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670000> 태조 후 | 혜종 후 | [ruby(정종, ruby=定宗)] 후 | 광종 후 |
1 신혜왕후2 장화왕후3 신명왕후4 신정왕후5 신성왕후6 정덕왕후 | 1 의화왕후 | 1 문공왕후2 문성왕후 | 1 대목왕후 | |
<rowcolor=#670000> 경종 후 | 성종 후 | 목종 후 | 현종 후 | |
1 헌숙왕후2 헌의왕후3 헌애왕후4 헌정왕후 | 1 문덕왕후2 문화왕후 | 1 선정왕후 | 1 원정왕후2 원화왕후3 원성왕후4 원혜왕후5 원용왕후6 원목왕후7 원평왕후 | |
<rowcolor=#670000> 덕종 후 | [ruby(정종, ruby=靖宗)] 후 | 문종 후 | 순종 후 | |
1 경성왕후2 경목현비3 효사왕후 | 1 용신왕후2 용의왕후3 용목왕후 | 1 인평왕후2 인예왕후 | 1 정의왕후2 선희왕후 | |
<rowcolor=#670000> 선종 후 | 숙종 후 | 예종 후 | 인종 후 | |
1 정신현비2 사숙왕후 | 1 명의왕후 | 1 경화왕후2 순덕왕후3 문정왕후 | 폐 연덕궁주폐 복창원주1 공예왕후2 선평왕후 | |
<rowcolor=#670000> 의종 후 | 명종 후 | 신종 후 | 희종 후 | |
1 장경왕후2 장선왕후 | 1 의정왕후 | 1 선정왕후 | 폐 태자비 왕씨1 성평왕후 | |
<rowcolor=#670000> 강종 후 | 고종 후 | 원종 후 | 충렬왕 비 | |
1 사평왕후2 원덕왕후 | 1 안혜왕후 | 1 정순왕후폐 경창궁주 | 1 제국대장공주 | |
<rowcolor=#670000> 충선왕 비 | 충숙왕 비 | 충혜왕 비 | 공민왕 비 | |
1 계국대장공주 | 1 복국장공주2 조국장공주3 경화공주4 공원왕후 | 1 덕녕공주2 희비 윤씨 | 1 노국대장공주6 순정왕후 | |
<rowcolor=#670000> 우왕 비 | 공양왕 비 | |||
폐 근비 이씨 | 1 순비 노씨 | |||
}}}}}}}}}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정종의 제3왕후 용목왕후 | 容穆王后 | |||
출생 | 연대 미상 | ||
사망 | 연대 미상 | ||
능묘 | 미상 | ||
재위기간 | 고려 창성궁주 | ||
미상 | |||
고려 제3왕후 | |||
미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본관 | 부계 이씨[1] 모계 미상 | |
부모 | 부친 공부시랑 이품언 (工部侍郞 李禀焉) 모친 미상 | ||
형제자매 |
| ||
배우자 | 정종 | ||
자녀 |
| ||
종교 | 미상 | ||
거처 | 창성궁(昌盛宮) | ||
작호 | 창성궁주(昌盛宮主) | ||
시호 | 용목왕후(容穆王后) | }}}}}}}}} |
[clearfix]
1. 개요
고려 정종의 제3비. 시호는 정종 容혜대왕과 容자 돌림이다.2. 생애
공부시랑(工部侍郞) 이품언(李禀焉)의 딸이다. 덕종의 후궁 이씨와는 자매지간이다.2대에 걸쳐 왕의 비를 배출했는데도 공부시랑(工部侍郞)[2] 이품언(李禀焉)에 대한 기록은 자세히 남아있지 않다.
창성궁(昌盛宮)을 하사받아 창성궁주(昌盛宮主)로 불리었다. 생몰년과 능묘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