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8 20:34:22

강민첨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KBS 대하드라마 〈고려 거란 전쟁〉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강민첨(고려 거란 전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사(高麗史)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세가(世家)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670000,#fedc89>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성종 · 목종 현종 · 덕종
<rowcolor=#670000,#fedc89>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문종 · 순종 선종 · 헌종
<rowcolor=#670000,#fedc89>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숙종 · 예종 인종 · 의종 · 명종 신종 · 희종 · 강종
<rowcolor=#670000,#fedc89>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고종 원종 충렬왕
<rowcolor=#670000,#fedc89> 33·34·35권 36권 37권
충선왕 ·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 충정왕
<rowcolor=#670000,#fedc89>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열전 45·46권
공민왕 우왕 · 창왕 공양왕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표(表) ]
86·87권 「연표(年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88권 「후비1(后妃一)」
89권 「후비2(后妃二)」
90권 「종실1(宗室一)」
91권 「종실2(宗室二)」·「공주(公主)」
태조
신혜왕후 유씨 · 장화왕후 오씨 · 신명순성왕태후 유씨 · 신정왕태후 황보씨 · 신성왕태후 김씨 · 정덕왕후 유씨 · 헌목대부인 평씨 · 정목부인 왕씨 · 동양원부인 유씨 · 숙목부인 · 천안부원부인 임씨 · 흥복원부인 홍씨 · 후대량원부인 이씨 · 대명주원부인 왕씨 · 광주원부인 왕씨 · 소광주원부인 왕씨 · 동산원부인 박씨 · 예화부인 왕씨 · 대서원부인 김씨 · 소서원부인 김씨 · 서전원부인 · 신주원부인 강씨 · 월화원부인 · 소황주원부인 · 성무부인 박씨 · 의성부원부인 홍씨 · 월경원부인 박씨 · 몽량원부인 박씨 · 해량원부인
태자 왕태 · 문원대왕 왕정 · 증통국사 · 대종 왕욱 · 안종 왕욱 · 왕위군 · 인애군 · 원장태자 · 조이군 · 수명태자 · 효목태자 왕의 · 효은태자 · 원녕태자 · 효성태자 왕림주 · 효지태자 · 태자 왕직 · 광주원군 · 효제태자 · 효명태자 · 법등군 · 자리군 · 의성부원대군 · 안정숙의공주 · 흥방궁주 · 대목왕후 · 문혜왕후 · 선의왕후 · (정덕왕후 소생 공주) · 순안왕대비 · (흥복원부인 소생 공주) · (성무부인 소생 공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혜종 정종 광종
의화왕후 임씨 · 후광주원부인 왕씨 · 청주원부인 김씨 · 궁인 애이주 문공왕후 박씨 · 문성왕후 박씨 · 청주남원부인 김씨 대목왕후 황보씨 · 경화궁부인 임씨
흥화궁군 · 태자 왕제 · 경화궁부인 · 정헌공주 · 명혜부인 경춘원군 · (문성왕후 소생 공주) 효화태자 · 천추전부인 · 보화궁부인 · 문덕왕후
경종 성종 목종
헌숙왕후 김씨 · 헌의왕후 유씨 · 헌애왕태후 황보씨 · 헌정왕후 황보씨 · 대명궁부인 유씨 문덕왕후 유씨 · 문화왕후 김씨 · 연창궁부인 최씨 선정왕후 유씨 · 궁인 김씨
- 원정왕후 · 원화왕후 - }}}
현종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평양공 왕기 · 검교태사 왕충 · 효정공주 · 천수전주 · 인평왕후 · 경숙공주 · 효사왕후 · 효경공주 · 경성왕후 · 아지
덕종 정종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문종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순종 선종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숙종 예종
명의태후 유씨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승덕공주 · 흥경공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인종 의종 명종
폐비 이씨 · 폐비 이씨 · 공예태후 임씨 · 선평왕후 김씨 장경왕후 김씨 · 장선왕후 최씨 광정태후 김씨
대령후 왕경 · 원경국사 충희 · 승경궁주 · 덕녕궁주 · 창락궁주 · 영화궁주 효령태자 왕기 · 경덕궁주 · 안정궁주 · 화순궁주 왕선사 · 왕홍기 · 왕홍추 · 왕홍규 · 왕홍균 · 왕홍각 · 왕홍이 · 연희궁주 · 수안궁주 }}}
신종 희종
선정태후 김씨 성평왕후 임씨
양양공 왕서 · 효회공주 · 경녕궁주 창원공 왕지 · 시령후 왕위 · 경원공 왕조 · 대선사 경지 · 충명국사 각응 · 안혜태후 · 영창공주 · 덕창궁주 · 가순궁주 · 정희궁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강종 고종 원종
사평왕후 이씨 · 원덕태후 유씨 안혜태후 유씨 순경태후 김씨 · 경창궁주 유씨
수령궁주 안경공 왕창 · 수흥궁주 시양후 왕이 · 순안공 왕종 · 경안궁주 · 함녕궁주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제국대장공주 · 정신부주 · 숙창원비 김씨 계국대장공주 · 의비 · 정비 · 순화원비 홍씨 · 조비 · 순비 허씨 복국장공주 · 조국장공주 · 경화공주 · 명덕태후 홍씨 · 수비 권씨
강양공 왕자 · 소군 왕서 · 정녕원비 · 명순원비 세자 왕감 · 덕흥군 용산원자
충혜왕 공민왕 공양왕
덕녕공주 · 희비 윤씨 · 화비 홍씨 · 은천옹주 임씨 휘의노국대장공주 · 혜비 이씨 · 익비 한씨 · 정비 안씨 · 신비 염씨 순비 노씨
석기 · 장녕공주 - 세자 왕석 · 숙녕궁주 · 정신궁주 · 경화궁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92권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 유금필 · 최응 · 최언위 (최광윤 최행귀 최광원) · 왕유 왕자지 · 박술희 · 최지몽 · 왕식렴 · 박수경 · 왕순식 이총언 견금 윤선 흥달 선필 태평 · 공직 · 박영규
93권
서필 · 최승로 최제안 · 쌍기 · 최량 · 한언공 · 류방헌 · 김심언 · 최항 · 채충순
94권
서희 서눌 서공 · 유진 · 강감찬 · 최사위 · 황보유의 장연우 · 양규 (양대춘) · 지채문 지녹연 · 하공진 · 김은부 · 주저 · 강민첨 · 곽원 · 왕가도 · 김맹 · 류소 · 윤징고 · 위수여 · 전공지 · 이주헌 · 이주좌 · 안소광 · 조지린
95권
최충 최유선 최사제 최약 최윤의 · 이자연 이자량 이자인 이혁유 이자현 이자덕 이예 이공수 이지저 이오 이광진 · 박인량 박경인 박경백 박경산 · 황주량 · 류신 · 왕총지 · 위계정 · 소태보 왕국모 고의화 · 문정 · 정문 · 김원정 · 손관 · 최사량 · 김선석 · 임의 임원후 임극충 임극정 임부 임유 임익 임항 · 김한충
96권
최사추 · 김인존 · 윤관 윤언순 (윤언식 윤언민 윤언이) 윤인첨 윤세유 윤상계 · 오연총
97권
김부일 김부의 · 고령신 · 김황원 이궤 · 곽상 곽여 · 유재 호종단 신안지 · 김경용 (김인규) · 최홍사 · 한안인 · 이영 · 한충 · 임개 유녹숭 · 김준 · 류인저 · 강증 · 허경 · 문관 · 정항 정서 · 김극검 · 김약온
98권
김부식 김돈중 김군수 · 정습명 · 고조기 · 김정순 · 정극영 · 박정유 · 최사전 · 김향 · 최자성 · 김진 · 임완 · 최기우 · 김수자 · 최유 · 이숙 이위 · 허재
99권
양원준 · 최유청 최당 최린 최선 최종준 최온 최문본 최평 최옹 · 이공승 · 신숙 · 한문준 · 문극겸 · 류공권 류택 · 조영인 · 왕세경 · 이순우 · 임민비 · 최척경 · 함유일 · 염신약 · 이지명 · 유응규 유자량 · 현덕수 · 최균 최보순 최윤개 · 김거공 · 한유한
100권
두경승 · 우학유 · 노영순 · 조위총 · 방서란 · 박제검 · 기탁성 · 홍중방 · 경대승 · 진준 · 최세보 · 박순필 · 이영진 · 백임지 · 이준창 · 최충렬 · 정세유 정숙첨 정안 · 정국검 이유성 · 정방우 · 정언진
101권
민영모 민식 · 송저 · 김광중 김체 · 안유발 · 최여해 · 최우청 · 왕규 · 차약송 기홍수 · 정극온 · 류광식 · 권경중 · 김태서 김약선 김미 · 문한경 권세후 백돈명 · 노인수 · 김의원
102권
금의 · 이규보 이익배 · 유승단 · 김인경 김승무 · 이공로 · 이인로 오세재 조통 임춘 · 조문발 · 이순목 이수 · 김창 · 송국첨 · 최자 하천단 · 채송년 채정蔡楨 · 손변 · 권수평 · 이순효 장순량 · 송언기 · 김수강 · 김지대 · 이장용
<rowcolor=#670000,#fedc89> 103권 104권
조충 조변 · 김취려 김문연 김변 · 이적 · 채정蔡靖 · 박서 송문주 · 김경손 김혼 · 최춘명 · 김희제 · 이자성 · 김윤후 · 김응덕 김방경 김구용 김제안 김흔 김순 김영돈 김영후 김사형 박구 · 한희유 · 나유 나익희 · 원충갑 · 김주정 김심 김종연 김석견
105권
류경 류승 류돈 류만수 · 허공 허종 허관 허금 허부 허유 · 홍자번 홍승서 홍영통 · 정가신 · 안향 안우기 안목 · 설공검 · 유천우 · 조인규 조서 조연 조덕유 조린 조연수 조위
106권
백문절 백이정 · 박항 · 곽예 · 주열 · 이주 이행검 · 장일 · 김구 · 이승휴 이연종 · 김훤 김개물 · 정해 정오 정포 정공권 · 조간 · 심양 · 추적 이인정 채우 · 김유성 곽린 · 윤해 윤택 · 이영 · 엄수안 · 안전 · 최수황 · 박유 · 홍규 홍융
<rowcolor=#670000,#fedc89> 107권 108권
한강 한악 한수 한방신 · 원부 원충 원호 원선지 원송수 · 김련 · 김부윤 · 정인경 · 권단 권부 권준 권렴 권용 권적 (권고) 권화 권근 · 민지 민상정 민종유 민적 민사평 민변 민제 · 김지숙 김인연 · 정선 · 이혼 · 최성지 최문도 · 채홍철 · 김이 · 이인기 · 홍빈 · 조익청 · 배정지 · 손수경
109권
박전지 · 오형 · 이진 · 윤신걸 박효수 · 허유전 · 박충좌 · 윤선좌 · 이조년 이승경 · 이곡 · 우탁 · 안축 안종원 안보 · 최해 · 장항 · 이성 · 조렴 왕백 · 이백겸 · 신군평
<rowcolor=#670000,#fedc89> 110권 111권
최유엄 · 김태현 김광재 · 김륜 김경직 김희조 김승구 · 왕후 왕중귀 · 한종유 · 이제현 이달존 이보림 · 이능간 염제신 · 이암 이강 · 홍언박 홍사우 류연 · 류탁 · 경복흥 · 김속명 · 이자송 · 조돈 조인옥 · 최재 · 송천봉 · 홍중선 · 김도 · 임박 · 문익점
112권
이공수 · 류숙 류실 · 이인복 · 백문보 · 전녹생 · 이존오 · 이달충 · 설손 설장수 · 한복 · 이무방 · 정습인 · 하윤원 · 박상충 · 박의중 · 조운흘
113권
안우 김득배 이방실 · 정세운 · 안우경 · 최영 · 정지 · 윤가관 · 김장수
114권
윤환 · 이성서 · 이수산 이념 · 이승로 · 황상 · 지용수 · 나세 · 김선치 · 전이도 · 구영검 · 오인택 · 김보 · 변광수 · 정지상 · 임군보 · 나흥유 · 목인길 · 김유 · 양백연 · 지용기 · 하을지 · 우인열 · 문달한 · 김주 · 최운해
{{{#!wiki style="margin: -16px -11px"<rowcolor=#670000,#fedc89> 115권 116권 117권
이색 · 우현보 · 이숭인 심덕부 · 이림 · 왕강 · 박위 · 이두란 · 남은 정몽주 · 김진양 · 강회백 · 이첨 · 성석린
<rowcolor=#670000,#fedc89> 118권 119권 120권
조준 정도전 윤소종 윤회종 · 오사충 · 김자수 }}}
121권
<rowcolor=#670000,#fedc89> 「양리(良吏)」 「충의(忠義)」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rowcolor=#670000,#fedc89> 「효우(孝友)」 「열녀(烈女)」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유씨 · (현문혁의 처) · (홍의의 처) · (안천검의 처) · (강화부 세 여인) · 최씨 · 배씨 · 문씨 · 김씨 · 안씨 · 이씨 · (권금의 처)
122권
{{{#!wiki style="margin: -16px -11px"<rowcolor=#670000,#fedc89> 「방기(方技)」 「환자(宦者)」 「혹리(酷吏)」
김위제 · 이녕 (이광필) · 이상로 · 오윤부 · 설경성 정함 · 백선연 · 최세연 · 이숙 · 임백안독고사 · 방신우 · 이대순 · 우산절 · 고용보 · 김현 · 안도치 · 신소봉 · 이득분 · 김사행 송길유 · 심우경 }}}
123권 「폐행1(嬖幸一)」
유행간 · 영의 · 김존중 · 정세신 · 백승현 · 강윤소 · 염승익 · 이분희 이습 · 권의 채모 이덕손 · 임정기 (민훤) · 주인원 · 이지저 고종수 김유 · 인후 인승단 · 장순룡 차신 노영 · 조윤통
124권 「폐행2(嬖幸二)」
윤수 윤길보 (송화) · 이정 김문비 이병 · 원경 · 박의 · 박경량 · 전영보 · 강윤충 · 배전 · 민환 · 윤석 · 손기 · 정방길 임중연 강융 · 신청 박청 · 왕삼석 양재 조신경 최노성 윤현 안규 · 최안도 이의풍 김지경 이인길 · 노영서 박양연 송명리 · 김흥경 · 반복해 · 신원필
125권 「간신1(姦臣一)」
문공인 · 박승중 · 최홍재 · 최유칭 · 박훤 · 송분 · 왕유소 · 송방영 · 오잠 석주 · 김원상 · 류청신 · 권한공 · 채하중 · 신예 전숙몽 · 이춘부 · 김원명 · 김횡 · 지윤
126권 「간신2(姦臣二)」
이인임 · 임견미 · 염흥방 · 조민수 · 변안열 · 왕안덕
{{{#!wiki style="margin: -16px -11px"<rowcolor=#670000,#fedc89> 127권 「반역1(叛逆一)」 128권 「반역2(叛逆二)」 129권 「반역3(叛逆三)」
환선길 · 이흔암 · 왕규 · 김치양 · 강조 · 이자의 · 이자겸 · 척준경 · 묘청 (정지상) 정중부 이광정 송유인 · 이의방 · 이의민 · 정방의 · 조원정 석린 최충헌 최이 최항 최의 }}}
<rowcolor=#670000,#fedc89> 130권 「반역4(叛逆四)」 131권 「반역5(叛逆五)」
한순 다지 · 홍복원 (홍차구 홍군상 홍선 장위 류종) · 이현 · 조숙창 · 조휘 · 김준 · 임연 · 조이 김유 이추 · 한홍보 · 우정 · 최탄 · 배중손 조적 · 조일신 · 김용 · 기철 · 노책 · 권겸 · 최유 · 홍륜 · 김문현 · 김의
132권 「반역6(叛逆六)」
신돈
133·134·135·136·137권
신우(우왕) (신창(창왕))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 여요전쟁 공신
강민첨
姜民瞻
출생 963년 12월 22일[1]
(음력 11월 29일)
경상남도 진주 옥봉동 개경향(開慶鄕)
사망 1021년 12월 24일[2] (향년 58세)
(음력 11월 12일)
작위 천수현 개국남(天水縣開國男)
시호 은열(殷烈)
본관 진주 강씨[3]
1. 개요2. 생애
2.1. 초기2.2. 제2차 여요전쟁 시기2.3. 제3차 여요전쟁 시기2.4. 죽음2.5. 초상화
3. 경력4.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고려 현종 때 일어난 여요전쟁 시기에 활약한 관리.[4]

2. 생애

2.1. 초기

  • 963년, 강주(康州) 개경향(開慶鄕)에서 아버지 강보능(姜甫能)[5]과 어머니 거창 신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5세(978년)까지는 향교를 다녔다.
  • 장사랑, 문림랑, 도교령 동정을 거쳐, 동북면의 안변도호부[7] 장서기(掌書記)로 일했다.

2.2. 제2차 여요전쟁 시기

  • 1010년 (서경 전투)
    • 11월 25~30일, 제2차 여요전쟁 시기, 동북면의 애수진장(隘守鎭將)이었다.[8][9] 통주 전투에서 고려군이 대패하자 동북계의 군대가 서경으로 전환 배치될 때 같이 서경으로 이동했다. 서경부유수 원종석항복하려는 매국노 짓을 했으나, 조자기가 문을 열었고, 동북면 군사들이 성으로 들어가 항복하려는 것을 저지하며 서경성을 걸어 잠궜다.
    • 12월 1일, 항복한 서경을 접수하러 온 거란 선봉대를 동북면 군사들이 패퇴시키자, 요 성종은 거짓항복에 분노하여 전군을 이끌고 남하한다.
    • 12월 8~9일, 동북면 군사는 서경성의 포위를 막고자 나아가 싸웠으나, 중랑장 지채문과 돌격대가 거란군의 유인책에 당하자, 성에 들어와 성문을 잠그고 수성전에 돌입한다.
    • 12월 13일, 거란군의 공성전에 성이 위태롭자, 동북면 도순검사 탁사정대도수를 속여 희생양 삼고 도주했다. 이에 서경성은 지휘부와 주력군이 증발하는 황당한 사태에 직면했다.
    • 12월 15일, 강민첨을 비롯해 통군녹사 조원(趙元), 낭장 홍협(洪叶)·방휴(方休) 등이 조원을 병마사로 추대하고, "태조의 사당에 점을 쳐보니 길한 점괘를 얻었다"며 병사와 백성들을 독려하고, 서경성을 끝까지 지켜냈다.
    • 12월 17일, 요 성종이 서경성의 포위를 풀고 떠났다.
  • 1011년
    • 3월 이후, 도관시(都官試)의 원외랑(員外郎, 정6품)으로 제수되었다.[10][11]
    • 8월 이후, 안찰사(按察使, 정5품)로 제수되었다.[12][13]

2.3. 제3차 여요전쟁 시기

  • 1016년
    • 1월, 내사사인(內史舍人, 종4품)에 제수되었다.[16]
    • 이 해부터 고려 현종이 아버지 안종을 기리기 위해 강민첨에게 홍경사 건설의 총감독을 맡겼으나, 제3차 여요전쟁이 끝난 뒤에야 본격 건설해 1021년 생전에 완공했다. 이후 1026년에 세워진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를 통해 이를 기록했다.
  • 1018년
    • 10월 19일, 제3차 여요전쟁에서 고려 서북면 행영 군단의 대장군(大將軍)/원수(元帥)에 임명되었다.
    • 12월 10일, 삼교천 전투에서 수공을 가한 뒤 매복 기병 12,000를 돌격시켜 크게 거란군을 격파했다.
    • 12월 중순, 곧장 남하하는 거란군을 추격해 자주(慈州, 평성시, 구 순천시 자산면)의 내구산(來口山, 현 봉린산 안국사 자락)에서 요격해 크게 패퇴시켰다.
  • 1019년
    • 1월 23일, 청천강 남쪽의 연주(漣州, 평안남도 개천군), 북쪽의 위주(渭州, 평안남도 영변군)에서 돌아가려는 거란군을 요격해 5백급을 베었다.
    • 2월 1일, 귀주 대첩에서 북을 치며 힘써 돌격했으며, 거란군이 패퇴해 도주하자 반령(盤嶺) 들판에서 크게 패배시켰으며, 창과 갑옷을 버리고 도주하는 거란군을 추격해 1만을 포로로 잡거나 참수했다. #
    • 3월 7일, 고려 현종이 응양상장군(鷹揚上將軍)[18] 주국(柱國)[19]으로 임명했다. #
    • 은렬사의 묘비에 따르면 이 때 은청흥록대부(銀靑興祿大夫)에 봉해졌으며[20], 천수현 개국남(天水縣 開國男)에 녹훈되어 식읍 300호를 받았다고 한다.[21] #
    • 12월 16일, 고려 현종이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정3품)[22]로 임명했다. #
    • 12월 미상, 고려 현종이 추성치리익대공신(推誠致理翊戴功臣, 훈직)에 봉했다. #
  • 1020년
    • 3월 10일,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종2품) 겸 병부상서(兵部尙書, 정3품)로 임명되었다.
    • 4월 19일, 고려 현종이 왕자 왕흠을 책봉하는 자리에 최사위와 강민첨을 옆에 두었다. #
    • 12월 17일, 금자흥록대부(金紫興祿大夫, 종2품)에 봉해졌다.

2.4. 죽음

  • 1021년 11월 12일, 강민첨이 세상을 떠났다.
    • 고려 현종이 3일간 조회를 하지 않으며 추모했다.
    • 고려 현종이 강민첨을 태자태부(太子太傅, 종1품)[23], 문하시랑 평장사 수상(門下侍郎 平章事 首相,정2품)[24]에 추증했다.
    • 고려 현종이 강민첨에게 은열공(殷烈公)이라는 시호를 내려, 진주 강씨 은열공파의 시조가 되었다.[25]
    • 고려 현종이 고인의 아들 강단(姜旦)에게도 녹자(祿資)를 하사했다.
    • 오늘날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이티숲실길 42-18(구 감천동)에 묘소가 지어졌다.
  • 이후
    • 1025년 6월, 고려 현종이 강민첨의 아들을 관직에 임명했다. #
    • 그의 고향 경상남도 진주시의 옥봉산 아래 개경향(開慶鄕) 생가 터에 '은열사(殷烈祠)'가 세워졌다.
    • 그가 오랫동안 글공부하던 경상남도 하동군의 우방산 아래 '두방영당(斗芳影堂)'이 세워졌다.

2.5. 초상화

파일:강민첩 초상화.jpg
파일:강민첨초상v박춘빈.jpg
진주 은열사 초상화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

강민첨 초상화는 보존을 위해 수 차례 옮겨 그려지거나 복사되었다. 그 중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은 보물 제588호에 지정되었다.
  • 1046년 11월, 고려 문종이 제서를 내려 "공신각(功臣閣)에 초상을 걸어 후세에 권장하게 하라" 명했다. 공신도형(功臣圖形)에 올려 삼한벽상공신으로 추증했다. 청주 충현사에 공신각(功臣閣)으로서 인헌공(강감찬)과 함께 배향했다. #
  • 1352년, 강민첨의 9세손 충정공(忠貞公) 사공(司空)이 두방영당을 우방사(牛芳祠)로 중수했다. #
  • 1400~1418년 중, 조선 태종이 우방사(牛芳祠) 일대에 땅을 내렸다. #
  • 1777년, 하동군에 '두방재(斗芳齋)'가 별도로 세워져 우방사(牛芳祠)로부터 초상을 물려받았다. #
  • 1788년, 화가 박춘빈이 우방사 버전에서 상반신만 옮겨 그렸다. 이 버전이 1975년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된다. #
  • 1790년, 진주 은열사의 초상화가 그려졌다.[26] #
  • 18세기 미상, 진주 은열사의 '젊은 시절' 초상화가 그려졌다.[27] #
  • 1920년, 경북 김천시에서 강민첨의 후손들이 숙청각(肅淸閣)을 새로 짓고 초상을 모셨다. #
  • 1954년, 경남 진주시에서 강민첨의 후손들이 산앙사(山仰祠)를 새로 짓고 초상을 모셨다. #

3. 경력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생전 직위
공신호 추성치리익대공신(推誠致理翊戴功臣)현종이 봉한 공신호.
문산계 품계 금자흥록대부(金紫興祿大夫)종2품 품계.
훈위 주국(柱國)2등급 훈위.
상주국(上柱國)1등급 훈위.
무관직 대장군(大將軍)두 번째로 높은 무관직
상장군(上將軍)무관 최고위직
문관직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내사문하성 소속 직위. 기관 내 서열 6위. 대간 서열 1위.
병부상서(兵部尙書)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병부상서병부장관으로 상서성 소속의 직위였다.
지중추원사는 중추원차관급 소속 직위였다.
사후 추증
태자삼사 태자태부(太子太傅)정1품 품계.태자의 스승. 당시 태자는 제9대 덕종.
시호 은열공(殷烈公)고려사》나 당대 기록에는 없다. 진주 강씨 문중 기록.

4. 대중매체



[1] 율리우스력 12월 17일.[2] 율리우스력 12월 18일.[3] 강민첨과 강감찬은 같은 강(姜)씨지만, 강감찬의 본관은 금주(衿州)로 다르다. 강감찬의 집안은 "금천 강씨"로, 그의 5세조 강여청(餘淸)을 시조로 본다.[4] 고려시대 관리는 일반적으로 문관 또는 무관 하나만 했으나, 강민첨은 문관과 무관을 두루 경험했다. 다만 고려사절요에 의하면 "과거시험을 통해 장원급제한 후 서생으로 출세하였기 때문에 활쏘기나 말타기를 잘 하지는 못 했다"고 전한다. 유사하게 문관/무관을 두루 지낸 인물들로 동 시기 강감찬이자림이 있다.[5] 원윤(元尹) 벼슬을 했다. 고려의 총 16관계 중 10위인 정6품 중 상계, 무관 계급으로 치면 낭장급이며, 현대 계급으로 중령 정도다.[6] 이순신이 32세에 급제한 것도 늦다고 하는데, 강민첨은 42세에 급제한 것이다.[7] 지금의 강원도 안변군[8] 애수진은 지금의 함경남도 고원군으로 추정된다.[9] 강감찬 역시 문관이었다. 그러나 강감찬은 정식 무관직을 제수받은 적은 없다.[10] 정6품, 출생 당시 아버지의 원윤과 같은 품계. 도관시는 형부에서 노비의 부적(簿籍)과 결송(決訟)을 담당하던 기관으로, 정5품의 낭중 2인과 정6품의 원외랑 2인을 두었다. 제2차 여요전쟁이 끝난 직후 인구집계가 한참 혼란스러워 이를 맡았을 것으로 추측된다.[11] 드라마 고려 거란 전쟁은 이 업무는 빨리 끝났고, 예부의 낭중(정5품)으로 바로 진급되었다고 그렸다.[12] 1009년, 강조가 진명현(鎭溟縣, 원산시)에 날카로운 못이 돋아난 철갑선인 과선(戈船)을 75척이나 만들어 대비했음에도, 1011년 8월, 동여진 해적 100척에 동경(경주)까지 침략당했다. 이에 고려 현종은 대대적인 인사조치를 했다.[13] 안찰사는 정5~6품으로, 고려 현종이 기존 절도사 제도를 폐지하며 새로 도입한 5도 양계의 직책이다. 각 도의 주현을 순찰하면서 호족들을 감찰하여 상벌을 내리고, 민생의 어려움과 형옥을 살피며, 조세를 거둬들이고, 군사적 업무 등을 담당했다. 이어지는 동여진 해적과의 전투를 위해 각 호족들로부터 징발을 했을 것이 추측된다.[14] 이 격퇴 직후에 감찰어사 이인택이 동북면행영병마사 강감찬을 조정에 고소했다. 즉 강감찬도 동북면에 파견되었으나, 무언가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15] 강민첨은 동계에 파견된 안찰사로써 8월까지 경주(동경), 12월까지 장주(長州, 함경남도 정평)와 금양(金壤, 강원도 통천)에 성을 쌓는 일과, 1012년 3월 ~ 1014년 8월까지 경주에 일어난 대지진의 재건 작업 등도 지휘했을 것이 추정된다.[16] 중서문하성을 이끌게 한 것으로, 현대의 총리실, 대통령비서실의 수석비서관이 된 것이다. 같은 해 강감찬은 이부시랑이 되어 토지 일부를 군인들에게 떼어주었다. 즉 둘은 직전의 1014년 11월 ~ 1015년 3월 김훈·최질의 난에 문제가 된 문-무관의 예우와 호봉의 정리에 집중했을 것이다.[17] 왕명 출납 및 의복, 수레와 말 등을 담당하는 직책. 이듬해 제3차 여요전쟁에서 맹활약한 검차중갑기병대를 꾸리기 시작한 것으로 추측된다.[18] 정3품으로 무관 최고위직. 3차 여요전쟁 때 강감찬의 직위.[19] 2등급 훈위, 정3품 훈직. 이후 1등급 훈위인 상주국(上柱國)으로 한 차례 올라갔다.[20] 남작의 작위를 받은 것.[21] 남작으로서 받은 읍호천수현인 것.[22] 고려 목종 때 생긴 중서문하성(후일 도첨의사사, 문하부)의 관직. 기관 내 서열 6위. 대간 서열 1위.[23] 종1품 품계.태자의 스승. 당시 태자는 제9대 덕종[24] 고려는 수상(首相)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임명된 사람이 없을 경우 서열상으로는 낮지만 종1품 품계가 같은 중서령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문하시중의 바로 밑인 정2품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가 수상(首相)이 되었다.[25]고려사》나 당대 기록에는 없다. 진주 강씨 문중 기록.[26] 2008년 초상화를 보수하다 기록을 발견했다.[27] 2005년 10월 영정을 모시는 감실의 뒤편에서 말려진 족자 형태로 발견되었다.[28] <무인시대>에서 몽골 장수 카치운 역으로 나왔고, <불멸의 이순신>에서는 서한수 역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