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왕자 [[틀:고려의 왕자/선종 ~ 공양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6700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200 20%, #FFB200 80%, #FF9D00);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양헌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안경공|{{{#!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 |||
}}}}}}}}} |
충희 관련 틀 | ||||||||||||||||||||||||||||||||||||||||||||||||||||||||||||||||||||||||||
|
<colbgcolor=#FFB200><colcolor=#670000> 고려 인종의 왕자 원경국사 | 元敬國師 | |
출생 | 1131 ~ 1135년[1] |
사망 | 1182년(명종 12년)[2] |
본관 | 개성 왕씨 |
휘 | 미상 |
부모 | 부왕 인종 모후 공예왕후 |
형제자매 | 5남 4녀 중 4남 |
법명 | 충희(冲曦) / 현희(玄曦)[3] |
소속 | 흥왕사 |
시호 | 원경국사(元敬國師) |
[clearfix]
1. 개요
고려 제15대 국왕 인종과 공예왕후의 4남이자 승려.2. 생애
인종과 공예왕후의 4남으로 의종과 명종의 동복동생, 신종의 동복형이다. 출가한 왕자로 법명이 '충희'이다. 훗날 '원경국사'로 추존되었다.의종 2년인 1148년 흥왕사의 법존(法尊)에서 증세승통(拯世僧統)이 된다. 충희는 흥왕사에 있으면서 숙종의 손자로 사촌지간인 사공 왕장(司空 王璋)과 놀기를 즐겼다. 왕장이라는 사람은 말타기, 도박, 격구를 즐기는 무뢰배였다. 의종 9년인 1155년 흥왕사의 내시가 '두 사람이 품은 뜻을 알 수 없다'며 반역의 뜻을 품었음을 왕에게 고하니 의종은 왕장의 작위를 삭탈했으나 충희는 처벌받지 않았다.
의종 11년인 1157년 의종이 목친전(睦親殿)에서 연 기복재(祈福齋)에 불린 200명의 승려 중 하나였다. 의종 21년인 1167년에는 형 의종을 위해 청녕재(淸寧齋)에서 음식을 바쳐고 연회를 벌였다. 예종의 서자로 충희의 삼촌인 승려 각예(覺倪)와 시중을 들던 신하들까지 불러 함께 마셨으며, 중미정(衆美亭)의 연못에 배를 띄워 밤까지 놀았다.
명종 7년인 1177년 흥왕사의 한 승려가 승통(僧統) 충희가 승려들과 왕위를 찬탈하려는 음모를 꾸민다고 고변한다. 명종은 충희의 종자(從者)[4]들을 불러 국문했으나 무고였음을 알고 풀어준다. 명종 10년인 1180년 공예태후가 유종을 앓자 명종은 충희를 불러 간호하게 했다. 충희는 궁궐에 있으면서 궁녀들, 공주[5]와 음행을 벌였는데, 우사간(右司諫) 최선이 충희를 탄핵해 궁궐 밖으로 내보낼 것을 청했다. 그러나 명종은 최선이 형제 사이를 이간질한다고 하며 오히려 최선을 파직시켰다. 대간들은 다시는 충희를 탄핵할 수 없었고, 조정의 신하들은 모두 충희에게 붙어 뇌물이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사서에 따르면 명종이 충희를 감싼 이유를 명종이 의종을 반면교사로 삼아 형제간의 우애를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사서에서는 의종이 도참을 믿어 동생을 꺼렸다[6]거나 명종은 의종이 불효하고 우애가 없던 것을 벌했다[7]는 등 의종이 폐위된 이유를 효나 우애같은 유교적 덕목의 부족으로 서술했다. 이는 인종이 참언을 믿고 충희의 형인 대령후 왕경를 유배보낸 것을 비판하는 것이다.
고려사 후비열전에 따르면 명종 12년인 1182년에, 고려사 종실열전에 따르면 명종 13년인 1183년에 사망한다. 후비열전 기록을 보면 공예태후가 충희의 죽음에 상심할 것을 우려해 이를 아뢰지 않았다. 공예태후는 몇 달 뒤에 충희의 죽음을 알고 화병이 생겨 명종 13년에 사망한다. 흥교사(興敎寺)에는 충희를 기리는 충희선사비가 세워졌으나 지금은 전해지지 않고 비편의 탁본만이 남아있다.
[1] 형 명종이 1131년생, 동생 신종이 1144년생이니 그 사이에 태어난 것으로 보이나, 당대 기준으로 성년이었을 1148년에 승려가 되었으니 대략 1131~1135년 사이에 태어난 것으로 추측된다.[2] 또는 1183년[3] 충희, 현희를 이름으로 파악하고 '왕충희, 왕현희'라고 하기도 하지만 보통 왕족은 이름을 한 글자만 쓴다는 점과 이름에 담긴 불교적 뜻으로 보아 법명일 것으로 추측된다.[4] 뒤를 따르는 사람[5] 수안궁주로 추정된다. 당시 수안궁주는 남편인 창화백(昌化伯) 왕우(王祐)와 떨어져 명종과 5개월간 살고 있었는데, 5개월 동안 공주를 못만난 것에 대해 남편인 창화백 왕우가 이혼까지 요구하는 상황이었다.[6] 『고려사』 권19, 명종 총서[7] 『고려사절요』권12, 명종 10년 6월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