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13:27:10

류탁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삼국지의 인물에 대한 내용은 유도(삼국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문하시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colcolor=#373a3c,#ddd> 광평시중
김행도 | 박질영 | 류덕영 | 공훤 | 왕철 | 권직
문벌귀족기
(981~1170)
문하시중
최승로 | 박양유 | 한언공 | 김승조 | 최숙 | 류윤부 | 위수여 | 유진 | 최사위 | 유방 | 강감찬 | 서눌 | 황주량 | 최제안 | 최충 | 이자연 | 김원충 | 왕총지 | 김원정 | 박성걸 | 최유선 | 이정 | 문정 | 이정공 | 소태보 | 최사추 | 위계정 | 윤관 | 김경용 | 이위 | 김인존 | 이공수 | 김부식 | 김약온 | 임원후 | 왕충
무신정권
(1170~1270)
정중부 | 두경승 | 이의민 | 조영인 | 최충헌 | 이항 | 이연수 | 김취려 | 최종준 | 최항 | 김준 | 이장용
원 간섭기
(1270~1356)
김방경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김방경 | 류경 | 송송례 | 원부 | 허공 | 김방경 | 홍자번 | 조인규 | 홍군상 | 홍자번 | 홍규 | 홍자번 | 조인규 | 정가신 | 조인규 | 김혼 | 송분 | 홍자번 | 설공검 | 염승익 | 송분 | 한희유 | 한강 | 한희유 | 송분 | 홍자번 | 한희유 | 채인규 | 한희유 | 안향 | 한희유 | 한희유 | 김혼 | 정인경 | 최유엄 | 김지숙 | 최유엄 | 최유엄 | 이혼 | 류청신 | 홍규 | 류청신 | 권부 | 김이용 | 김이용 | 민지 | 배정 | 김태현 | 윤보 | 최유엄 | 김심 | 민지 | 김이 | 김이 | 윤석 | 정방길 | 윤석 | 김심 | 한악 | 윤석 | 강융 | 권한공 | 조적 | 한악 | 윤석 | 채하중 | 이능간 | 기철 | 채하중 | 한종유 | 왕후 | 김륜 | 김영후 | 김영후 | 인승단 | 노책 | 김영돈 | 왕후 | 노책 | 노책 | 손수경 | 손수경 | 이암 | 이제현 | 손기 | 송서 | 조일신 | 정천기 | 송서 | 조일신 | 이제현 | 조익청 | 홍빈 | 조익청 | 인승단 | 채하중 | 염제신 | 염제신 | 류탁 | 채하중 | 채하중 | 이능간 | 이제현 | 홍언박 | 홍언박 | 윤환
여말선초
(1356~1392)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홍언박 | 윤환 | 이제현 | 염제신 | 염제신 | 이암 | 홍언박 | 류탁 | 염제신 | 류탁 | 류탁 | 김일봉 | 김일봉 | 경복흥 | 경복흥 | 류탁 | 경복흥 | 김보 | 이춘부 | 이인임 | 이춘부 | 이인임 | 윤환 | 경복흥 | 염제신 | 경복흥 | 이인임 | 윤환 | 이인임 | 홍영통 | 이자송 | 조민수 | 임견미 | 최영 | 이성림 | 임견미 | 이성림 | 이인임 | 이성림 | 반익순 | 반익순 | 이성림 | 최영 | 이성계 | 최영 | 우현보 | 조민수 | 이성계 | 이색 | 이성계 | 이림 | 심덕부 | 이성계 | 정몽주 | 이성계 | 이성계 | 심덕부 | 배극렴 | 이성계
고려 국왕 · 무신정권 집권자
고구려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좌우보 · 상좌평)
신라 (대보 · 시중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임시정부 부수반 · 대한민국 국무총리
}}}
}}}}}}}}}

류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판삼사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colcolor=#000> -
문벌귀족기
(981~1170)
왕가도 이유충 김약진 최유길 류석 임간 오수증 이오 왕하 오연총 이자겸 최계방 강증 이궤 박경인 왕자지 최홍재 김부식 임경청 이중 한유충 왕충 최관 최유청 문공원 최함 김거공 최유칭 김영윤 서공
무신정권
(1170~1270)
임유겸 정극온 김취려 이적유
원 간섭기
(1270~1356)
공유 정가신 박지량 한희유 김흔 김지숙 홍규 최유엄 정인경 설영임 정해 김심 김태현 김혼 이호 김순 김태현 강융 박허중 이제현 권겸 박충좌 이제현 손수경 손홍량 김나해 이몽가 조일신 이권 홍언박 류탁 조유 강천유 강윤충 강인백
여말선초
(1356~1392)
원호 이수산 이인복 전보문 이수산 최영 이색 이색 이색 심덕부 설장수 조준
}}}}}}}}}}}} ||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평장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colcolor=#373a3c,#ddd> [내의성] 평장사
조맹 최언위
문벌귀족기
(981~1170)
[내사문하성] 평장사
최승로 서희 최량 왕융 한인경 유방헌 위수여 진적 유진 최사위 최사위 김심언 진적 이예균 왕동영 최항 최항 강감찬 강감찬 유방 장영 최항 채충순 유방 이공 이공 서눌 서눌 류소 이단 이단 이단 황보유의 이단 류소 황보유의 박충숙 유징필 황주량 황주량 최충 최제안 황보영 이작충 최충 황보영 김영기 김원충 김원충 이자연 이자연 왕총지 김정준 박성걸 김정준 김원정
[중서문하성] 평장사
김원정 최유선 임종일 김의진 왕무숭 이정 문정 김약진 이정공 최석 이정공 김양감 최석 김양감 류홍 왕석 김행겸 류홍 최사제 정유산 이안 소태보 소태보 이자위 김상기 류석 김상기 임개 최사추 김선석 황영 최사추 위계정 김선석 임간 임간 이오 이오 위계정 오수증 최홍사 최홍사 이오 윤관 김경용 임의 임의 김경용 오연총 허경 오연총 이위 임간 허경 이자겸 김연 이자겸 김연 조중장 강증 김연 오수증 조중장 김준 임유문 김준 한안인 이자량 김고 임유문 최홍재 김약온 김약온 척준경 척준경 이수 이수 박승중 척준경 김부일 김향 최홍재 최사전 김향 문공인 최자성 최자성 김부식 이준양 임원애 최유 임원준 이자덕 최유 이중 이중 최진 최진 한유충 왕충 임원숙 이인실 이인실 고조기 김영관 최유청 문공원 유필 최관 유필 김영석 최자영 최윤의 이지무 양원준 최함 최유청 박순충 김영부 이지무 최유칭 김영윤 허홍재 허홍재
무신정권
(1170~1270)
임극충 서공 임규 양숙 정중부 윤인첨 윤인첨 한취 이광진 기탁성 민영모 송유인 최충렬 이공승 문극겸 한문준 최세보 이의민 박순필 이혁유 임민비 이광정 조영인 기홍수 임유 최당 최당 우술유 기홍수 이문충 최선 임유 기홍수 김준 차약송 최충헌 최충헌 김봉모 노효돈 이극서 조충 류광식 이연수 김의원 최보돈 최보순 왕규 김취려 최홍윤 금의 이규보 이자성 채송년 최린 기윤숙 김창 최자 김태서 류소 최자 김기손 송순 김기손 김기손 이세재 김기손 이세재 이장용 김순 최온 김지대 류경
원 간섭기
(1270~1356)
류경 김전 채정 김방경 김방경 원부 장길 유천우 황보기
(도)첨의찬성사·도첨의중호
유천우 류경 원부 박항 송송례 홍자번 홍자번 한강 한강 조인규 인후 강수형 박구 신사전 홍문계 김련 정가신 강수사 송분 인후 정가신 인후 김혼 차신 송분 한희유 정인경 최유엄 한희유 김지숙 최유엄 임익 이덕손 최수황 류비 김혼 차신 채모 김부윤 김혼 안향 최유엄 류비 오윤부 이지저 민훤 정해 왕유소 설영임 조윤통 류비 이혼 김흔 최충소 이혼 김심 김문연 인후 김심 류청신 이진 류청신 배정 박의 권부 이호 권단 홍선 설영임 설경성 민종유 정지연 최비일 오형 권한공 최성지 김사원 이설 김이용 김이 조연수 오잠 오잠 박허중 오잠 박허중 조련 허유전 박전지 윤보 이호 민종유 송영 권준 김이 한악 임중연 전영보 원충 정방길 강융 임중연 전영보 임자송 원충 전언 채홍철 임중연 조적 채하중 민상정 조위 안문개 홍빈 김인연 정천기 오계유 강윤성 윤환 김륜 권겸 박충좌 유방세 김영후 강윤성 전사의 손수경 안축 윤계종 이군해 류돈 이군해 윤신계 손홍량 윤안숙 염제신 허백 윤신계 이곡 류탁 김인호 조일신 조익청 전윤장 윤시우 김자 류탁 정을보 조유 홍언박 김승택 홍언박 류탁 이공수 강윤충 원호 기륜 강순룡 박새안불화 홍언박 윤환 김경직 김인호 김보 최천택 박수년 허백 황석기 강윤충 권적
여말선초
(1356~1392)
[중서문하성] 평장사·평장정사
류탁 허백 황석기 김용 황석기 김용 전보문 김일봉 김승택 이승경 정자후 이겸 안우 이공수 김용 경천흥 류탁 정세운 정세운 이방실
도첨의찬성사
유인우 김용 이공수 경천흥 황상 이성서 송경 안우경 최영 이인복 이구수 이인복 송경 안우경 최영 이구수 김보 이춘부 이인임 권적 이성서 윤택 안우상 우제
문하찬성사
한방신 황상 안우경 최영 강인유 안사기 목인길 지용기 정몽주 지용기 정몽주 배극렴 설장수 조준 권중화 조준 류만수 권중화 윤호 성석린
}}}}}}}}}}}}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사(高麗史)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세가(世家)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670000,#fedc89>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성종 · 목종 현종 · 덕종
<rowcolor=#670000,#fedc89>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문종 · 순종 선종 · 헌종
<rowcolor=#670000,#fedc89>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숙종 · 예종 인종 · 의종 · 명종 신종 · 희종 · 강종
<rowcolor=#670000,#fedc89>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고종 원종 충렬왕
<rowcolor=#670000,#fedc89> 33·34·35권 36권 37권
충선왕 ·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 충정왕
<rowcolor=#670000,#fedc89>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열전 45·46권
공민왕 우왕 · 창왕 공양왕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표(表) ]
86·87권 「연표(年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88권 「후비1(后妃一)」
89권 「후비2(后妃二)」
90권 「종실1(宗室一)」
91권 「종실2(宗室二)」·「공주(公主)」
태조
신혜왕후 유씨 · 장화왕후 오씨 · 신명순성왕태후 유씨 · 신정왕태후 황보씨 · 신성왕태후 김씨 · 정덕왕후 유씨 · 헌목대부인 평씨 · 정목부인 왕씨 · 동양원부인 유씨 · 숙목부인 · 천안부원부인 임씨 · 흥복원부인 홍씨 · 후대량원부인 이씨 · 대명주원부인 왕씨 · 광주원부인 왕씨 · 소광주원부인 왕씨 · 동산원부인 박씨 · 예화부인 왕씨 · 대서원부인 김씨 · 소서원부인 김씨 · 서전원부인 · 신주원부인 강씨 · 월화원부인 · 소황주원부인 · 성무부인 박씨 · 의성부원부인 홍씨 · 월경원부인 박씨 · 몽량원부인 박씨 · 해량원부인
태자 왕태 · 문원대왕 왕정 · 증통국사 · 대종 왕욱 · 안종 왕욱 · 왕위군 · 인애군 · 원장태자 · 조이군 · 수명태자 · 효목태자 왕의 · 효은태자 · 원녕태자 · 효성태자 왕림주 · 효지태자 · 태자 왕직 · 광주원군 · 효제태자 · 효명태자 · 법등군 · 자리군 · 의성부원대군 · 안정숙의공주 · 흥방궁주 · 대목왕후 · 문혜왕후 · 선의왕후 · (정덕왕후 소생 공주) · 순안왕대비 · (흥복원부인 소생 공주) · (성무부인 소생 공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혜종 정종 광종
의화왕후 임씨 · 후광주원부인 왕씨 · 청주원부인 김씨 · 궁인 애이주 문공왕후 박씨 · 문성왕후 박씨 · 청주남원부인 김씨 대목왕후 황보씨 · 경화궁부인 임씨
흥화궁군 · 태자 왕제 · 경화궁부인 · 정헌공주 · 명혜부인 경춘원군 · (문성왕후 소생 공주) 효화태자 · 천추전부인 · 보화궁부인 · 문덕왕후
경종 성종 목종
헌숙왕후 김씨 · 헌의왕후 유씨 · 헌애왕태후 황보씨 · 헌정왕후 황보씨 · 대명궁부인 유씨 문덕왕후 유씨 · 문화왕후 김씨 · 연창궁부인 최씨 선정왕후 유씨 · 궁인 김씨
- 원정왕후 · 원화왕후 - }}}
현종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평양공 왕기 · 검교태사 왕충 · 효정공주 · 천수전주 · 인평왕후 · 경숙공주 · 효사왕후 · 효경공주 · 경성왕후 · 아지
덕종 정종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문종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순종 선종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숙종 예종
명의태후 유씨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승덕공주 · 흥경공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인종 의종 명종
폐비 이씨 · 폐비 이씨 · 공예태후 임씨 · 선평왕후 김씨 장경왕후 김씨 · 장선왕후 최씨 광정태후 김씨
대령후 왕경 · 원경국사 충희 · 승경궁주 · 덕녕궁주 · 창락궁주 · 영화궁주 효령태자 왕기 · 경덕궁주 · 안정궁주 · 화순궁주 왕선사 · 왕홍기 · 왕홍추 · 왕홍규 · 왕홍균 · 왕홍각 · 왕홍이 · 연희궁주 · 수안궁주 }}}
신종 희종
선정태후 김씨 성평왕후 임씨
양양공 왕서 · 효회공주 · 경녕궁주 창원공 왕지 · 시령후 왕위 · 경원공 왕조 · 대선사 경지 · 충명국사 각응 · 안혜태후 · 영창공주 · 덕창궁주 · 가순궁주 · 정희궁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강종 고종 원종
사평왕후 이씨 · 원덕태후 유씨 안혜태후 유씨 순경태후 김씨 · 경창궁주 유씨
수령궁주 안경공 왕창 · 수흥궁주 시양후 왕이 · 순안공 왕종 · 경안궁주 · 함녕궁주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제국대장공주 · 정신부주 · 숙창원비 김씨 계국대장공주 · 의비 · 정비 · 순화원비 홍씨 · 조비 · 순비 허씨 복국장공주 · 조국장공주 · 경화공주 · 명덕태후 홍씨 · 수비 권씨
강양공 왕자 · 소군 왕서 · 정녕원비 · 명순원비 세자 왕감 · 덕흥군 용산원자
충혜왕 공민왕 공양왕
덕녕공주 · 희비 윤씨 · 화비 홍씨 · 은천옹주 임씨 휘의노국대장공주 · 혜비 이씨 · 익비 한씨 · 정비 안씨 · 신비 염씨 순비 노씨
석기 · 장녕공주 - 세자 왕석 · 숙녕궁주 · 정신궁주 · 경화궁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92권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 유금필 · 최응 · 최언위 (최광윤 최행귀 최광원) · 왕유 왕자지 · 박술희 · 최지몽 · 왕식렴 · 박수경 · 왕순식 이총언 견금 윤선 흥달 선필 태평 · 공직 · 박영규
93권
서필 · 최승로 최제안 · 쌍기 · 최량 · 한언공 · 류방헌 · 김심언 · 최항 · 채충순
94권
서희 서눌 서공 · 유진 · 강감찬 · 최사위 · 황보유의 장연우 · 양규 (양대춘) · 지채문 지녹연 · 하공진 · 김은부 · 주저 · 강민첨 · 곽원 · 왕가도 · 김맹 · 류소 · 윤징고 · 위수여 · 전공지 · 이주헌 · 이주좌 · 안소광 · 조지린
95권
최충 최유선 최사제 최약 최윤의 · 이자연 이자량 이자인 이혁유 이자현 이자덕 이예 이공수 이지저 이오 이광진 · 박인량 박경인 박경백 박경산 · 황주량 · 류신 · 왕총지 · 위계정 · 소태보 왕국모 고의화 · 문정 · 정문 · 김원정 · 손관 · 최사량 · 김선석 · 임의 임원후 임극충 임극정 임부 임유 임익 임항 · 김한충
96권
최사추 · 김인존 · 윤관 윤언순 (윤언식 윤언민 윤언이) 윤인첨 윤세유 윤상계 · 오연총
97권
김부일 김부의 · 고령신 · 김황원 이궤 · 곽상 곽여 · 유재 호종단 신안지 · 김경용 (김인규) · 최홍사 · 한안인 · 이영 · 한충 · 임개 유녹숭 · 김준 · 류인저 · 강증 · 허경 · 문관 · 정항 정서 · 김극검 · 김약온
98권
김부식 김돈중 김군수 · 정습명 · 고조기 · 김정순 · 정극영 · 박정유 · 최사전 · 김향 · 최자성 · 김진 · 임완 · 최기우 · 김수자 · 최유 · 이숙 이위 · 허재
99권
양원준 · 최유청 최당 최린 최선 최종준 최온 최문본 최평 최옹 · 이공승 · 신숙 · 한문준 · 문극겸 · 류공권 류택 · 조영인 · 왕세경 · 이순우 · 임민비 · 최척경 · 함유일 · 염신약 · 이지명 · 유응규 유자량 · 현덕수 · 최균 최보순 최윤개 · 김거공 · 한유한
100권
두경승 · 우학유 · 노영순 · 조위총 · 방서란 · 박제검 · 기탁성 · 홍중방 · 경대승 · 진준 · 최세보 · 박순필 · 이영진 · 백임지 · 이준창 · 최충렬 · 정세유 정숙첨 정안 · 정국검 이유성 · 정방우 · 정언진
101권
민영모 민식 · 송저 · 김광중 김체 · 안유발 · 최여해 · 최우청 · 왕규 · 차약송 기홍수 · 정극온 · 류광식 · 권경중 · 김태서 김약선 김미 · 문한경 권세후 백돈명 · 노인수 · 김의원
102권
금의 · 이규보 이익배 · 유승단 · 김인경 김승무 · 이공로 · 이인로 오세재 조통 임춘 · 조문발 · 이순목 이수 · 김창 · 송국첨 · 최자 하천단 · 채송년 채정蔡楨 · 손변 · 권수평 · 이순효 장순량 · 송언기 · 김수강 · 김지대 · 이장용
<rowcolor=#670000,#fedc89> 103권 104권
조충 조변 · 김취려 김문연 김변 · 이적 · 채정蔡靖 · 박서 송문주 · 김경손 김혼 · 최춘명 · 김희제 · 이자성 · 김윤후 · 김응덕 김방경 김구용 김제안 김흔 김순 김영돈 김영후 김사형 박구 · 한희유 · 나유 나익희 · 원충갑 · 김주정 김심 김종연 김석견
105권
류경 류승 류돈 류만수 · 허공 허종 허관 허금 허부 허유 · 홍자번 홍승서 홍영통 · 정가신 · 안향 안우기 안목 · 설공검 · 유천우 · 조인규 조서 조연 조덕유 조린 조연수 조위
106권
백문절 백이정 · 박항 · 곽예 · 주열 · 이주 이행검 · 장일 · 김구 · 이승휴 이연종 · 김훤 김개물 · 정해 정오 정포 정공권 · 조간 · 심양 · 추적 이인정 채우 · 김유성 곽린 · 윤해 윤택 · 이영 · 엄수안 · 안전 · 최수황 · 박유 · 홍규 홍융
<rowcolor=#670000,#fedc89> 107권 108권
한강 한악 한수 한방신 · 원부 원충 원호 원선지 원송수 · 김련 · 김부윤 · 정인경 · 권단 권부 권준 권렴 권용 권적 (권고) 권화 권근 · 민지 민상정 민종유 민적 민사평 민변 민제 · 김지숙 김인연 · 정선 · 이혼 · 최성지 최문도 · 채홍철 · 김이 · 이인기 · 홍빈 · 조익청 · 배정지 · 손수경
109권
박전지 · 오형 · 이진 · 윤신걸 박효수 · 허유전 · 박충좌 · 윤선좌 · 이조년 이승경 · 이곡 · 우탁 · 안축 안종원 안보 · 최해 · 장항 · 이성 · 조렴 왕백 · 이백겸 · 신군평
<rowcolor=#670000,#fedc89> 110권 111권
최유엄 · 김태현 김광재 · 김륜 김경직 김희조 김승구 · 왕후 왕중귀 · 한종유 · 이제현 이달존 이보림 · 이능간 염제신 · 이암 이강 · 홍언박 홍사우 류연 · 류탁 · 경복흥 · 김속명 · 이자송 · 조돈 조인옥 · 최재 · 송천봉 · 홍중선 · 김도 · 임박 · 문익점
112권
이공수 · 류숙 류실 · 이인복 · 백문보 · 전녹생 · 이존오 · 이달충 · 설손 설장수 · 한복 · 이무방 · 정습인 · 하윤원 · 박상충 · 박의중 · 조운흘
113권
안우 김득배 이방실 · 정세운 · 안우경 · 최영 · 정지 · 윤가관 · 김장수
114권
윤환 · 이성서 · 이수산 이념 · 이승로 · 황상 · 지용수 · 나세 · 김선치 · 전이도 · 구영검 · 오인택 · 김보 · 변광수 · 정지상 · 임군보 · 나흥유 · 목인길 · 김유 · 양백연 · 지용기 · 하을지 · 우인열 · 문달한 · 김주 · 최운해
{{{#!wiki style="margin: -16px -11px"<rowcolor=#670000,#fedc89> 115권 116권 117권
이색 · 우현보 · 이숭인 심덕부 · 이림 · 왕강 · 박위 · 이두란 · 남은 정몽주 · 김진양 · 강회백 · 이첨 · 성석린
<rowcolor=#670000,#fedc89> 118권 119권 120권
조준 정도전 윤소종 윤회종 · 오사충 · 김자수 }}}
121권
<rowcolor=#670000,#fedc89> 「양리(良吏)」 「충의(忠義)」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rowcolor=#670000,#fedc89> 「효우(孝友)」 「열녀(烈女)」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유씨 · (현문혁의 처) · (홍의의 처) · (안천검의 처) · (강화부 세 여인) · 최씨 · 배씨 · 문씨 · 김씨 · 안씨 · 이씨 · (권금의 처)
122권
{{{#!wiki style="margin: -16px -11px"<rowcolor=#670000,#fedc89> 「방기(方技)」 「환자(宦者)」 「혹리(酷吏)」
김위제 · 이녕 (이광필) · 이상로 · 오윤부 · 설경성 정함 · 백선연 · 최세연 · 이숙 · 임백안독고사 · 방신우 · 이대순 · 우산절 · 고용보 · 김현 · 안도치 · 신소봉 · 이득분 · 김사행 송길유 · 심우경 }}}
123권 「폐행1(嬖幸一)」
유행간 · 영의 · 김존중 · 정세신 · 백승현 · 강윤소 · 염승익 · 이분희 이습 · 권의 채모 이덕손 · 임정기 (민훤) · 주인원 · 이지저 고종수 김유 · 인후 인승단 · 장순룡 차신 노영 · 조윤통
124권 「폐행2(嬖幸二)」
윤수 윤길보 (송화) · 이정 김문비 이병 · 원경 · 박의 · 박경량 · 전영보 · 강윤충 · 배전 · 민환 · 윤석 · 손기 · 정방길 임중연 강융 · 신청 박청 · 왕삼석 양재 조신경 최노성 윤현 안규 · 최안도 이의풍 김지경 이인길 · 노영서 박양연 송명리 · 김흥경 · 반복해 · 신원필
125권 「간신1(姦臣一)」
문공인 · 박승중 · 최홍재 · 최유칭 · 박훤 · 송분 · 왕유소 · 송방영 · 오잠 석주 · 김원상 · 류청신 · 권한공 · 채하중 · 신예 전숙몽 · 이춘부 · 김원명 · 김횡 · 지윤
126권 「간신2(姦臣二)」
이인임 · 임견미 · 염흥방 · 조민수 · 변안열 · 왕안덕
{{{#!wiki style="margin: -16px -11px"<rowcolor=#670000,#fedc89> 127권 「반역1(叛逆一)」 128권 「반역2(叛逆二)」 129권 「반역3(叛逆三)」
환선길 · 이흔암 · 왕규 · 김치양 · 강조 · 이자의 · 이자겸 · 척준경 · 묘청 (정지상) 정중부 이광정 송유인 · 이의방 · 이의민 · 정방의 · 조원정 석린 최충헌 최이 최항 최의 }}}
<rowcolor=#670000,#fedc89> 130권 「반역4(叛逆四)」 131권 「반역5(叛逆五)」
한순 다지 · 홍복원 (홍차구 홍군상 홍선 장위 류종) · 이현 · 조숙창 · 조휘 · 김준 · 임연 · 조이 김유 이추 · 한홍보 · 우정 · 최탄 · 배중손 조적 · 조일신 · 김용 · 기철 · 노책 · 권겸 · 최유 · 홍륜 · 김문현 · 김의
132권 「반역6(叛逆六)」
신돈
133·134·135·136·137권
신우(우왕) (신창(창왕)) }}}}}}}}}}}}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등장 작품)4. 류탁의 신도비명

1. 개요

柳濯
(1311 ~ 1371)

고려의 관료. 자는 춘경(春卿). 류청신의 손자.

2. 생애

용기와 지략이 있고 무예를 잘했으며, 문음으로 원나라에 들어갔다가 고려로 돌아와 감문위대호군이 되었다. 세 차례 승진해 고흥군에 봉해졌다가 원나라에서 합포만호에 임명했으며, 충정왕 때 도청의참리가 되어 추성양절익조공신의 칭호를 받았고, 찬성사로 승진했다.

공민왕 때 전라도만호로 나가 군사를 정숙하게 거느렸고 공민왕이 옷과 술을 하사해 위로했다. 왜구가 만덕사를 약탈하자 류탁이 기병으로 추격해 포로들을 돌려보냈으며, 류탁이 진에 있을 때는 왜구가 감히 침범하지 못했다. 장생포 등의 곡을 지었고 공민왕이 소환해 찬성사에 임명되었으며, 좌정승으로 옮겼다가 파직되어 고흥부원군에 봉해졌고 수성양절익조보리공신의 칭호를 하사받았다.

원나라에서 홍건적을 토벌하려고 남쪽으로 정벌하기 위해 장수를 구하자 염제신 등 40여 명과 함께 천거되어 원으로 갔으며, 토크토아를 따라 장사성을 공격해 전투마다 공로를 세웠다.

이후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정사에 임명되었다가 어떤 일로 유배되었다가 다시 기용되어 고흥후에 봉해졌다. 1371년에 신돈이 처형되면서 류탁도 신돈의 일당이라는 이유로 처형되었다.

3. 대중매체(등장 작품)

MBC 신돈 (2005-2006 방송) 에서 배우 이종만(1937년 생, 주로 KBS 방송에 많이 출연하심)이 정승 류탁 역을 맡아 출연했다.
이종만 배우의 사극 출연작 :
KBS 1994 한명회 - 성종의 후궁 정귀인에 대한 협잡을 부린 점장이 역, 나중에 괴한에게 살해되어 시신이 대로변에 놓임 / 류자광(배우 손호균 역)과 대화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속으로 류자광을 비웃으며 그가 눈이 멀어 죽을 팔자라고 함. 당연히 이 대사는 류자광에게는 안 들리는 연출임.
KBS 1995 장녹수 - 연산군(유동근 배우 역) 시기의 정승 류순 역(무진년 위화도 회군공신, 태조 대 찬성사 류만수의 현손 ; 손자의 손자) ; 중종 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에 오름
KBS 1996-1998 용의 눈물 - 홍내관 역 ; 고려 조 시기부터 잔뼈가 굵은 대궐 고참격 내관이며, 조선 건국 이후 시종일관 태조 이성계를 옆에서 보좌함. 이성계가 양위 후... 나중에 동북면에 가서 조사의를 만날 때도 함께 따라감. 조사의의 속마음을 알아채고 이성계에게 자신의 소신껏 바른 말(이제 그만 아들 태종을 용서하고 도읍으로 돌아갈 것 등)을 하여 조사의 부하들의 눈 밖에 남. 하지만 조사의(배우 차철순 역)는 태상왕 전하의 최측근 심복 내관에게 함부로 손을 댈 수가 없다며 내버려두라고 함.
조사의는 태상왕 이성계를 철저하게 신성시하며, 태상왕의 권위를 배경으로 자신들의 정당성을 확보하려고 함. 따라서 태상왕의 권위를 절대로 훼손하지 않으려고 하며 자신들의 모든 행동은 태상왕의 명령에 의해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함
이전의 차사, 내관들과는 다르게 박순이 무사하게 떠난지 꽤 시간이 지났음에도, 빨리 뒤쫓아가서 죽이자는 동료들의 성화에도 불구하고, 태상왕의 허락이 내린 후에야 손효종(배우 조춘 역) 등을 보내 박순의 뒤를 쫓게 함. 이성계는 박순이 용흥강을 이미 건넜으면 내버려 두고, 만약 아직 건너지 못했다면 죽여도 된다고 함.
이성계는 박순이 떠난 지가 꽤 되었으므로 당연히 강을 건너리라고 생각했지만, 운없게도 박순(반문섭 배우 역)이 도중에 배탈이 들어 한 친절한 백성(박종설 배우 역)의 집에서 하룻밤 자고 백성의 권유로, 아주 천천히 여유있게 거동함. 결국 용흥강을 건너기 위해 배에 오르기 직전 손효종에게 따라잡혀 죽임을 당함. 백성의 극진한 친절함이 오히려 박순을 죽음으로 내몬 셈임.
홍내관은 조사의의 거병 실패 후, 이성계를 따라 당시 도읍 개경으로 돌아가고.... 한양으로 재천도 이후 한결같이 노쇠한 이성계를 옆에서 모심. 이성계가 세상을 떠난 회차(1998년 2월 방송) 에서, 상왕 정종과 현왕 태종 형제가 나란히 팔에 불침을 맞는 연비 의식을 지켜봄. 이성계 승하 이후에는 더 이상 등장하지 않음

KBS 1998-2000 왕과 비 - 김수온 역 ; 신미 스님(배우 양영준 역)의 남동생. 과거에 급제했지만 불교에도 관심, 조예가 있는 인물. 수양대군이 왕위에 오르기 전 사가 시절부터 수양대군 부인 윤씨(후일의 정희왕후)와 자주 만나며 친밀하게 지냄. 정희왕후의 편에 서는 인물로 묘사됨

KBS 2000-2001 천둥소리 - 동인의 거두 김효원 역

SBS 2001-2002 여인천하 - 중종 임금 측근 내관 역

KBS 2002-2003 제국의 아침 - 고려 3대 황제 정종(왕요)에게 소위 사기를 친 사이비 도사로 출연

KBS 2006-2007 대조영 - 미모사의 할아버지 역


4. 류탁의 신도비명

양촌선생문집 제39권 비명류(碑銘類) 에 양촌 권근이 지은, '고(故) 고려국 문하시중 유공(柳公) 신도비명(神道碑銘)' 이 전한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고려(高麗) 공민왕(恭愍王)에게 보필의 대신이 있었으니, 그는 바로 고흥(高興) 유공(柳公)이다. 일찍이 문음(門蔭)으로 원(元) 나라 조정에 벼슬하여 숙위(宿衛)하였는데, 날쌔고 용감하기로 이미 명성이 높았다. 귀국하여서는 감문위 대호군(監門衛大護軍)에 임명되니, 이때 공의 나이 27세로 지원(至元 원 순제(元順帝)의 연호) 3년 정축(1337, 충숙왕6) 4월이었다. 몇 해 안 되어 세 번 전임하여 고흥군(高興君)에 봉해지고, 합포(合浦)ㆍ양광(楊廣)ㆍ전라(全羅)의 진무(鎭撫)를 거쳐 충목(忠穆)ㆍ충정(忠定) 두 임금을 내리 섬겼는데, 공민왕이 즉위하여서는 더욱 신임이 두터웠다.
지정 갑오년(1354, 공민왕3)에 순제(順帝)가 승상(丞相)인 탈탈(脫脫)을 파견하여 남쪽으로 고우(高郵)를 정벌하면서 우리나라에 징병(徵兵)할 적에, 공이 아장(亞將)으로 군사를 거느리고 나가 전공을 세우게 되었는데, 승상이 참소를 입음으로 말미암아 군사를 철수하고 귀국하였다. 을미년(1355) 2월에 좌정승 판군부(左政丞判軍簿)에 임명되고, 6월에 고흥부원군(高興府院君)에 봉해졌다.
병신년(1356)에 다시 문하시랑 평장사 판호부(門下侍郞平章事判戶部)가 되었다. 신축년(1361, 공민왕10)에 홍건적(紅巾賊)이 왕경(王京)을 함락하여 임금은 남쪽으로 파천하고, 신민(臣民)은 뿔뿔이 흩어졌다. 이때 공은 임금의 곁을 떠나지 않고 호위해 가다가 안동(安東)에 어가를 머물고, 경상도 도순문사(慶尙道都巡問使)가 되어 군사를 징집 파견하여 적을 토벌하고 옛 왕경을 수복하였으므로 제1등에 책훈(策勳)되었다.
임인년(1362) 정월에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에 임명되고, 계묘년(1363, 공민왕12) 봄에 도첨의정승 판전리(都僉議政丞判典理)를 제수함과 동시 추충병의 동덕보리 익조공신(推忠秉義同德輔理翊祚功臣)의 훈호를 더하였다. 그해 겨울에 반신(叛臣) 최유(崔濡)가 공민왕을 참소하여 얽어 넣자, 황제가 그 말에 현혹되어 서얼(庶孼) 덕흥군(德興君)을 세워 국왕(國王)을 삼고 호위병까지 보내왔다. 이때 공이 백관을 깨우쳐 장수를 보내 항전하게 하므로 덕흥군이 대패(大敗)하여 도망갔고, 황제가 최유를 잡아 보내오니 사형에 처하였다.
을사년(1365)에는 조사(詔使)가 왔는데 그 행동거지가 몹시 교만하여 재상으로 뵙는 자와는 더불어 앉지도 않으려 하며, 왕을 뵙는 데도 역시 오만하였다.
그러나 공이 마루에 오르자 조사가 매우 공손히 예로 접대하니, 첨서(簽書) 이색(李穡)이 동료들에게 말하기를,
“시중공(侍中公)은 행동이 예도에 맞고 말이 이치에 맞으니, 화인(華人)들로부터 대우를 받는 것이 당연하다.”
하였다. 무신년 여름은 몹시 가물었다. 이때 왕이 노국공주(魯國公主)의 영전(影殿)을 짓고자 역사(役事)를 크게 일으켰으나 수년이 되어도 성취하지 못하였다. 공이 여러 재상들과 함께 글을 올려 중지하기를 청하니, 왕이 노하여 공을 하옥하고 장차 죽이고자 우사(右使) 이색에게 명하여 대중(大衆)에게 효유(曉諭)하는 경고문을 짓게 하였다. 이색이,
“탁(濯)은 죽을 만한 죄가 없으므로 감히 글을 지을 수 없습니다.”
고 대답하자, 왕이 또 노하여 같이 하옥하였다.
우사가 울면서 왕에게,
“신의 우는 것은 죽음을 두려워해서가 아니라, 왕께서 무죄한 대신을 죽임으로써 후세의 비난을 받을까 염려되기 때문입니다.”
하니, 왕이 이 말을 듣고 둘 다 석방하였다. 신해년(1371) 가을에 신돈(辛旽)이 주살(誅殺)되자 전날 공주의 영전(影殿) 역사를 중지하게 한 감정이 공에게 미쳐, 7월 18일에 청교역(靑郊驛)에서 교수형(絞首刑)을 당하였다. 이때 공의 나이 61세로, 눈물을 흘리는 사람도 있었다. 아, 이것도 천명이리라.
27년 후 정축년(1397, 태조6) 겨울에 우리 태상왕(太上王 조선 태조)께서, 공이 그 아들 습(濕)을 위해 벼슬을 비는 꿈을 꾸었다. 태상왕이 꿈을 깨고 나서 이상히 여겨 공에게 특진보국숭록대부(特進輔國崇祿大夫) 고흥백(高興伯)을 추증함과 동시에 충정(忠靖)이란 시호를 내리고, 아들 습을 모관(某官)으로 초배(超拜)한 다음 여러 번 관위(官位)를 높여 주었으니, 공의 공덕으로 후손이 받는 경사가 이때부터 시발되었다. 누가 착한 일을 함에 징험이 없다 말하겠는가.
공은 기품이 정민(精敏)하고 도량이 넓었다. 호화로운 귀족으로 생장하였으나 지조가 청렴결백하고 풍채가 근엄하며, 온화함으로 남을 접대하였다. 담력이 남달리 뛰어난 무재(武才)로서 대대로 선명(宣命)을 받았다. 3도(道)에 진무(鎭撫)로 나갔을 때에는 이르는 곳마다 위엄과 혜택을 끼쳐 군사들이 모두 두려워하며 존경하였다. 전라도(全羅道)에 나갔을 때에는 왜적이 만덕사(萬德社)에 침구하여 사람을 죽이고 재물을 빼앗아 갔는데 공이 경기(輕騎)로 뒤쫓아가 잡아서 그 노획물을 모두 탈환해 오므로 공이 있는 동안 왜적이 다시 침범하지 못하였다.
스스로 장생포(長生浦) 등을 작곡(作曲)하여 지금까지 악부(樂部)에 전해지고 있다. 조정에 있을 때에는 국사를 경영함에 여념이 없었으며, 언제나 성헌(成憲)을 지키고 분분히 변경하는 것을 일삼지 않았다. 정사는 간략하면서도 잘 처리하여 근세의 어진 보필을 말할 때면 반드시 공을 먼저 일컫는다고 한다.
공의 휘는 탁(濯), 자는 춘경(春卿)으로 성재(誠齋)라 자호(自號)하였으니 고흥인(高興人)이다. 증조의 휘는 승무(升茂)이니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에 추증되고, 조부 청신(淸臣)은 처음 휘(諱)가 비(庇)인데, 도첨의정승(都僉議政丞) 고흥부원군(高興府院君)으로서 충렬왕(忠烈王)ㆍ충선왕(忠宣王)ㆍ충숙왕(忠肅王)을 내리 섬겨 사직(社稷)에 훈공이 있으며, 아버지의 휘는 유기(有奇)이니 원(元) 나라로부터 민덕장군 전라도진변만호 달로화적 판밀직사사(民德將軍全羅道鎭邊萬戶達魯花赤判密直司事)를 제수받았으며, 어머니는 밀양 박씨(密陽朴氏)이니 판전객시사(判典客寺事) 유정(惟正)의 딸이다.
공이 원(元) 나라에 벼슬할 때 대경(大卿)인 타아적(朶兒赤)의 딸에게 장가들어 아들을 낳았으니, 이름은 운(雲)으로 검교참찬 의정부사(檢校叅贊議政府事)이다. 귀국해 또 육창 유씨(陸昌柳氏)에게 장가들었다. 유씨는 진혜택주(眞惠宅主)에 봉해졌는데 증 문하평리(贈門下評理) 휘 기(棋)의 딸로서 동본(同本)이 아니다. 아들 둘을 낳았으니, 습(濕)은 전라도 병마도절제사(全羅道兵馬都節制使)이고, 담(澹)은 낭장(郞將)으로 근자에 죽었으며, 딸은 파평군(坡平君) 윤곤(尹坤)에게 시집갔다. 손자는 셋인데 낭장이 낳은 아들 모(某)는 유학(幼學)이고, 파평군이 낳은 장남은 희이(希夷)니 공정고사(供正庫使)이며, 차남은 희제(希齊)니 제주감무(提州監務)이다.
공이 죽을 때 습(濕)은 5세였다. 뜻밖의 재난을 당하여 예를 갖추어 장례하지 못하고 임시로 해풍(海豊)의 백마산(白馬山)에 엄토(掩土)해 두었었다. 그러다가 35년이 지난 을유년(1405, 태종5) 11월 10일에 진혜택주가 향년 69세로 별세하자, 이듬해 병술년 3월에 덕수(德水)의 역산(櫟山)에 예를 갖추어 합장(合葬)하였다. 그 이듬해 가을에 습이 나에게 찾아와 말하기를,
“선공(先公)의 덕망과 공렬이 사람들의 이목(耳目)에 남아 있고, 또 국사(國史)에 실려 있어 충분히 후세에 밝힐 만하되, 습이 어려서 철모를 때에 흉화(凶禍)를 당하였으니, 극도의 슬픔이 일찍이 형언할 수 있었겠습니까. 묘도(墓道)에 비(碑)를 세우지 못하여 그 아름다움을 밝힐 수 없으니, 더욱 자식된 도리를 행하지 못하는 것이 두려워 감히 글을 부탁합니다.”
하였다. 내가 진신(縉紳)들과 종유하면서 전부터 공의 훌륭함을 들었으며, 참찬(參贊 운(雲)을 가리킨다)과 같이 추부(樞府)에 올랐다. 또 지금 절제(節制)의 간청이 애절하니 내 어찌 사양할 수 있겠는가. 곧 그의 청을 받아들여 다음과 같이 명(銘)을 쓴다.
예부터 훌륭한 장상(將相)은 그 충훈(忠勳)을 시기당해 천명을 누린 이 드물었도다. 소하(蕭何)는 옥에 갇히고 한신(韓信)은 멸족되어 그 원한이 천지에 찼으니 이것이 천명이라 한들 덕에는 무슨 손상이 있겠는가. 당당한 유공(柳公)은 오랫동안 재상의 권한을 잡아, 순경에나 역경에나 두 마음을 품지 않고 큰 난을 평정하였도다. 국사에 여념이 없이 우리 밝은 임금을 도왔는데, 억울하게 죄에 걸렸으니 관작인들 영화로울 것이 무엇이랴. 가뭄에 백성을 걱정한 것은 오직 재상의 어짊이라, 공사를 중지하자 간청하여 대궐에 글을 올렸도다. 임금이 노하고 감정을 품으므로 마침내 죽게 되었는데, 눈물을 흘리며 우는 이 있어 나라 사람들을 슬픔에 잠기게 하였도다. 한때 잠시 몰렸으나 끝내 백세에 신원하여, 그 원한을 씻고 사책(史策)을 빛냈도다 영험이 밝게 현몽하여 여경(餘慶)이 열렸도다. 묘도에 비를 새기거니 후인들은 살펴 보라.

류탁의 딸은 파평 윤씨 익대좌명공신 소정공 윤곤(?-1422)의 첫번째 부인으로, 아들 윤희이와 윤희제(1380-1467)를 두었다. 대표적인 훈구파이며 연산군 시기 갑자사화 때 사약을 받은 윤필상이 윤희제의 손자이다.
인조반정 이후 처형되었다가 후에 신원된 류몽인이 류탁의 후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