌 정치적 압력을 받은 탓에[16] 조카에게 물려준 것으로 보이나 이는 충숙왕에게 큰 위협이 되었고, 한동안 고려의 정사를 어지럽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으며, 명목상으로 포괄하게 된 동군연합요동의 영토 역시 사실상 날라가게 된다.[17] 심왕 왕고는 고려 국왕 자리에 욕심을 품고, 지속적으로 사촌인 충숙왕을 모함했다. 결국 왕이 주색에 빠져 정치를 소홀히 한다는 것을 명분으로 충숙왕은 원나라에 소환되었다가 풀려나기를 반복했다.[18]

하지만 업적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닌데 1318년의 업적이 특히 많다. 원나라에 보내는 무리한 세공을 삭감하는데 어느 정도 효과를 보기도 했으며, 당시 백성들의 큰 고통이었던 공녀환관들을 원나라로 보내는 것을 줄여 달라고 청원하기도 했다. 제주도에서 사용(使用, 또는 士用)·김성(金成) 등이 반란을 일으키자 검교평리 송영(宋英)을 보내어 안무하게 하였다. 같은 해 폐단이 많았던 사심관 제도를 폐지하였으며, '제폐사목소'(除弊事目所)를 설치했다가 '찰리변위도감'(察理辨違都監)으로 고쳐 권문세족이 점령한 땅을 색출한 뒤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도록 했다. 채무에 있어서 고리대금업을 막아 이자가 원금에 상당할 때는 정지시키는 등 단속에 힘을 기울였다. 고려에 남송의 대학자 주자의 성리학을 들여 온 안향문묘에 배향했으며, '화자거 집전민추고도감'(火者據 執田民推考都監)을 설치했다. 최소한 고려 국왕이라는 책임감이 부족해 대도에서 원격 통치를 하며 자신의 학문 사업과 원나라의 정치 싸움에만 몰두하던 부왕 충선왕보다는 충숙왕의 치세가 그나마 나았다.

1321년 원나라 영종의 명령으로 인해 충숙왕이 끌려가자 심왕 왕고가 2년간 고려 국왕을 자칭하기까지 했다. 이런 현실 속에서 충숙왕이 잘 해보겠다는 의욕을 상실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었을지도 모르겠다. 결국 왕위에 제대로 실증이 난 충숙왕은 왕 노릇을 못 하겠다며 자신을 위협하던 심왕 왕고에게 양위할 뜻을 내비쳤지만 중신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충숙왕은 이전에도 왕고의 형제들에게 작위를 주는 등 심왕파에게 유화적인 자세로 나갔었다. 그러나 왕고는 지속해서 사촌 충숙왕을 모함했으며 1323년 심지어는 원나라 황제에게 "고려를 (省)으로 만들고 원나라가 직접 통치하죠"라는 어이없는 주장을 펴기도 했는데 이를 입성책동이라고 한다.

그러나 '입성책동'은 굳이 비교적 안정된 정국에 괜히 평지풍파를 일으킬 필요가 있냐는 원나라 조정 내부 반대 의견과 대학자 이제현의 노력 등으로 무산되었다.[19] 이때 고려가 원나라의 직할령 시도를 방어하는데 내세운 것 중 하나가 바로 원종과 세조 쿠빌라이 칸이 각자 태자 시절[20] 맺은 협약인 세조구제였다. 실제로 원나라가 몇 차례나 고려를 완전 합병하려 할 때마다 '세조구제'는 가장 확실한 방어막이 되어 주었다. 그런데도 심왕 왕고와의 알력이 계속되자 1330년 충숙왕은 아들 왕정에게 양위하고, 원나라로 건너 갔는데 그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아들이 바로 고려사 최악의 폭군인 충혜왕이었다.

충혜왕의 막장 짓을 보다 못한 원나라는 결국 2년만에 충혜왕을 폐위시키고, 다시 충숙왕을 복위시켰으나 정사에 의지를 잃은 충숙왕은 신하도 만나지 않고, 사냥과 음주가무로 소일하는 것만 반복하다가 8년만인 1339년 3월 향년 46세의 보령으로 붕어했다. 시호는 '충숙의효대왕'(忠肅懿孝大王)이었다.[21]

4. 평가

충렬왕(忠烈王)과 충숙왕(忠肅王)의 교만하고 거만함, 거칠고 게으름은 누가 더 낫다고 할 수 없이 막상막하라고 하겠습니다.
동국통감》 <고려 공양왕 4년, 임신년(壬申年), 1392년> -총평-
〈기묘〉 후8년(1339) 봄 3월 계미 왕이 침전에서 훙서하였다. 재위 기간은 전․후(前․後) 〈합하여〉 25년이고 나이는 46세였다. 성품은 엄숙하고 위의가 있으면서도 침착하고 총명하였으며, 글을 잘 짓고 예서(隷書)에 능했다. 또 성격이 깔끔한 것을 좋아해서 한 달 목욕 비용은 향(香) 10여 동, 저포(苧布) 60여 필이나 되었는데, 이름 하여 수건(手巾)이라고 하였다. 내수(內竪)들이 많이 훔쳐갔지만 왕은 몰랐다. 충혜왕(忠惠王) 후5년(1344) 12월에 원(元)이 충숙(忠肅)이라는 시호를 주었고, 공민왕(恭愍王) 6년(1357) 윤 9월에 의효(懿孝)라는 존호를 덧붙여 올렸다.
고려사》 <충숙왕> -왕이 침전에서 죽다-

고려 국왕 중 정치적 시련을 가장 많이 겪었으며, 아버지 충선왕의 희한한 권력 분점과 그 후폭풍으로 왕위에 오른 후에도 원나라에 자주 왔다갔다하며[22] 귀찮은 재위 기간을 보낸 임금이었다. 고려사에 따르면 개인적으로는 글씨와 문장에 두루 능했으며, 성품은 침착하고 총명하며 결단력이 있었다고 하지만 그 평가에 걸맞은 뚜렷한 정치적 활약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이것 때문에 당대의 정치적 문란함을 방치한 무능한 암군으로 오랜 동안 평가 받았지만 현재는 인사정책에 관한 재평가도 이뤄지고 있다.[23] 애초에 원 간섭기의 모든 군주들이 그렇듯 뭘 해 보고 싶어도 할 수 있는 한계치가 있는 것이 현실이었지만 말이다. 그나마 상기했듯 본인이 고려인이란 정체성은 상당히 뚜렷한 왕이긴 했다.

혼란도 많았지만 총 재위 기간이 25년으로 원나라에 끌려간 기간을 빼면 20년, 충혜왕에게 물려준 기간을 더하면 22~27년으로 꽤 길다는 것도 특이하다. 물론 결과적으로는 아버지 충선왕보단 단명했다.

여러모로 자식 농사에는 실패한 왕이라 볼 수 있는데, 장남 충혜왕은 막장 짓거리 때문에 생전부터 자주 혼냈다고 전해진다. 물론 그러고도 사이코패스화된 게 함정이지만. 충혜왕 사후엔 첫째, 둘째 손자인 충목왕, 충정왕이 왕위에 오르지만 둘 다 10대에 사망하고, 1352년에는 3남인 공민왕이 즉위했지만[24] 초반의 개혁적 행보가 무색하게 노국대장공주 승하 뒤 폐인이 되어 암군으로 타락, 끝내는 자제위에게 참혹하게 시해당하고 만다. 차남 용산원자도 어린 나이에 요절했다. 심지어 셋째 손자 우왕도 좋은 임금이 되지는 못했다.

5. 기타

  • 고려 말의 명장이자 영웅이었던 최영우왕의 난봉짓을 보다 못해
    "충숙왕도 놀기를 좋아하셨지만 그래도 농번기를 피해 놀아서 백성들 원망을 듣지는 않으셨는데 지금 전하는 시도 때도 없이 놀으니 백성들이 원망한다."

    고 간언했다.
  • 조선왕조실록》에는 충숙왕이 예천군 권한공에게 편지를 보내면서 자신을 '거사'라고 칭한 적이 있다고 하는데 이성계가 이 고사를 본떠 당시 북쪽 변방에 나가 있던 정도전에게 태조 자신의 호인 '송헌거사'라는 발신자명으로 편지를 보내 안부를 물었다고 한다. 이성계의 정도전에 대한 두터운 신임이나 임금과 신하가 사적으로도 이렇게 친하게 지낼 수 있었더라 하는 보기 좋은 미담으로 소개되어 있기는 한데 정작 고사에 나오는 권한공은 채홍철, 유청신 등과 함께 심왕 왕고에게 붙어서 충숙왕에게 고려의 왕위를 왕고에게 넘겨주라고 권하거나 '입성책동'에 찬성했고, 결국 충숙왕에 의해 유배까지 갔던 문제적인 간신이자 부원배였다.
  • 파일:external/img.segye.com/20160929001559_0.jpg
    2016년 바티칸 비밀문서고에서 1333년 당시 교황 요한 22세가 충숙왕에게 보낸 것 아니냐고 주장되는 서한의 필사본이 발견되었다.# 이 서한이 충숙왕에게 도착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내용은,
    "왕께서 그 곳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잘 대해주신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무척 기뻤습니다."

    라는 구절이 있기에 당시 고려에 그리스도교인들이 있었다는게 확인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영상에서 라틴어 번역자가
    "결론적으로 말하면... 고려 왕 당신은 하느님의 좋은 종입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보낸 신자들을 환대해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라고 편지 내용을 요약해주는데 만약 '우리가 보낸'이라 는 것이 번역자가 임의로 붙인 내용이 아니라면 당시 동아시아에 존재하던 네스토리우스파 신자가 아니라 가톨릭 신자가 고려 땅을 밟은 셈이 된다.[25] 임의로 붙인 내용이라면 고려 왕실은 몽골 황실과 연결되어 있었고, 몽골에서는 네스토리우스파가 황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므로 아마도 고려에 거주하던 네스토리우스파 신자들을 가리키고 있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다만 해당 기사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서유럽고려 간에 교류가 있어서 고려의 금속활자가 서유럽의 금속활자에 영향을 줬다는 것은 현재로서는 신빙성이 낮으며, 서유럽의 금속활자는 동양의 금속활자와는 다른 독자적인 체제를 통해 만들어졌기에 근거가 마땅치 않다. 해당 문건은 고려시대 당시 한반도 내 크리스천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증거로서 봐야 한다. 해당기사 오류 지적[26]
그런데 "위의 편지가 고려 충숙왕에게 보낸 것이라는 주장은 라틴어를 잘못 해석한 것"이라는 반박 주장도 나왔다. 편지를 받는 'Regi Corum'의 'Corum'을 고려인의 복수로 보는 건 라틴어를 잘못 해석한 것으로 편지를 받는 당사자는 라틴어 문법으로 보든, 당시 정황으로 보든 충숙왕일 수 없다는 것이다. 기사1, 기사2. 해당 논문을 살펴보면 'Corum'의 문법적인 형태를 고려해 볼 때 'Corum'은 'Ci'이고, 이는 'Khitan'에 더 근접해 있으며, 'Khitan'은 그런데 'Chigista'로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또다른 가능성도 있는데 'Sece de Chigista'를 'Seecede Chingista'로 읽을 수 있으며, 이 경우도 고려와는 무관하다고 한다. 그렇다면 편지를 받는 'Regi Corum'은 충숙왕이 아니라 원나라 황제이거나 서방 칸국의 칸들 중 한 명으로 보인다. 또한 해당 서신은 아비뇽에서 칸발리크(대도, 오늘날의 베이징)으로 가는 여정에서 여행의 안전을 보장하는 일종의 통행증이었는데, 칸발리크보다 더 동쪽에 있는 고려의 왕에게 보내는 서신일 수 없다. 마지막으로 '고려'를 이르는 당대 라틴어 어형은 몽골어 '솔롱고스'에서 유래한 'Solangi, 또는 혹은 '高麗'의 중국어 발음 '가오리'에서 유래한 'Caule'였으므로 'Regi Corum'은 '고려 왕'이 될 수 없다는 게 논문의 요지다.
  • 고려의 국왕들 중 폐위 없이 제 명에 살다 자연사한 마지막 국왕이다. 그를 이은 충혜왕은 열받은 원나라에서 그를 폐위시켜 귀양보내다 의문사했고 충목왕은 즉위한 지 겨우 4년 만에 12세의 어린 나이로 요절했다. 충정왕도 즉위한 지 겨우 3년 만에 15세의 나이로 폐위된 것도 모자라 공민왕에게 암살당했고 공민왕 역시 자제위에 암살당했다. 말대의 우왕, 창왕, 공양왕도 이성계에게 줄줄이 처형당했다.

6. 가족관계

7. 대중매체에서

  • 코에이의 게임 <원조비사>에서 시나리오 3 '원조의 성립'에서 고려 군주로 등장하는데 이 시나리오의 시작년도는 1271년[30]으로 태어나기도 전에 고려의 군주가 되어 있다. 덩달아 아들인 제28대 충혜왕과 제31대 공민왕도 등장하며, 수하 무장으로 최영이성계가 있다. 능력치가 그냥저냥이다 보니 많은 유저들이 충숙왕을 죽이고(...), 그의 차남인 공민왕을 후계자로 해서 플레이하기도 했다.
파일:충숙왕(신돈).png
  • 2005년 MBC 드라마 <직지>에서는 배우 이정길이 연기했다.

8. 둘러보기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사(高麗史)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세가(世家)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670000,#fedc89>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성종 · 목종 현종 · 덕종
<rowcolor=#670000,#fedc89>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문종 · 순종 선종 · 헌종
<rowcolor=#670000,#fedc89>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숙종 · 예종 인종 · 의종 · 명종 신종 · 희종 · 강종
<rowcolor=#670000,#fedc89>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고종 원종 충렬왕
<rowcolor=#670000,#fedc89> 33·34·35권 36권 37권
충선왕 ·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 충정왕
<rowcolor=#670000,#fedc89>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열전 45·46권
공민왕 우왕 · 창왕 공양왕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표(表) ]
86·87권 「연표(年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88권 「후비1(后妃一)」
89권 「후비2(后妃二)」
90권 「종실1(宗室一)」
91권 「종실2(宗室二)」·「공주(公主)」
태조
신혜왕후 유씨 · 장화왕후 오씨 · 신명순성왕태후 유씨 · 신정왕태후 황보씨 · 신성왕태후 김씨 · 정덕왕후 유씨 · 헌목대부인 평씨 · 정목부인 왕씨 · 동양원부인 유씨 · 숙목부인 · 천안부원부인 임씨 · 흥복원부인 홍씨 · 후대량원부인 이씨 · 대명주원부인 왕씨 · 광주원부인 왕씨 · 소광주원부인 왕씨 · 동산원부인 박씨 · 예화부인 왕씨 · 대서원부인 김씨 · 소서원부인 김씨 · 서전원부인 · 신주원부인 강씨 · 월화원부인 · 소황주원부인 · 성무부인 박씨 · 의성부원부인 홍씨 · 월경원부인 박씨 · 몽량원부인 박씨 · 해량원부인
태자 왕태 · 문원대왕 왕정 · 증통국사 · 대종 왕욱 · 안종 왕욱 · 왕위군 · 인애군 · 원장태자 · 조이군 · 수명태자 · 효목태자 왕의 · 효은태자 · 원녕태자 · 효성태자 왕림주 · 효지태자 · 태자 왕직 · 광주원군 · 효제태자 · 효명태자 · 법등군 · 자리군 · 의성부원대군 · 안정숙의공주 · 흥방궁주 · 대목왕후 · 문혜왕후 · 선의왕후 · (정덕왕후 소생 공주) · 순안왕대비 · (흥복원부인 소생 공주) · (성무부인 소생 공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혜종 정종 광종
의화왕후 임씨 · 후광주원부인 왕씨 · 청주원부인 김씨 · 궁인 애이주 문공왕후 박씨 · 문성왕후 박씨 · 청주남원부인 김씨 대목왕후 황보씨 · 경화궁부인 임씨
흥화궁군 · 태자 왕제 · 경화궁부인 · 정헌공주 · 명혜부인 경춘원군 · (문성왕후 소생 공주) 효화태자 · 천추전부인 · 보화궁부인 · 문덕왕후
경종 성종 목종
헌숙왕후 김씨 · 헌의왕후 유씨 · 헌애왕태후 황보씨 · 헌정왕후 황보씨 · 대명궁부인 유씨 문덕왕후 유씨 · 문화왕후 김씨 · 연창궁부인 최씨 선정왕후 유씨 · 궁인 김씨
- 원정왕후 · 원화왕후 - }}}
현종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평양공 왕기 · 검교태사 왕충 · 효정공주 · 천수전주 · 인평왕후 · 경숙공주 · 효사왕후 · 효경공주 · 경성왕후 · 아지
덕종 정종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문종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순종 선종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숙종 예종
명의태후 유씨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승덕공주 · 흥경공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인종 의종 명종
폐비 이씨 · 폐비 이씨 · 공예태후 임씨 · 선평왕후 김씨 장경왕후 김씨 · 장선왕후 최씨 광정태후 김씨
대령후 왕경 · 원경국사 충희 · 승경궁주 · 덕녕궁주 · 창락궁주 · 영화궁주 효령태자 왕기 · 경덕궁주 · 안정궁주 · 화순궁주 왕선사 · 왕홍기 · 왕홍추 · 왕홍규 · 왕홍균 · 왕홍각 · 왕홍이 · 연희궁주 · 수안궁주 }}}
신종 희종
선정태후 김씨 성평왕후 임씨
양양공 왕서 · 효회공주 · 경녕궁주 창원공 왕지 · 시령후 왕위 · 경원공 왕조 · 대선사 경지 · 충명국사 각응 · 안혜태후 · 영창공주 · 덕창궁주 · 가순궁주 · 정희궁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강종 고종 원종
사평왕후 이씨 · 원덕태후 유씨 안혜태후 유씨 순경태후 김씨 · 경창궁주 유씨
수령궁주 안경공 왕창 · 수흥궁주 시양후 왕이 · 순안공 왕종 · 경안궁주 · 함녕궁주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제국대장공주 · 정신부주 · 숙창원비 김씨 계국대장공주 · 의비 · 정비 · 순화원비 홍씨 · 조비 · 순비 허씨 복국장공주 · 조국장공주 · 경화공주 · 명덕태후 홍씨 · 수비 권씨
강양공 왕자 · 소군 왕서 · 정녕원비 · 명순원비 세자 왕감 · 덕흥군 용산원자
충혜왕 공민왕 공양왕
덕녕공주 · 희비 윤씨 · 화비 홍씨 · 은천옹주 임씨 휘의노국대장공주 · 혜비 이씨 · 익비 한씨 · 정비 안씨 · 신비 염씨 순비 노씨
석기 · 장녕공주 - 세자 왕석 · 숙녕궁주 · 정신궁주 · 경화궁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92권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 유금필 · 최응 · 최언위 (최광윤 최행귀 최광원) · 왕유 왕자지 · 박술희 · 최지몽 · 왕식렴 · 박수경 · 왕순식 이총언 견금 윤선 흥달 선필 태평 · 공직 · 박영규
93권
서필 · 최승로 최제안 · 쌍기 · 최량 · 한언공 · 류방헌 · 김심언 · 최항 · 채충순
94권
서희 서눌 서공 · 유진 · 강감찬 · 최사위 · 황보유의 장연우 · 양규 (양대춘) · 지채문 지녹연 · 하공진 · 김은부 · 주저 · 강민첨 · 곽원 · 왕가도 · 김맹 · 류소 · 윤징고 · 위수여 · 전공지 · 이주헌 · 이주좌 · 안소광 · 조지린
95권
최충 최유선 최사제 최약 최윤의 · 이자연 이자량 이자인 이혁유 이자현 이자덕 이예 이공수 이지저 이오 이광진 · 박인량 박경인 박경백 박경산 · 황주량 · 류신 · 왕총지 · 위계정 · 소태보 왕국모 고의화 · 문정 · 정문 · 김원정 · 손관 · 최사량 · 김선석 · 임의 임원후 임극충 임극정 임부 임유 임익 임항 · 김한충
96권
최사추 · 김인존 · 윤관 윤언순 (윤언식 윤언민 윤언이) 윤인첨 윤세유 윤상계 · 오연총
97권
김부일 김부의 · 고령신 · 김황원 이궤 · 곽상 곽여 · 유재 호종단 신안지 · 김경용 (김인규) · 최홍사 · 한안인 · 이영 · 한충 · 임개 유녹숭 · 김준 · 류인저 · 강증 · 허경 · 문관 · 정항 정서 · 김극검 · 김약온
98권
김부식 김돈중 김군수 · 정습명 · 고조기 · 김정순 · 정극영 · 박정유 · 최사전 · 김향 · 최자성 · 김진 · 임완 · 최기우 · 김수자 · 최유 · 이숙 이위 · 허재
99권
양원준 · 최유청 최당 최린 최선 최종준 최온 최문본 최평 최옹 · 이공승 · 신숙 · 한문준 · 문극겸 · 류공권 류택 · 조영인 · 왕세경 · 이순우 · 임민비 · 최척경 · 함유일 · 염신약 · 이지명 · 유응규 유자량 · 현덕수 · 최균 최보순 최윤개 · 김거공 · 한유한
100권
두경승 · 우학유 · 노영순 · 조위총 · 방서란 · 박제검 · 기탁성 · 홍중방 · 경대승 · 진준 · 최세보 · 박순필 · 이영진 · 백임지 · 이준창 · 최충렬 · 정세유 정숙첨 정안 · 정국검 이유성 · 정방우 · 정언진
101권
민영모 민식 · 송저 · 김광중 김체 · 안유발 · 최여해 · 최우청 · 왕규 · 차약송 기홍수 · 정극온 · 류광식 · 권경중 · 김태서 김약선 김미 · 문한경 권세후 백돈명 · 노인수 · 김의원
102권
금의 · 이규보 이익배 · 유승단 · 김인경 김승무 · 이공로 · 이인로 오세재 조통 임춘 · 조문발 · 이순목 이수 · 김창 · 송국첨 · 최자 하천단 · 채송년 채정蔡楨 · 손변 · 권수평 · 이순효 장순량 · 송언기 · 김수강 · 김지대 · 이장용
<rowcolor=#670000,#fedc89> 103권 104권
조충 조변 · 김취려 김문연 김변 · 이적 · 채정蔡靖 · 박서 송문주 · 김경손 김혼 · 최춘명 · 김희제 · 이자성 · 김윤후 · 김응덕 김방경 김구용 김제안 김흔 김순 김영돈 김영후 김사형 박구 · 한희유 · 나유 나익희 · 원충갑 · 김주정 김심 김종연 김석견
105권
류경 류승 류돈 류만수 · 허공 허종 허관 허금 허부 허유 · 홍자번 홍승서 홍영통 · 정가신 · 안향 안우기 안목 · 설공검 · 유천우 · 조인규 조서 조연 조덕유 조린 조연수 조위
106권
백문절 백이정 · 박항 · 곽예 · 주열 · 이주 이행검 · 장일 · 김구 · 이승휴 이연종 · 김훤 김개물 · 정해 정오 정포 정공권 · 조간 · 심양 · 추적 이인정 채우 · 김유성 곽린 · 윤해 윤택 · 이영 · 엄수안 · 안전 · 최수황 · 박유 · 홍규 홍융
<rowcolor=#670000,#fedc89> 107권 108권
한강 한악 한수 한방신 · 원부 원충 원호 원선지 원송수 · 김련 · 김부윤 · 정인경 · 권단 권부 권준 권렴 권용 권적 (권고) 권화 권근 · 민지 민상정 민종유 민적 민사평 민변 민제 · 김지숙 김인연 · 정선 · 이혼 · 최성지 최문도 · 채홍철 · 김이 · 이인기 · 홍빈 · 조익청 · 배정지 · 손수경
109권
박전지 · 오형 · 이진 · 윤신걸 박효수 · 허유전 · 박충좌 · 윤선좌 · 이조년 이승경 · 이곡 · 우탁 · 안축 안종원 안보 · 최해 · 장항 · 이성 · 조렴 왕백 · 이백겸 · 신군평
<rowcolor=#670000,#fedc89> 110권 111권
최유엄 · 김태현 김광재 · 김륜 김경직 김희조 김승구 · 왕후 왕중귀 · 한종유 · 이제현 이달존 이보림 · 이능간 염제신 · 이암 이강 · 홍언박 홍사우 류연 · 류탁 · 경복흥 · 김속명 · 이자송 · 조돈 조인옥 · 최재 · 송천봉 · 홍중선 · 김도 · 임박 · 문익점
112권
이공수 · 류숙 류실 · 이인복 · 백문보 · 전녹생 · 이존오 · 이달충 · 설손 설장수 · 한복 · 이무방 · 정습인 · 하윤원 · 박상충 · 박의중 · 조운흘
113권
안우 김득배 이방실 · 정세운 · 안우경 · 최영 · 정지 · 윤가관 · 김장수
114권
윤환 · 이성서 · 이수산 이념 · 이승로 · 황상 · 지용수 · 나세 · 김선치 · 전이도 · 구영검 · 오인택 · 김보 · 변광수 · 정지상 · 임군보 · 나흥유 · 목인길 · 김유 · 양백연 · 지용기 · 하을지 · 우인열 · 문달한 · 김주 · 최운해
{{{#!wiki style="margin: -16px -11px"<rowcolor=#670000,#fedc89> 115권 116권 117권
이색 · 우현보 · 이숭인 심덕부 · 이림 · 왕강 · 박위 · 이두란 · 남은 정몽주 · 김진양 · 강회백 · 이첨 · 성석린
<rowcolor=#670000,#fedc89> 118권 119권 120권
조준 정도전 윤소종 윤회종 · 오사충 · 김자수 }}}
121권
<rowcolor=#670000,#fedc89> 「양리(良吏)」 「충의(忠義)」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rowcolor=#670000,#fedc89> 「효우(孝友)」 「열녀(烈女)」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유씨 · (현문혁의 처) · (홍의의 처) · (안천검의 처) · (강화부 세 여인) · 최씨 · 배씨 · 문씨 · 김씨 · 안씨 · 이씨 · (권금의 처)
122권
{{{#!wiki style="margin: -16px -11px"<rowcolor=#670000,#fedc89> 「방기(方技)」 「환자(宦者)」 「혹리(酷吏)」
김위제 · 이녕 (이광필) · 이상로 · 오윤부 · 설경성 정함 · 백선연 · 최세연 · 이숙 · 임백안독고사 · 방신우 · 이대순 · 우산절 · 고용보 · 김현 · 안도치 · 신소봉 · 이득분 · 김사행 송길유 · 심우경 }}}
123권 「폐행1(嬖幸一)」
유행간 · 영의 · 김존중 · 정세신 · 백승현 · 강윤소 · 염승익 · 이분희 이습 · 권의 채모 이덕손 · 임정기 (민훤) · 주인원 · 이지저 고종수 김유 · 인후 인승단 · 장순룡 차신 노영 · 조윤통
124권 「폐행2(嬖幸二)」
윤수 윤길보 (송화) · 이정 김문비 이병 · 원경 · 박의 · 박경량 · 전영보 · 강윤충 · 배전 · 민환 · 윤석 · 손기 · 정방길 임중연 강융 · 신청 박청 · 왕삼석 양재 조신경 최노성 윤현 안규 · 최안도 이의풍 김지경 이인길 · 노영서 박양연 송명리 · 김흥경 · 반복해 · 신원필
125권 「간신1(姦臣一)」
문공인 · 박승중 · 최홍재 · 최유칭 · 박훤 · 송분 · 왕유소 · 송방영 · 오잠 석주 · 김원상 · 류청신 · 권한공 · 채하중 · 신예 전숙몽 · 이춘부 · 김원명 · 김횡 · 지윤
126권 「간신2(姦臣二)」
이인임 · 임견미 · 염흥방 · 조민수 · 변안열 · 왕안덕
{{{#!wiki style="margin: -16px -11px"<rowcolor=#670000,#fedc89> 127권 「반역1(叛逆一)」 128권 「반역2(叛逆二)」 129권 「반역3(叛逆三)」
환선길 · 이흔암 · 왕규 · 김치양 · 강조 · 이자의 · 이자겸 · 척준경 · 묘청 (정지상) 정중부 이광정 송유인 · 이의방 · 이의민 · 정방의 · 조원정 석린 최충헌 최이 최항 최의 }}}
<rowcolor=#670000,#fedc89> 130권 「반역4(叛逆四)」 131권 「반역5(叛逆五)」
한순 다지 · 홍복원 (홍차구 홍군상 홍선 장위 류종) · 이현 · 조숙창 · 조휘 · 김준 · 임연 · 조이 김유 이추 · 한홍보 · 우정 · 최탄 · 배중손 조적 · 조일신 · 김용 · 기철 · 노책 · 권겸 · 최유 · 홍륜 · 김문현 · 김의
132권 「반역6(叛逆六)」
신돈
133·134·135·136·137권
신우(우왕) (신창(창왕)) }}}}}}}}}}}}



[1] 율리우스력 7월 30일[A] 율리우스력 4월 20일[B] 율리우스력 5월 3일[A] [C] 율리우스력 2월 18일[6] 1321년부터 1324년까지 3년간 대도에 압송되어 고려 국새을 빼앗겼다.[C] [D] 율리우스력 3월 21일[D] [B] [11] 참고로 그의 아들인 제31대 공민왕 역시 같은 봉호를 받았다.[12] 어머니가 몽골인이고 아버지 충선왕은 고려-몽골 혼혈인, 쉽게 말해 친할아버지만 고려인이고 친할머니와 외조부모 모두 몽골인인, 1/4 고려인 + 3/4 몽골인이였다.[13] 참고로 충선왕은 50% 충혜왕과 공민왕은 62.5% 충목왕은 31.25% 충정왕과 우왕은 81.25 창왕은 90.625% 로 고려인 혈통이었다[14] 모친이 고려인 명덕태후다.[15] 제25대 충렬왕과 고려인 정화궁주 왕씨의 아들. 이름은 '왕자'였다.[16] 제국대장공주 보르지긴 쿠틀룩켈미쉬나 그 소생인 충선왕이 아니었다면 고려의 왕위는 당연히 강양공 왕자에게 돌아갔을 것이다. 충선왕 입장에서 심왕 자리를 조카에게 준 건 미안한 마음에 챙겨준 보상 비슷한 것이었을 수 있다. 게다가 애초에 심왕 자리는 충선왕이 공을 세워 얻어낸 것이며, 원의 의사에 어긋나는 인사는 충선왕이 하고 싶어도 할 수가 없다.[17] 물론 실질적 지배는 애초에 아니긴 했다.[18] 심왕 왕고의 모략 때문만이 아니라 충숙왕의 아내인 복국장공주 보르지긴 이린친발라가 갑자기 승하한 일이 있었는데 충숙왕이 복국장공주를 피흘릴 정도로 두들겨 패 죽였다는 혐의를 받고 원나라에서 문제삼은 적도 있었다. 그런데 사실 복국장공주는 고려에 올 때부터 몸이 이미 좋지 않은 상태였으며, 애당초 부부의 사이는 좋지 않아서 하루가 멀다하고 부부 싸움을 벌였다고 한다.[19] 실제로 원나라 내부에서 고려를 간접종속국이 아닌 직할통치령, 즉 원나라 영토로 편입시키고자 하는 의사가 있었다 한들, 이 시기의 원나라 상황을 감안했을 때 현실적으로 힘들었을 것이다. 원나라는 건국 초기부터 한줌도 안 되는 극소수의 몽골인들이 절대 다수의 한족 및 소수민족들을 통치하는 구조였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불안정한 국가 구조를 안고 갈 수밖에 없었고, 더군다나 이 시기는 원나라 후기여서 안 그래도 허약한 행정력 때문에 내부적으로 굉장히 혼란스러웠기 때문이다.[20] 그리고 원종은 아들 충렬왕을 쿠빌라이의 딸 제국대장공주에게 장가 보내어 사돈을 맺었다. 따라서 쿠빌라이는 충렬왕의 장인이기도 하다.[21] 원나라의 시호를 쓰지 않는 경우에는 '의효왕', 고로 '의왕'(懿王)으로 줄여 부르는 것도 가능하다. 전대인 제18대 의종과는 한자가 다르다.[22] 충렬왕과 충선왕은 대부분 제 발로 원나라에 자주 들락거렸으나 충숙왕이 원나라에 갈 때는 강제 호출된 경우가 많았다.[23] 고려 충숙왕대 인사정책 연구: 재추의 관직겸임 양상을 중심으로[24] 사실 충숙왕 본인도 생전에 신하들에게 공민왕을 왕위에 올려달라고 간절히 부탁했었다고 한다.[25] 당시 원나라 수도 대도에는 가톨릭 성직자들이 파견되어 있었으므로 고려에 가톨릭 신자가 가는 것이 부자연스러운 일은 아니다.[26] 이 시대에는 고려인 무슬림도 있었다. 수도 개경에는 몽골에서 건너와 고려에 체류하던 튀르크계 위구르인들이 지은 마스지드가 있었고, 당시에는 그 곳을 예궁(禮宮)이라 불렀다.(출처 : 《조선불교통사》)[27] 20세기에 편찬된《신원사》에는 제31대 공민왕의 왕후 노국대장공주가 위왕 아무케의 딸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원사》에 위왕 아무케가 제27대 충숙왕 때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기에 노국대장공주는 위왕 자리를 물려받은 아무케의 차남 베이르테무르의 딸일 가능성이 높다. 즉 아무케의 딸 조국장공주는 노국대장공주의 고모인 셈이다. 위왕 아무케는 원나라 제3대 황제인 무종과 원나라 제4대 황제인 인종의 이복형이었지만, 훗날 이들과의 계승 다툼에서 밀려나 대도에서 아주 멀리 떨어진 탐라(제주도)로 유배되어 죽었다.[28] '숙공휘령공주'라고도 한다.[29] 제26대 충선왕의 후궁 순화원비 홍씨(順和院妃 洪氏)의 친동생이다. 즉 이들은 부자지간이면서 동서(同婿)지간이 된다.[30] 실제 역사상으로 이 때 고려 군주는 제24대 원종이다. 일본 원판에서는 군주가 원종이지만 한국에 수입되면서 비스코에서 몽골과 관련된 인물들로 고려 측을 싹 갈아버려서 제27대 충숙왕이 대신 등장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