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3 14:31:53

덕흥군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조선 선조의 아버지}}}에 대한 내용은 [[덕흥대원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덕흥대원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덕흥대원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조선 선조의 아버지: }}}[[덕흥대원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덕흥대원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덕흥대원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추존
국조 의조 세조
대종 안종
비정통
안경공 승화후 덕흥군
성격 불명
필영대왕 ▨▨대왕 문원대왕
정간왕 양헌왕
}}}}}}}}}

고려 비정통 국왕
덕흥군 | 德興君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지지파 원(元)
봉호 덕흥군(德興君)
성씨 왕(王) / 백(白)(?)[1]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혜(譓)
몽골 타스테무르(塔思帖木兒)
부왕 충선왕
출생지 백문거(白文擧)[2]의 집
생몰년도 1314 ~ 1367

1. 개요2. 생애3. 기타4. 대중매체

1. 개요

충선왕서자로,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궁인(宮人) 소생. 이름은 왕혜(王譓), 몽골식 이름은 왕타스테무르(王塔思帖木兒). 봉호인 덕흥(德興)은 이후 조선 중종의 서자이자 선조의 아버지가 되는 덕흥대원군과 한자까지 동일하다.

2. 생애

어릴 때 승려가 되었으나 종손자 충정왕이 폐위되고 조카 공민왕이 즉위할 때 원나라로 도주했다.

공민왕이 친원파의 거두였던 기철숙청한 직후, 그의 여동생이자 원나라의 황후였던 기황후는 공민왕을 폐위하고 덕흥군 왕혜를 으로, 조카인 기삼보노(奇三寶奴)[3]세자로 세우려고 했다.

1363년(공민왕 12년) 12월, 덕흥군은 최유 등과 함께 1만의 군대를 이끌고 고려에 쳐들어왔으나 최영이성계에게 패하고 원나라로 되돌아갔다.

공민왕은 그를 고려로 송환해달라고 요구했으나 원나라는 그가 곤장 107대를 맞은 후 종기가 났다는 이유로 송환을 보류하게 된다.
중략
왕이 밀직부사(密直副使) 김유(金庾)를 원나라에 보내 타스테무르를 압송할 것을 요청했다. 김유가 요양(遼陽)에 이르자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흑려(黑驢)가 김유에게,
“황제께서 저에게 타스테무르를 장 107대를 친 다음 자기나라로 돌려보내라고 지시하셨으나 마침 그가 등창이 났으니 다 나은 후에 곤장을 쳐서 돌려보내겠다.”고 하므로 김유가 그냥 돌아왔다.
앞서 호군(護軍) 배자부(裴自富)가 타스테무르와 내통해 밀직부사(密直副使)라는 거짓 관직을 받았다가 그 일이 탄로나 참형을 당했다.
고려사 열전 충선왕(忠宣王) 왕자 덕흥대원군
이후 그가 어떻게 되었는지는 기록에 남아 있지 않아 알 수 없다.[4]

3. 기타

  • 덕흥군을 옹립하려고 했던 원나라의 시도는 실패했으나, 이 사건으로 고려에서는 덕흥군과 관련된 반란들이 몇 차례 일어났다. 덕흥군과 내통했다는 혐의로 주사충(朱思忠), 호군(護軍) 배자부(裴自富)가 처형당했으며, 여진에서 자란 고려인 김삼개(金三介)는 형 삼선(三善)과 함께 덕흥군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 이성계가 출병한 틈을 타 화주에서 반란을 일으켰다가 돌아온 이성계한테 패배하고 도주한 기록이 있다.
  • 1377년 안주(安州)에서 승려 달명(達明)이 덕흥군의 아들을 자처해서 반란을 일으키려고 했다가 잡혀 죽은 일이 있었다.

4. 대중매체

  • 2005년 MBC 드라마 <신돈>에서는 배우 허기호가 연기했다.
  • 2012년 SBS 드라마 <신의>에서는 배우 박윤재가 연기했다.


[1] 경복흥 열전에서 언급이 되는데, 아마도 덕흥군이 반역을 일으키면서 과거 동오손침손준의 경우처럼 왕씨 성을 박탈당하고, 그리고 왕실 족보에서 파이면서 덕흥군이 백문거의 집에서 태어난 이유로 백씨로 성이 바뀐 경우라고 볼 수 있으나, 자세한 기록이 없어서 정확하게 알 수는 없다.[2] 궁인이 출궁한 뒤 재혼한 원나라 사람이다.[3] 성이 기씨(奇氏)이고, 이름이 삼보노(三寶奴)이다. 즉 기황후가 고려 왕실을 아예 왕씨에서 자신의 가문인 기씨로 바꾸려는 역성혁명을 시도를 한 것이다. 참고로 대략적인 나이차는 덕흥군이 기삼보노보다 두 세대 위이다.[4] 두산세계대백과사전엔 그가 원나라로 돌아간 후에 죄를 저질러 봉호도 삭탈당한 뒤 유배되었다고 서술하고 있는데, 사료에는 이런 내용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