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원돌파 그렌라간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아이락 코이가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91e31 33%,#0065b3 33%,#0065b3 66%,#d91e31 33%)"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0px"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6F6F6,#ee1c25> 양조주 | <colbgcolor=#FFF,#ee1c25>아이락 · 맥주/몽골 · 발효미주 · 슈바트 | |
증류주 | 시밍 아르히 · 차강 아르히 · 보드카/몽골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공통·두 지역 이상 겹치는 음식 ^ 1 ^ | ||||||||
구야시 | 까틀라마 | 보르초그 | 차크차크 | 피로시키 | |||||
몽골·내몽골·남시베리아 | |||||||||
버르츠 | 아이락 | 보즈 | 양꼬치 | 허르헉 | |||||
수테차 | |||||||||
서시베리아 · 동시베리아 | |||||||||
아이란 | 탈라(요리) | 루이베 | |||||||
^1^ 편의상 몽골, 남시베리아 요리와 공통점이 많은 칼미크 요리도 추가한다. | |||||||||
}}}}}}}}} |
1. 개요
ᠠᠶᠢᠷᠠᠭ, Айраг(애륵)가축의 젖으로 만든 몽골의 전통주. 몽골어로 '발효주'란 뜻이다.[1]
2. 특징
시큼한 향이 특징이고 전체적인 맛과 색깔은 우리나라의 막걸리와 비슷하나, 증류한 시밍 아르히가 아닌 이상 일반적인 술보다 도수가 한참 낮기 때문에 사실상 음료에 가깝다. 알코올이 들어있어 엄밀히 따지면 주류로 분류되지만, 도수가 1도 남짓밖에 안 나오기 때문이다. 대개 말젖으로 만들기 때문에 아이락이라고 하면 보통은 마유주를 일컫는데, 우유로 만들면 특별히 '네르멜'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네르멜은 우리나라의 전통 소주와 상당히 비슷한데, 일설에 의하면 원나라에 정착한 몽골인들이 우유 대신 쌀로 빚은 네르멜이 소주의 시초라는 설도 있다.몽골의 게르나 가정에 방문하면 아이락 한 잔을 권유받는 경우가 많은데, 처음 마시는 사람이라면 설사를 조심할 필요가 있다. 전통방식으로 빚으면 가죽자루에 담아 발효시키는데, 특유의 가죽향이 느껴지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 거부감이 들 수 있다. 또한 어느 나라를 가든 도수가 낮은 술은 잔이나 병의 보관상태를 보고 받아 마셔야 한다. 잘못하면 소위 물갈이라고 하는 것을 겪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현대에는 산업의 발달로 공장제 아이락이 유통중이며 일부 가정과 유목민들만 전통방식으로 제조한다. 몽골군 전투식량에도 아이락이 포함되어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아이락'보다 '마유주(馬乳酒)'란 명칭으로 더 유명한데 이는 중국의 영향이 크다. 중국에선 옛부터 '마내자(馬奶子)'라고 하였고 현재는 '몽고내주(蒙古奶酒)', '마내주(馬奶酒)', 또는 '마내자주(馬奶子酒)'라고 부른다. 그러나 실제 몽골에서 아이락은 말젖 뿐만 아니라 야크, 소 등에서 얻은 우유로도 만들고# 심지어 고비 지역에선 낙타의 젖으로 아이락을 만든다.[2]
본래 젖술은 가축에서 생산되는 젖의 양에 비례하기 때문에 산악지대가 많아 야크나 소를 말보다 많이 키우는 몽골 서부와 척박한 환경 탓에 낙타를 많이 키우는 고비 사막 지역에선 우유 및 낙타젖으로 아이락을 만들었다. 말을 적게 키우는 서부, 남부 유목민의 입장에선 굳이 말젖으로 아이락을 만들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마유주는 타락죽 같이 음차된 단어도 아니고 '말젖으로 만든 술'을 뜻하는 협소한 의미를 가진 단어이기에, 실제 '발효주'를 뜻하는 아이락의 뜻에 한참 미치지 못하며 애초에 정확한 표현도 아니다.
그래도 몽골에서 가장 좋은 아이락은 말젖으로 만든 것을 최고로 친다. 일본 오비히로축산대학 교수인 히라타 마사히로(平田昌廣)에 따르면, 소젖에는 지방 / 단백질이 100g당 각각 3.9 / 3.2 g, 양젖엔 7.2 / 4.6 g이 들었는 데 반해, 말젖은 1.9 / 2.5g로 지질 및 단백질의 함유량이 적은 대신 젖당은 6.2g로 매우 높은 편이므로 젖술 만들기엔 최적이라고 한다.[3] 그러나 말은 단순한 식량이 아닌 전투 자원으로 활용되었기 때문에 젖소처럼 젖을 얻어내기 위해 개량할 수 없었다. 당연히 일반 암말에게서 얻는 젖은 양이 적을 수밖에 없는데[4] 보통 손님에게 대접하기 위해 필요한 말젖의 양은 1.5~2L, 즉 말 12마리가 필요하다고 한다. 게다가 이 젖을 짜내는 데 여름철엔 2시간마다, 가을철엔 3시간마다 해야 하고, 특히 좋은 품질의 젖을 얻으려면 어떤 풀을 먹어야 하는지 그리고 필요한 적정온도를 얼마나 정확하게 유지해야 하는 지도 중요하다. 이런 수고로움 때문에 말을 많이 키우는 몽골 중앙 지역 이외에선 우유와 낙타젖으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3.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 고스트 오브 쓰시마에서 등장은 안하지만 살짝 언급된다. 주인공 사카이 진이 자신의 유모였던 유리코와 대화하면서 몽골군은 우유로 만든 술을 마신다고 언급하자 유리코는 그딴 건 술도 아니라며 깐다.
- 늑대와 향신료 한 에피소드에서 짤막하게 언급된다. 가상의 세계지만 중세시대를 모티브로 한 만큼 몽골 및 중앙아시아와 유럽 간의 교역을 참고한 듯하다.그뿐 아니라 어디에서 알았는지 말젖으로 만든 술까지 목록에 들어 있었다. 뇨히라에는 북방 지역을 경유해 동쪽 끝에 있는 초원과 황야의 나라에서도 사람과 물자가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 아마 그들에게서 들은 것이리라.늑대와 향신료 17권 종막 中
그 외에도 크래프트 로렌스가 양치기 노인 하스킨즈에게 양의 젖을 발효시킨 아이락을 대접받는 장면도 있다.
- 눈물을 마시는 새에서는 주인공 일행이 시구리아트 유료도로에서 이 술을 대접받는다. 작중에서는 '아르히'라고 명시하지만 묘사를 보면 아르히와 아이락의 특징이 섞여있다.[5] 맛이 부드럽고 마시기 쉽다는 점은 아이락, 맑고 은근한 빛깔에 확 치밀어오르는 술기운은 아르히에 가깝다. 작중에서는 말 젖이나 산양의 젖으로 만든다는 것 까지 언급된다. 다만 그 레콘도 만취할 정도인 것을 보면 도수는 무지하게 높은 듯.
- 대항해시대 3에서 중앙아시아 지역 도시를 방문할 때 아이락을 술집에서 마실수 있는 술로 나온다. 물론 일본에서 만든 게임이기에 마유주로 표기되어있다.
- 던전앤파이터의 추억의 아이템으로, 민타이의 특제 마유주[효과] 아이템이 있다. 유목민 컨셉이었던 반투족의 설정에 걸맞은 소비 아이템으로, 당시 리노로부터 요구르트와 함께 반복 퀘스트를 통해 얻을 수 있었던 인기 소비 아이템이었다. 설명에 따르면 둘이 먹다가 하나가 죽어도 모를 맛이라고.
- 영민 0명으로 시작하는 변경 영주님에서도 언급된다. 히로인인 이루나가 즐거운 일이 있으니 술을 마시자고 하자, 주인공이 자신이 살던 땅의 독한 술을 생각해서 반발했다만. 마셔보니 도수가 낮은 음료수 수준이라 오해를 풀게 된다.
- 칭기즈 칸의 일대기를 다루는 매체에서는 젤메를 언급할때 꼭 아이락이 언급된다. 칭기즈칸이 부상으로 사경을 헤멜때 적진 한복판으로 매복해 들어가 아이락를 훔쳐왔기 때문. 적에게 잡히면 어쩔뻔 했냐는 질책에 항복하는 척 하다가 훔쳐올 생각이었다고 답변해 그 용기와 지혜에 감복한 칭기즈 칸이 노예라는 출신도 아랑곳없이 그를 각별히 신임했다고 한다.
- 웹툰 칼부림에선 아이신기오로 다이샨이 친해진 조선측 인질들[7]에게 양젖으로 만든 아이락을 대접한다.
4. 여담
-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에서도 발효주를 먹는데, 그곳 언어로는 '크므즈(kımız, kымыз)'라고 부른다. 아이락 외에도 당도가 높은 대추야자즙을 발효시킨 술이 있는데, 사막에서는 마실 물이 귀한 데다 쉽게 상하다 보니 여행할 때마다 가지고 다니면서 물 대용으로서 마셨기 때문이다. 이슬람 초기에 "술은 무조건 금지"라고 하다가 사막 유목민들에게 "그럼 그냥 죽으라는 거냐?"라는 비웃음을 받고서야 허용했다. 때문에 아이들이나 여자들도 이걸 마시는 경우가 많았다.
- 터키의 음료인 '아이란(Ayran)'은 어원이 같지만 인도의 라씨처럼 물 탄 요구르트로 바뀌었다. 참고로 에르도안이 터키 고유 음식은 아이란이지 라크가 아니라고 했다가 욕 무지 퍼먹었던 바 있다. 샤다라빠는 터키에 축구 보러 가서 아이란을 많이 먹어봤는데 이것도 먹다 보면 맛이 좋다고 평했다.
- 세계 최초의 유산균 음료인 칼피스가 아이락에서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1908년 중국 내몽골을 방문한 창업자 '미시마 카이운(三島海雲)'이 당시 마셨던 아이락에 착안해 1919년 7월 7일, 물에 희석시켜 바로 마실 수 있는 '칼피스 워터' 를 개발했다.
-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가 선정한 세계 10대 혐오 음식들 중 1위를 차지했다.[8] 그러나 아이락은 깨끗한 몽골 고원의 풀만 먹고 자란 가축의 젖으로 만든 술이기 때문에 혐오할 만한 악취가 나는 것도 아니고, 외견이 흉한 것도 아니며, 아예 못 마실 만큼 맛이 없는 것도 아니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서방세계의 편협적인 시각이 담긴 선정이 아니냐고 평한다. 서방세계의 대표음식인 치즈도 아이락처럼 똑같이 동물의 젖을 이용해서 만들고, 치즈 중에는 이탈리아의 카수 마르주처럼 아예 구더기를 레시피의 일부로 포함시키는 것들도 있는데, 이런 것들을 제치고 아이락이 1위라는 것은 상당한 문제가 있다.#
[1] 이 때문에 맥주도 몽골어로 '샤르 아이락(ᠰᠢᠷᠠ ᠠᠢᠷᠠᠭ / Шар айраг, 노란 아이락)'이라 한다.#[2] 특히 낙타젖으로 만든 술은 '잉게니 아이락(ингэний айраг)'이라고 하는데, 몽골 으믄고비 아이막에서는 매년 낙타젖으로 만든 아이락 축제를 연다.#[3] 2018 히라타 마사히로 저, 우유가 만든 세계사 p52 참조
술을 만드는데 쓰이는 효모균은 탄수화물만 필요로 하며 단백질이나 지질 같은 타성분들은 많으면 많을수록 잡맛이 심하기 때문이다. 본래 단백질은 숙취의 주된 원인이기 때문에 곡물로 술을 빚을 때도 씨앗이 트는 부위인 배젖 부위를 도정 후 사용한다. 해당부위에 단백질이 집중적으로 들어있기 때문이다. 비슷한 원리로, 바이킹들은 치즈를 만든 후 단백질과 지방이 빠진 유청을 사용해서 블란드(BLAAND)라는 술을 만들긴 했다.[4] 우리나라에서도 타락죽을 만들려고 토종 한우(韓牛)의 젖을 짜내야 했는데, 그 양이 너무 적어서 왕의 보양식으로만 쓰였다. 다만 양이 적다는 이유뿐만 아니라, '송아지가 먹을 젖을 사람이 빼앗아먹는 것은 도리가 아니다.'라는 성리학적인 논리도 어느 정도 있었다.[5] 현실에서는 아이락은 발효주, 아르히는 증류주로 꽤 차이가 있다.[효과] HP가 1650 회복됩니다. 빙결 상태변화가 회복됩니다. 10% 확률로 혼란 상태이상이 됩니다.[7] 실존 인물인 강홍립과 김경서이다.[8] 2위는 아이슬란드의 하우카르틀이, 6위와 7위는 제비집 요리와 송화단이 뽑혔다.
술을 만드는데 쓰이는 효모균은 탄수화물만 필요로 하며 단백질이나 지질 같은 타성분들은 많으면 많을수록 잡맛이 심하기 때문이다. 본래 단백질은 숙취의 주된 원인이기 때문에 곡물로 술을 빚을 때도 씨앗이 트는 부위인 배젖 부위를 도정 후 사용한다. 해당부위에 단백질이 집중적으로 들어있기 때문이다. 비슷한 원리로, 바이킹들은 치즈를 만든 후 단백질과 지방이 빠진 유청을 사용해서 블란드(BLAAND)라는 술을 만들긴 했다.[4] 우리나라에서도 타락죽을 만들려고 토종 한우(韓牛)의 젖을 짜내야 했는데, 그 양이 너무 적어서 왕의 보양식으로만 쓰였다. 다만 양이 적다는 이유뿐만 아니라, '송아지가 먹을 젖을 사람이 빼앗아먹는 것은 도리가 아니다.'라는 성리학적인 논리도 어느 정도 있었다.[5] 현실에서는 아이락은 발효주, 아르히는 증류주로 꽤 차이가 있다.[효과] HP가 1650 회복됩니다. 빙결 상태변화가 회복됩니다. 10% 확률로 혼란 상태이상이 됩니다.[7] 실존 인물인 강홍립과 김경서이다.[8] 2위는 아이슬란드의 하우카르틀이, 6위와 7위는 제비집 요리와 송화단이 뽑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