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17 09:53:30

필영대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70000> 상보 상보 낙랑군왕 실직군왕 문원대왕
견훤 김부 김위옹 왕정
<rowcolor=#670000> ▨▨대왕 필영대왕 정간왕 양헌왕
(미상) (미상) 왕기 왕도
<rowcolor=#670000> 탐라국왕 우산국왕
}}}}}}}}}
<colbgcolor=#FFB200><colcolor=#670000>
고려의 제후왕
고려 태조의 왕자(?)
필영대왕 | 弼榮大王
생몰 ? ~ ?
본관 개성 왕씨 (추정)
미상
부모 부왕 태조 (추정)
모후 불명
봉호 불명
시호 불명

1. 개요

[clearfix]

1. 개요

고려의 제후왕으로 《고려사》《고려사절요》에는 등장하지 않으며, 혜종 2년인 944년에 만들어지고 1997년에 발견된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에서 존재가 확인되었다. 징효대사의 제자(실질적으론 후원자) 목록에서 ▨▨대왕의 다음 순서로 언급된다.

▨▨대왕에 앞서서 정종이 '왕요군(王堯君)', 광종이 '왕소군(王昭君)'으로 지칭되어 있다. 또한 《고려사》에 태조의 왕자가 문원대왕으로 봉작된 사례가 남아있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필영대왕은 광종과 ▨▨대왕보다 항렬이 낮은 태조의 아들로 추정되고 있으며, 광종보다도 항렬이 낮은 필영대왕이 '대왕'으로 명기되어 있는 점은 사후 왕작이 추봉되었기 때문으로 추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또한 '필영(弼榮)'은 시호로 보기 어려운 점이 있고, 같은 비문에 적힌 '왕요군'과 '왕소군'의 사례를 통해 보면, 자(字) 또는 별명이 적힌 사례로 짐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