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6 08:29:54

사숙왕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70000> 태조 후 혜종 후 [ruby(정종, ruby=定宗)] 후 광종 후
1
신혜왕후 류씨
2
장화왕후 오씨
3
신명왕후 유씨
4
신정왕후 황보씨
5
신성왕후 김씨
6
정덕왕후 류씨
1
의화왕후 임씨
1
문공왕후 박씨
2
문성왕후 박씨
1
대목왕후 황보씨
<rowcolor=#670000> 경종 후 성종 후 목종 후 현종 후
1
헌숙왕후 김씨
2
헌의왕후 류씨
3
헌애왕후 황보씨
4
헌정왕후 황보씨
1
문덕왕후 유씨
2
문화왕후 김씨
1
선정왕후 유씨
1
원정왕후 김씨
2
원화왕후 최씨
3
원성왕후 김씨
4
원혜왕후 김씨
5
원용왕후 류씨
6
원목왕후 서씨
7
원평왕후 김씨
<rowcolor=#670000> 덕종 후 [ruby(정종, ruby=靖宗)] 후 문종 후 순종 후
1
경성왕후 김씨
2
경목현비 왕씨
3
효사왕후 김씨
1
용신왕후 한씨
2
용의왕후 한씨
3
용목왕후 이씨
1
인평왕후 김씨
2
인예왕후 이씨
1
정의왕후 왕씨
2
선희왕후 김씨
<rowcolor=#670000> 선종 후 숙종 후 예종 후 인종 후
1
정신현비 이씨
2
사숙왕후 이씨
1
명의왕후 류씨
1
경화왕후 이씨
2
순덕왕후 이씨
3
문정왕후 왕씨
연덕궁주 이씨
복창원주 이씨
1
공예왕후 임씨
2
선평왕후 김씨
<rowcolor=#670000> 의종 후 명종 후 신종 후 희종 후
1
장경왕후 김씨
2
장선왕후 최씨
1
의정왕후 김씨
1
선정왕후 김씨
태자비 왕씨
1
성평왕후 임씨
<rowcolor=#670000> 강종 후 고종 후 원종 후 충렬왕 비
1
사평왕후 이씨
2
원덕태후 류씨
1
안혜왕후 유씨
1
정순왕후 김씨
경창궁주 유씨
1
제국대장공주
<rowcolor=#670000> 충선왕 비 충숙왕 비 충혜왕 비 공민왕 비
1
계국대장공주
1
복국장공주
2
조국장공주
3
경화공주
4
공원왕후 홍씨
1
덕녕공주
2
희비 윤씨
1
노국대장공주
6
순정왕후
<rowcolor=#670000> 우왕 비 공양왕 비
근비 이씨
1
순비 노씨
}}}}}}}}}
사숙왕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70000> 태조 태후 혜종 태후 [ruby(정종, ruby=定宗)] ~ 광종 태후 경종 태후
정화왕후 장화왕후 신명순성왕태후 대목왕후
원창왕후
위숙왕후
<rowcolor=#670000> 성종 태후 목종 태후 현종 태후 덕종 ~ [ruby(정종, ruby=靖宗)] 태후
태황태후

신정대왕태후
헌애왕태후
(천추태후)
신성왕태후 원성왕태후
효숙왕태후
선의왕태후
왕대비

문화대비
왕대비

순안왕대비
<rowcolor=#670000> 문종 태후 순종 ~ 선종, 숙종 태후 헌종 태후 예종 태후
원혜태후 인예태후 사숙태후 명의태후
<rowcolor=#670000> 인종 태후 의종 태후 명종 ~ 신종 태후 희종 태후
문경태후 공예태후 공예태후 선정태후
왕대비

선평왕후
<rowcolor=#670000> 강종 태후 고종 태후 원종 태후 충렬왕 태후
광정태후
태황태후

원덕태후
안혜태후 순경태후
상황후

성평왕후
<rowcolor=#670000> 충선왕 태후 충숙왕 태후 충혜왕 태후 충목왕 ~ 충정왕 태후
인명태후 계국대장공주 명덕태후 덕녕공주
<rowcolor=#670000> 공민왕 태후 우왕 태후 창왕 태후 공양왕 태후
명덕태후 인덕태후
왕대비

왕대비 이씨
왕대비

왕대비 안씨
순정왕후
국대비

삼한국대비
}}}}}}}}}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충선왕 제정 재상지종 15가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태후 가문
경주 김씨
순경태후
정안 임씨
공예태후
경원 이씨
인예태후
안산 김씨
원성태후
당성 홍씨
명덕태후
재상 가문
언양 김씨
김취려
철원 최씨
최유청
해주 최씨
최충
공암 허씨
허재
평강 채씨
채송년
청주 이씨
이자림
황려 민씨
민영모
횡천 조씨
조영인
파평 윤씨
윤관
평양 조씨
조인규家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선종의 제2왕후
사숙왕후 | 思肅王后
고려 헌종의 모후
사숙태후 | 思肅太后
출생 연대 미상
이석의 사저
사망 1107년 이전
고려 개경 개성부 흥성궁
(現 경기도 개성시)
능묘 인릉(仁陵)
재위기간 고려 왕후
1083년 12월 6일 ~ 1094년 6월 17일
고려 왕태후
1194년 6월 17일 ~ 1095년 11월 6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본관 인주 이씨[1]
부모 부친 공부상서 이석[2]
(工部尙書 李碩)
모친 강릉군부대부인 강릉 왕씨[3]
(江陵郡大夫人 江陵 王氏)
배우자 선종
자녀
1남 2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헌종(獻宗, 1084 ~ 1097)
장녀 - 수안택주(遂安宅主, 1088 ~ 1128)
차녀 - 공주(조졸)
종교 불교
관저 국원공부(國原公府)[4]
→ 연화궁(延和宮)
→ 중화전(中和殿) 영녕부(永寧府)
작호 국원공빈(國原公嬪)[5]
→ 연화궁비(延和宮妃)
시호 광숙정화사숙태후
(匡肅貞和思肅太后)
}}}}}}}}}
1. 개요2. 비운의 태후3. 가족관계

[clearfix]

1. 개요

선종의 제2비. 시호는 선종 思효대왕과 思 자 돌림이다.

인천 이씨 출신으로 문종 대의 명신 경원군 개국공(慶源郡 開國公) 이자연의 친손녀이며 이석의 딸이다.

조선국공(朝鮮國公) 이자겸과 사촌이다.

2. 비운의 태후

선종이 공작일 때 혼인했으며 남편이 즉위하자 연화궁비(延和宮妃)라는 존호를 받았다. 인예왕후의 사례를 보면 연화궁비 존호는 아마 '연화궁주 - 왕비' 존호의 약칭인 것으로 보인다.

선종이 승하하면서 모두가 후계자로 예상한 선종의 동생 계림공이 아닌 어린 태자 왕욱(王昱)을 왕위에 올렸고, 헌종의 친어머니였던 연화궁비는 왕태후의 존호를 받았다. 또한 본궐 내에 관저 중화전(中和殿)을 받고 산하기관 영녕부(永寧府)를 받았다.

왕태후는 너무 어렸던 아들 헌종을 대신해 3년 동안 수렴청정하였다. 하지만 민심이나 왕실 내의 의견은 모두 헌종보단 계림공이 군주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였고, 결국 계림공이 움직이면서 왕태후와 헌종은 수세에 몰린다. 결국 이 같은 상황에서 사촌오빠인 이자의계림공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키려다가 목숨을 잃게 되면서 끝내 헌종은 숙부 숙종에게 양위하게 된다. 1년 뒤 아들 헌종이 어린 나이로 승하하자 숙종은 태후의 관저를 폐쇄해 태후의 권력을 일절 끊어버린다. 이에 태후는 아들이 살던 궁궐인 흥성궁으로 돌아가 그곳에서 거처했으며, 조용히 지내고 살다 승하한다. 이후 숙종의 아들 예종은 태후를 선종의 태묘 묘실에 합쳐 제사를 지내 주었다.

남편인 선종과 오랫동안 행복하게 살았지만, 남편이 승하하고 몇년 뒤에는 병약했던 아들 헌종까지 권력 다툼에 휘말린 뒤 쓸쓸히 승하한 것은 물론 유일하게 남은 혈육인 딸 수안택주(遂安宅主)조차 앞을 보지 못하는 시각 장애인이었으니 걱정이 컸을 것이다. 여러모로 왕실 권력 다툼의 패배자로서 피해를 크게 입은 셈이다.

3. 가족관계

선종과의 슬하에 아들 헌종 왕욱(王昱), 딸 수안택주(遂安宅主)와 이름이 실전된 공주를 두었다. 선종과 사숙왕후에겐 안타깝게도 사서에 이름이 전해지지 않는 공주는 어려서 일찍 죽었고, 수안택주는 선천적인 시각 장애인이었고, 이 때문에 혼인조차 하지 못했다. 그나마 직계 왕족이기에 평민들보다는 훨씬 나은 생활을 한 것으로 추측된다.
[1] 현재는 인천 이씨. 예전에는 경원 이씨, 인주 이씨 라고도 불렀다. 인천의 과거 지명이 경원(慶源), 인주(仁州)였기 때문이다.[2] 이자연의 삼남[3] 왕총지의 딸[4] 남편 선종이 공작이었던 시절 같이 살던 관저[5] 국원공비(國原公妃)는 사망 전 정신현비의 관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