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9-25 03:41:31

허르헉

파일:양 실루엣.svg파일:양 실루엣_White.svg  양고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2em; min-width:3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0 3px"
양머리 등심 허릿살 뒷다리살
갈비본살
가슴살 양삼겹살
앞다리살
양족 양족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 -5px 0 -10px; vertical-align:middle; word-break:keep-all"<colbgcolor=#eaeaea,#292b2e> 기타 부위 양갈비
옷감 양모 · 양가죽 · 양피지
기름 양털유 · 양기름
우유 양젖
품종 산양 · 큰뿔양 · 돌산양
티베트푸른양 · 바바리양 · 코리데일종
}}}}}}}}} ||
파일:쏩소르.jpg
몽골어 ᠬᠣᠷᠬᠤᠭ, хорхог
영어 Khorkhog, Horhog

1. 개요2. 상세3. 한국에서

1. 개요

몽골 요리의 일종. 몽골의 전통 육류 찜요리.

2. 상세

본래는 몽골의 유목민들이 아주 귀한 손님이 왔을 때 혹은 집안에 경사가 나거나 가족들 생일이나 명절 때에 먹던 전통 요리였는데,[1] 지금은 세상이 변하고 몽골에 오는 외지 관광객들이 늘면서 몽골에 여행 가는 외국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한 번쯤 먹는 음식이 됐다.
주재료는 염소인데[2] 양, 염소를 잡아 고기 부위의 지방을 빼고 먹기 좋게 썰어놓은 다음 커다란 이나 냄비염소고기양고기, 소금 등을 달궈진 돌[3]과 함께 넣는다. 때에 따라 피순대나 당근, 감자, 양파채소를 넣기도 한다.

그 다음 과정에 대한 증언은 세부사항이 좀 갈린다. 물을 한 방울도 쓰지 않고 돌의 열로만 익히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물을 조금 붓고 불 위에 올리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밀폐시켜 달구다 보면 육즙이 많이 나오는데, 이걸 따로 떠서 모은 국은 귀한 향채를 조금 넣고 나이 든 어르신들에게 양보했다고.

맛은 호불호가 엇갈리지만 사람들 평가에 의하면 의외로 맛이 있다고 한다. 몽골 여행을 갔다 온 한국인 여행객들의 말에 의하면 몽골 음식들 중 냄새도 적고 유일하게 입맛에 맞는 음식이라고 호평한다. 물론 이들이 호평한 건 관광객 대접용이라 육질이 질기고 누린내도 많이 나는 늙은 양인 머튼 대신 어린 양인 램을 피를 많이 빼내고, 양념도 조금 더 넣고, 야채를 왕창 넣는 스타일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오리지널 전통 방식은 위 링크에도 적혀있듯이 "늙은 양 1마리에 부재료로 소금과 양파 2개가 끝"이었다는 증언이 있다.

간혹 가축의 똥을 연료로 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똥과 함께 달군 돌을 그대로 솥 안에 집어넣어(...) 고기를 익히는 충공깽스런 장면을 목도하기도 한다고 한다.
몽골 요리아이락과 더불어 가장 인지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사실 진짜 전통식으로 만든다면 도축한 가축의 가죽이 구멍이 나지 않도록 고기와 내장을 빼낸 후 그 속에 달군 돌을 넣어 굴리는데 이것을 '버덕(ᠪᠣᠭᠣᠳᠠᠭ, боодог)'이라 부른다. 이 경우 가죽에 흠집 하나 나지 않게 온전히 고기와 내장을 발라내는 게 포인트인데, 개복을 할 수 없으니 잘린 목구멍 안으로 손을 집어넣어 오직 손의 감각으로만 내장을 끌어내고 뼈를 발라내야 한다. 아무래도 숙련된 기술이 필요한 작업이기에 보통 이 작업은 집안의 큰 어른이 한다. 이런 방식으로 살을 가죽에서 발라내는 데 걸리는 시간은 대략 7~8시간 정도 걸린다고 한다. 아무래도 현대화 및 간략화를 거치다 보니 집집마다 지방마다 조금씩 달라진 듯 하다. 어쨌든 달군 돌을 넣고 밀폐시켜 오래오래(1~2시간) 익힌다는 건 같다. 버덕 손질 및 조리 영상. 손질 과정에서 내장이 여과 없이 드러나니 비위가 약하다면 시청에 주의해야 한다. 현대에는 미리 준비한 양가죽 안에 고기와 돌을 넣고 굴리는 식으로 간략화되었다. 몽골 식당에서도 이런 식으로 조리해서 파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일본에도 허르헉과 비슷한 조리 방식을 쓰는 '이시야키(石焼き)'라는 나베 요리가 있는데, 아키타현 오가 반도의 명물로 고열에 강한 용결응회암을 사용한다고 한다.

3. 한국에서

일부 몽골 식당에서 주문할 수 있다. 단, 몽골의 전통 허르헉과는 많이 다른 편이니 기대는 걸지 말자. 이 요리에 빠져서 몽골 식당을 연 한국 사람도 있는데 VJ특공대에서 다룬 바 있다. 사장인 그 사람부터 몽골 전통 복장을 하고 손수 허르헉을 만들어줬는데, 본고장 식으로도 팔기도 하지만 아무래도 한국식으로 채소와 양념을 많이 넣고 어린 양고기를 쓰기도 한다고 인터뷰했다. 이 식당에서도 허르헉 만드는 건 위에 서술한 대로 시간이 장난 아니기에 사전 예약을 해야 하고 값도 비싸다고 한다. 그럼에도 한국에서 여러 사람이 사전 예약하여 만들어 팔기도 했다고 한다.

2000년대 초반 MBC에서 방영했던 예능 프로그램 느낌표에는 당시 외국인 이주 노동자들이 고국에 있는 가족을 만날 수 있도록 해주던 '아시아! 아시아!'라는 코너가 있었는데, 여기에서도 허르헉이 잠시 언급된 적이 있다. 당시 이 코너에 출연한 이주 노동자 중 한 사람이었던 자야 씨가 몽골에 있는 남편의 묘에 허르헉과 아이락[4]을 갖다주고 싶다고 말했기 때문. 당시 몽골로 자야 씨의 아이들을 데리러 갔던 패널 윤정수가 현지에서 두 음식을 구해 대신 묘 앞에 올리는 모습도 나왔다.


[1] 평소 먹는 염장고기나 말린 고기로는 만들 수 없고 무조건 양이나 염소 한 마리를 잡아야 하니 함부로 못 먹을 수 밖에 없었다.[2] 최근에는 다른 가축의 고기를 쓰는 경우도 생겨나긴 했지만 양고기나 염소고기를 쓰는 경우에 비하면 여전히 소수다.[3] 주로 검은색 돌이 쓰이는데 조리 시 쓰여진 돌은 신경통에 좋다고 하여 나중에 꺼내서 돌이 식을 때까지 손으로 비비거나 왼손 오른손으로 번갈아 옮기면서 매만진다고 한다. 추운 날씨에 오래 노출되면 신체 말단부터 차가워지는 사실을 생각해보면 꽤나 실용적인 민간요법이다.[4] 당시 자막에는 '마유주'라고 나왔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