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5 11:42:59

자업자득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스타크래프트 2의 주간 돌연변이에 대한 내용은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돌연변이/자업자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유희왕의 함정카드에 대한 내용은 자업자득(유희왕)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일본의 아이돌 사쿠라자카46의 9th 싱글 타이틀곡에 대한 내용은 自業自得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예시 등재 금지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예시 등재 금지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고사성어
스스로 자 업 업 스스로 자 얻을 득

1. 개요2. 혼동 유의3. 여담4. 관련 문서

1. 개요

자기가 저지른 일의 결과를 스스로가 돌려받는다는 뜻. 자승자박과도 비슷한 의미라고도 볼 수 있다. 정법염경(正法念經) 출전의 고사성어이며 원래 불교에서 유래한 말이다. 불교에서 쓰는 원래 뜻대로 해석하면 자신이 지은 의 과보를 자신이 받는다는 의미다. 여기서 '업'은 산스크리트어에서 '카르마'라고 하는 것의 한역이다.

2. 혼동 유의

언급했듯이 직역하면 '내가 뿌린대로 거둔다'라는 중립적인 뉘앙스가 되기 때문에 자급자족과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수능 모의평가 문제에도 출제된 적이 있어 학생들을 절규의 도가니로 빠뜨린 적이 있는데 '자업자득'은 어디까지나 안 좋은 일을 당할 때 쓰는 말이다. 다만 두 단어의 수준을 고려했을 때 직역했기 때문이 아니라 단순히 자승자박 자O자O의 형태만 보고 헷갈렸을 가능성이 크다.

단순히 평소에는 행실이 좋지 않은 사람이 안 좋은 일을 당한 경우는 '자업자득' 말고 '인과응보'라는 말을 써야 한다. 하지만 나무위키만 봐도 둘을 혼동하거나 인과관계를 지나치게 확장하여 '인과응보'를 쓸 자리에 '자업자득'을 쓰는 일이 잦다. '자업자득'은 어디까지나 그 인과관계가 '자기 자신이 벌인 일'로 한정되어야 알맞다.

알기쉽게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A , B , C 라는 인물이 있다고 하자.
BC의 자식이고 A는 그런 B를 죽였다. 그로인해 B의 부모인 C는 이 일로 분노했고 A에게 복수했다.
이러한 상황에선 A에게 자업자득이라는 표현이 알맞다. 하지만,
B를 죽인 A가 훗날 웬 벼락에 맞아 비참하게 죽었다.
이러한 상황은 A가 저지른 악행과 이후 겪은 불행한 사건 사이에 직,간접적인 연관이 없다. 그렇기에 자업자득이란 표현은 부적절하다.

요지는 '현실적인 관점에서 직, 간접적인 인과관계를 찾을 수 있느냐' 인 것이다. 사람에 따라서는 A가 벼락에 맞아 죽은 사실을 업보천벌 등으로 표현할 수도 있겠지만, 현실적인 관점에서 보면 B를 살해한 것과 조금도 관계가 없다.

자승자박의 경우에는 의미와 용례가 매우 유사하지만 그 뜻은 '자기가 한 말과 행동에 자기 자신이 옭혀서 곤란하게 되는 것'으로 자업자득과는 약간의 뉘앙스 차이가 있다. 자승자박이 그냥 그렇게 된 경우에 대한 건조한 서술이라면 자업자득은 상술했듯이 불교의 사상에서 나온 단어이기 때문에 대가를 치른다는 의미가 약간 있다.

3. 여담

  • 일본어에서도 이 사자성어를 쓰며, '업'의 일반적인 음인 /ギョウ/로 읽지 않고 오음인 /ゴウ/로 읽어서 'じごうじとく'이다. 아마 불교에서 온 말이라 오음으로 읽는 듯하다.
  • 중국의 인터넷에서는 "no zuo, no die" 이라는 중국식 영어가 유행하고 있다. 不作死就不会死 를 줄여서 不作不死를 어설픈 영어로 옮긴 것이다. 죽을 일을 저지르지 않았으면 죽음을 맞이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뜻 혹은 (죽을 일을) 저지르지 않으면 죽지 않는다는 뜻이다. 자업자득이나 인과응보의 뜻이다. 특히 인터넷이나 틱톡, SNS 에서 관심이나 어그로를 끌기 위해 장난을 치거나 위험한 행동을 하다가 사고를 당한다든지 큰 피해를 입는 등 스스로 위험한 짓을 하다 초래한 재난을 비웃을 때 쓴다. 중국어나 한자로 쓰기 보다는 no zuo no die 라는 엉터리 영어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중국인이 많은 해외 커뮤니티에서도 쓰이고 있어서 영어 위키피디아에도 실렸다.
  • 현대중국어에서도 사용하는 표현이지만 잘 쓰이지 않는다. 대신 자작자수(自作自受), 자식기과(自食其果), 자취멸망(自取灭亡), 악인자유악인마(恶人自有恶人磨)같은 표현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