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5 10:16:51

김원충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문하시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colcolor=#373a3c,#ddd> 광평시중
김행도 | 박질영 | 류덕영 | 공훤 | 왕철 | 권직
문벌귀족기
(981~1170)
문하시중
최승로 | 박양유 | 한언공 | 김승조 | 최숙 | 류윤부 | 위수여 | 유진 | 최사위 | 유방 | 강감찬 | 서눌 | 황주량 | 최제안 | 최충 | 이자연 | 김원충 | 왕총지 | 김원정 | 박성걸 | 최유선 | 이정 | 문정 | 이정공 | 소태보 | 최사추 | 위계정 | 윤관 | 김경용 | 이위 | 김인존 | 이공수 | 김부식 | 김약온 | 임원후 | 왕충
무신정권
(1170~1270)
정중부 | 두경승 | 이의민 | 조영인 | 최충헌 | 이항 | 이연수 | 김취려 | 최종준 | 최항 | 김준 | 이장용
원 간섭기
(1270~1356)
김방경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김방경 | 류경 | 송송례 | 원부 | 허공 | 김방경 | 홍자번 | 조인규 | 홍군상 | 홍자번 | 홍규 | 홍자번 | 조인규 | 정가신 | 조인규 | 김혼 | 송분 | 홍자번 | 설공검 | 염승익 | 송분 | 한희유 | 한강 | 한희유 | 송분 | 홍자번 | 한희유 | 채인규 | 한희유 | 안향 | 한희유 | 한희유 | 김혼 | 정인경 | 최유엄 | 김지숙 | 최유엄 | 최유엄 | 이혼 | 류청신 | 홍규 | 류청신 | 권부 | 김이용 | 김이용 | 민지 | 배정 | 김태현 | 윤보 | 최유엄 | 김심 | 민지 | 김이 | 김이 | 윤석 | 정방길 | 윤석 | 김심 | 한악 | 윤석 | 강융 | 권한공 | 조적 | 한악 | 윤석 | 채하중 | 이능간 | 기철 | 채하중 | 한종유 | 왕후 | 김륜 | 김영후 | 김영후 | 인승단 | 노책 | 김영돈 | 왕후 | 노책 | 노책 | 손수경 | 손수경 | 이암 | 이제현 | 손기 | 송서 | 조일신 | 정천기 | 송서 | 조일신 | 이제현 | 조익청 | 홍빈 | 조익청 | 인승단 | 채하중 | 염제신 | 염제신 | 류탁 | 채하중 | 채하중 | 이능간 | 이제현 | 홍언박 | 홍언박 | 윤환
여말선초
(1356~1392)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홍언박 | 윤환 | 이제현 | 염제신 | 염제신 | 이암 | 홍언박 | 류탁 | 염제신 | 류탁 | 류탁 | 김일봉 | 김일봉 | 경복흥 | 경복흥 | 류탁 | 경복흥 | 김보 | 이춘부 | 이인임 | 이춘부 | 이인임 | 윤환 | 경복흥 | 염제신 | 경복흥 | 이인임 | 윤환 | 이인임 | 홍영통 | 이자송 | 조민수 | 임견미 | 최영 | 이성림 | 임견미 | 이성림 | 이인임 | 이성림 | 반익순 | 반익순 | 이성림 | 최영 | 이성계 | 최영 | 우현보 | 조민수 | 이성계 | 이색 | 이성계 | 이림 | 심덕부 | 이성계 | 정몽주 | 이성계 | 이성계 | 심덕부 | 배극렴 | 이성계
고려 국왕 · 무신정권 집권자
고구려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좌우보 · 상좌평)
신라 (대보 · 시중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임시정부 부수반 · 대한민국 국무총리
}}}
}}}}}}}}}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평장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colcolor=#373a3c,#ddd> [내의성] 평장사
조맹 최언위
문벌귀족기
(981~1170)
[내사문하성] 평장사
최승로 서희 최량 왕융 한인경 유방헌 위수여 진적 유진 최사위 최사위 김심언 진적 이예균 왕동영 최항 최항 강감찬 강감찬 유방 장영 최항 채충순 유방 이공 이공 서눌 서눌 류소 이단 이단 이단 황보유의 이단 류소 황보유의 박충숙 유징필 황주량 황주량 최충 최제안 황보영 이작충 최충 황보영 김영기 김원충 김원충 이자연 이자연 왕총지 김정준 박성걸 김정준 김원정
[중서문하성] 평장사
김원정 최유선 임종일 김의진 왕무숭 이정 문정 김약진 이정공 최석 이정공 김양감 최석 김양감 류홍 왕석 김행겸 류홍 최사제 정유산 이안 소태보 소태보 이자위 김상기 류석 김상기 임개 최사추 김선석 황영 최사추 위계정 김선석 임간 임간 이오 이오 위계정 오수증 최홍사 최홍사 이오 윤관 김경용 임의 임의 김경용 오연총 허경 오연총 이위 임간 허경 이자겸 김연 이자겸 김연 조중장 강증 김연 오수증 조중장 김준 임유문 김준 한안인 이자량 김고 임유문 최홍재 김약온 김약온 척준경 척준경 이수 이수 박승중 척준경 김부일 김향 최홍재 최사전 김향 문공인 최자성 최자성 김부식 이준양 임원애 최유 임원준 이자덕 최유 이중 이중 최진 최진 한유충 왕충 임원숙 이인실 이인실 고조기 김영관 최유청 문공원 유필 최관 유필 김영석 최자영 최윤의 이지무 양원준 최함 최유청 박순충 김영부 이지무 최유칭 김영윤 허홍재 허홍재
무신정권
(1170~1270)
임극충 서공 임규 양숙 정중부 윤인첨 윤인첨 한취 이광진 기탁성 민영모 송유인 최충렬 이공승 문극겸 한문준 최세보 이의민 박순필 이혁유 임민비 이광정 조영인 기홍수 임유 최당 최당 우술유 기홍수 이문충 최선 임유 기홍수 김준 차약송 최충헌 최충헌 김봉모 노효돈 이극서 조충 류광식 이연수 김의원 최보돈 최보순 왕규 김취려 최홍윤 금의 이규보 이자성 채송년 최린 기윤숙 김창 최자 김태서 류소 최자 김기손 송순 김기손 김기손 이세재 김기손 이세재 이장용 김순 최온 김지대 류경
원 간섭기
(1270~1356)
류경 김전 채정 김방경 김방경 원부 장길 유천우 황보기
(도)첨의찬성사·도첨의중호
유천우 류경 원부 박항 송송례 홍자번 홍자번 한강 한강 조인규 인후 강수형 박구 신사전 홍문계 김련 정가신 강수사 송분 인후 정가신 인후 김혼 차신 송분 한희유 정인경 최유엄 한희유 김지숙 최유엄 임익 이덕손 최수황 류비 김혼 차신 채모 김부윤 김혼 안향 최유엄 류비 오윤부 이지저 민훤 정해 왕유소 설영임 조윤통 류비 이혼 김흔 최충소 이혼 김심 김문연 인후 김심 류청신 이진 류청신 배정 박의 권부 이호 권단 홍선 설영임 설경성 민종유 정지연 최비일 오형 권한공 최성지 김사원 이설 김이용 김이 조연수 오잠 오잠 박허중 오잠 박허중 조련 허유전 박전지 윤보 이호 민종유 송영 권준 김이 한악 임중연 전영보 원충 정방길 강융 임중연 전영보 임자송 원충 전언 채홍철 임중연 조적 채하중 민상정 조위 안문개 홍빈 김인연 정천기 오계유 강윤성 윤환 김륜 권겸 박충좌 유방세 김영후 강윤성 전사의 손수경 안축 윤계종 이군해 류돈 이군해 윤신계 손홍량 윤안숙 염제신 허백 윤신계 이곡 류탁 김인호 조일신 조익청 전윤장 윤시우 김자 류탁 정을보 조유 홍언박 김승택 홍언박 류탁 이공수 강윤충 원호 기륜 강순룡 박새안불화 홍언박 윤환 김경직 김인호 김보 최천택 박수년 허백 황석기 강윤충 권적
여말선초
(1356~1392)
[중서문하성] 평장사·평장정사
류탁 허백 황석기 김용 황석기 김용 전보문 김일봉 김승택 이승경 정자후 이겸 안우 이공수 김용 경천흥 류탁 정세운 정세운 이방실
도첨의찬성사
유인우 김용 이공수 경천흥 황상 이성서 송경 안우경 최영 이인복 이구수 이인복 송경 안우경 최영 이구수 김보 이춘부 이인임 권적 이성서 윤택 안우상 우제
문하찬성사
한방신 황상 안우경 최영 강인유 안사기 목인길 지용기 정몽주 지용기 정몽주 배극렴 설장수 조준 권중화 조준 류만수 권중화 윤호 성석린
}}}}}}}}}}}} ||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 역대 태묘 배향공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태조 배현경 · 홍유 · 복지겸 · 신숭겸 · 유금필 · 최응
혜종 박술희 · 김견술
정종 왕식렴
광종 유신성 · 서필
경종 박양유 · 최지몽
성종 최량 · 최승로 · 이몽유 · 서희 · 이지백
목종 한언공 · 최숙 · 김승조
현종 강감찬 · 최항 · 최사위 · 왕가도
덕종 류소
정종 서눌 · 황주량 · 최충 · 김원충
문종 최제안 · 이자연 · 왕총지 · 최유선
순종 이정공
선종 문정 · 류홍 · 김상기
헌종 -
숙종 소태보 · 왕국모 · 최사추
예종 류인저 · 윤관 · 김인존 · 위계정 · 왕자지
인종 김부식 · 최사전
의종 최윤의 · 유필 · 문공원
명종 윤인첨 · 문극겸
신종 조영인
희종 최선 · 임유
강종 최이 · 정극온
고종 조충 · 이항 · 김취려
원종 이세재 · 채정
충렬왕 허공 · 설공검
충선왕 홍자번 · 정가신
충숙왕 -
충혜왕 한악 · 이규 · 이조년
충목왕 -
충정왕 이암 · 이인복
공민왕 왕후 · 이제현 · 이공수 · 조익청 · 류숙
우왕 -
창왕 -
공양왕 -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 문하시중
정간공(貞簡公)
김원충
金元沖
시호 정간공(貞簡公)
수직 수사도(守司徒)
직위 문하시중(門下侍中)
본관 경주 김씨(慶州 金氏)
이름 원충(元沖)
아버지 참지정사 김인위(金因渭)
배우자 미상
자녀 2녀
용절덕비(容節德妃) 김씨[1]
인목덕비(仁穆德妃) 김씨[2]
생몰연도 ? ~ ?
1. 개요2. 생애3. 가족관계

[clearfix]

1. 개요

고려시대의 문신. 대다수 고려 초중기 인물처럼 생몰연도가 불확실하며 단편적인 기록만 있다. 김원충은 고려왕실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었고, 이천 서씨, 안산 김씨, 인천 이씨와도 매우 가까워 그야말로 혈연의 중심에 서 있었다.

현종 ~ 문종 시기의 문벌귀족이며 시호가 예종평장사(平章事)를 지낸 류인저와 같다.

2. 생애

정종 2년인 1036년 진봉사(進奉使)[3] 겸 고주사(告奏使)[4]로 황해 연안을 따라 북송에 가다가 황해도 옹진현에서 배가 파손되는 사고가 일어나는데, 김원충은 무사히 살아서 돌아온다. 정종 4년인 1038년에는 거란에 조공품을 바치고 거란 연호를 받아 돌아온다.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를 지내다가 정종 6년인 1040년에 딸이 정종의 왕비가 되는데, 그가 바로 용절덕비(容節德妃, ?~1102)이다. 문종 원년인 1047년 내사시랑 평장사(內史侍郞 平章事)에 임명되고, 문종 3년인 1049년에는 다른 딸이 문종과 혼인해 인목덕비(仁穆德妃, ?~1094)가 된다. 이듬해인 문종 4년년 1050년 문하시랑 평장사 판상서 형부사(門下侍郞 平章事 判尙書 刑部事)에 오른다. 수태위 문하시중(守太尉 門下侍中)에 오르고 난 후 물러난 것으로 보이며, 죽은 뒤에는 정종의 묘정에 배향된다.

3. 가족관계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충선왕 제정 재상지종 15가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태후 가문
경주 김씨
순경태후
정안 임씨
공예태후
경원 이씨
인예태후
안산 김씨
원성태후
당성 홍씨
명덕태후
재상 가문
언양 김씨
김취려
철원 최씨
최유청
해주 최씨
최충
공암 허씨
허재
평강 채씨
채송년
청주 이씨
이자림
황려 민씨
민영모
횡천 조씨
조영인
파평 윤씨
윤관
평양 조씨
조인규家
}}}}}}}}}

김원충의 본관은 경주인데, 혈족으로 여겨지는 김지우의 묘지명에 상세한 가계가 나온다. 김지우는 신라 원성왕의 후손으로 원성왕 → 김예[5] → 김인윤[6]김신웅[7]김인위[8]김원황김경용김인규김지우 순이다. 그런데 김원충은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郞平章事)[9]를 지냈다는 김인위의 아들이자 김원황의 형제[10]로 추정되며, 이를 따른다면 그는 원성왕의 후손이 된다. 김인위의 아들 김원정김원황은 모두 원(元) 자 돌림 이름을 가졌고, 딸들이 모두 왕실이나 문벌귀족과 혼인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 문하시중(門下侍中) 김원정의 딸은 서눌의 후손과 혼인했다. 김원정의 10대손 김균(金稛)은 고려 말 이성계를 도와 조선 건국에 참여하여 개국공신 계림군(鷄林君)에 봉해졌다.
  • 김원황의 첫째 딸 낙랑군대부인(樂浪郡大夫人)은 수원 최씨 최사위의 손자와 혼인했고, 둘째 딸은 낙랑국대부인(樂浪國大夫人)은 정주 류씨 류홍과 혼인했다.
  • 김원충은 여자 형제도 있었는데, 바로 원순숙비(元順淑妃)와 계림국대부인(鷄林國大夫人)이다. 원순숙비는 현종의 후궁으로 덕종의 제1비 경성왕후를 낳았다. 계림국대부인은 이자연과 혼인해 문종의 비인 인예왕후(仁睿王后), 인경현비(仁敬賢妃), 인절현비(仁節賢妃)를 낳았다.
  • 김원충의 딸은 정종의 후궁 용절덕비(容節德妃)와 문종의 후궁 인목덕비(仁穆德妃)이다.

이렇듯 김원충은 고려 최고위층 관료였을 뿐만 아니라 아버지, 형제가 모두 고위직을 역임했고 누나, 조카, 자식들이 모두 왕실 및 문벌귀족 가문과 연을 맺으면서 가문의 세력을 강화했다.

[1] 정종의 후궁[2] 문종의 후궁[3] 조공 사절[4] 고하고 아뢰는 목적의 사절[5] 대광(大匡) 품계를 가졌다고 한다.[6] 신흥사 공신당에 초상화가 올라간 삼한공신이다. 고려 개국공신에 등재되어 있다.[7] 경주 김씨 족보에는 김순웅으로 등재되어있는데, 장군공파의 파조라 한다.[8] 현종의 후비 원순숙비의 아버지이자 이자겸의 할아버지 이자연의 장인이다.[9] 고려 최고위 정부기관인 중서문하성의 차관[10] 김원충은 1036년에 이미 종3품의 상서우승 벼슬을 가지고 있었는데 비슷한 시기인 1034년에 김원정은 종6품 감찰어사(監察御史)에 임명되면서 관계(官界)에 진출했다. 따라서 김원충이 김원정의 형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김원황은 1057년에 정3품 공부상서로 임명되는데, 이보다 7년 앞선 1050년에 김원충이 정2품 문하시랑평장사로 승진하였다. 한편 김원정은 1052년에 종2품의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로 임명되었으므로, 형제의 서순이 김원충 - 김원정 - 김원황 순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