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18:58:51

분노 바이러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런닝맨의 설정에 대한 내용은 국제분노연맹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28일후 바이오하자드 심볼.png
파일:28일 후 로고 가로.png

[ 작품 목록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c1d1f><width=1000><nopad><bgcolor=#be1916> 파일:28-day-later-logo.jpg ||<bgcolor=#000000><width=33%> 파일:28주 후 시리즈 로고.png ||<bgcolor=#fff><width=33.3%> 파일:28년 후 포스터 로고.webp ||
28일 후 (2002) 28주 후 (2007) 28년 후 (2025)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28년 후: 뼈의 사원 (2026) 제목 미정 (개봉 예정)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c1d1f><width=1000> 분노 바이러스 ||

<colbgcolor=#000000><colcolor=#fff> 분노 바이러스
Rage Virus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28WeeksLaterRageVirus.png
전자 현미경으로 관측한 분노 바이러스

1. 개요2. 상세
2.1. 기원2.2. 감염 및 증상2.3. 보균자

[clearfix]

1. 개요

영화 28일 후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상의 바이러스.

창작 비화가 재미있는데, 시리즈의 초기작이었던 28일 후가 굉장히 저예산으로 제작되어 많은 엑스트라를 동원할 수 없었고, 높은 수준의 CG 적용 역시 무리였기에 이런 설정의 바이러스를 만들어 비용을 최소화한 것이다. 하지만 그 설정이 여타 좀비물들의 바이러스와는 여러 면에서 큰 차이를 만들어내 오히려 28일 후 시리즈만의 개성이 되었다.

2. 상세

2.1. 기원

그래픽 노블 '28일 후: 애프터매스'에서 그 기원을 다루고 있는데, 본래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두 과학자들이 흉악범들의 폭력성을 약화시키기 위해 신경세포에서 분노 조절인자를 분리시켜서 만들어낸 약품이었다.

그런데 주사나 알약 형태로 시험해보니 효과가 영 시원찮았고, 이에 에어로졸 형태로 만들면 효과가 증폭될 것이라고 판단하여 에볼라를 개조해 바이러스를 개발하지만 이를 침팬지에게 시험한 결과로 인해 오히려 바이러스가 변이하며 분노 바이러스가 만들어지고 만다.

이에 실망한 두 과학자들 중 한명은 어떻게든 수습을 해보려 노력했지만, 나머지 한명이 동물 보호운동가들에게 실험에 대해서 고발한 후 권총자살을 해버린다. 그 뒤로는 영화에 나온대로 실험실에 동물 보호운동가들이 들이닥쳐 침팬지를 풀어버리면서 지옥문을 열게 된다.[1]

2.2. 감염 및 증상

이전까지 보여져왔던 좀비의 이미지에선 찾아볼 수 없는 분노 바이러스만의 독특한 특징[2] 때문에 공격성과 전염성을 제외하면 고전적인 좀비와는 꽤나 다르다.

발병과 전염 속도는 좀비를 다룬 여러 매체들의 발병원들 중에서도, 감염속도가 대단히 빠르고 강한 쪽에 속한다. 감염자 및 보균자의 혈액이나 체액이 체내에 침입하면 그 즉시 감염되는데, 20~30초 후에 피를 토하다 눈동자 색이 빨갛게 변하고 피눈물을 흘리면서 지성과 이성을 상실하고 폭력성이 급증하여 파괴만을 갈구하는 감염자가 된다.[3] 게다가 감염된 체액 단 한 방울만 접촉해도 감염자로 변하는 시간이 조금 길어지기만 할 뿐 100% 감염 확정이다.[4]

파일:external/i1-0.fdbimg.pl/1200x797_jrd4v4.jpg
신체 능력의 증감은 딱히 없지만, 목표물을 포착하는 즉시 찢어지는 괴성을 지르며 미친듯이 전력 질주를 하는데 그 속도가 상당히 빠르다. 달리다가 지치는 묘사도 거의 없으며,[5] 흐느적거리지도 않고, 일반인이 전력 질주하는 것처럼 달린다. 실제로 단거리 달리기 선수 출신들을 다수 감염자 역할로 뽑았다고 하는데, 영화 촬영 중 단거리 달리기 선수들에게 좀비 역을 맡겼다가 너무 빨리 달리는 바람에 오히려 감독이 좀 느리게 달려달라고 부탁했다고 한다.

이들은 일반적인 좀비와 달리 특별히 인육을 탐하지는 않으나, 증폭된 폭력성 때문에 상대방을 마구 물어뜯고, 할퀴고, 찌르고, 두들겨 패며, 안면부와 같은 노출 부위에 다량의 피를 토해내서 전염을 시킨다.[6] 인육을 먹는다는 식욕보다는 상대방을 온 힘을 다해 파괴하겠다는 파괴욕이 더 강조되는 부분.

하지만 감염 시 여러모로 단점이 심하게 큰데, 다른 좀비들에게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어느 정도의 내구성이 없어서[7] 머리를 노릴 것도 없이 몸에 총탄을 맞아도 잘 죽고, 영국을 봉쇄하자 굶어 죽기도 한다.[8] 다만 감염자들이 다 아사했다고 나온 28주후가 스토리라인에서 제외되었고, 28이 지났는데도 아직도 감염자들이 돌아다녀 세상이 초토화된 것으로 나오는 28년 후가 공개됨에 따라 이들의 내구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28년 후의 개봉을 기다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9]

2.3. 보균자

파일:external/1.bp.blogspot.com/AliceInDecontamination.jpg

28주 후에서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어도 발병하지 않는 앨리스 모자가 등장한다. 통상적으로 눈 색이 빨갛게 변하는 감염자와는 달리 이들은 오드아이 중 한쪽 눈만 색이 변하고 감염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허나 본인만 증세가 나타나지 지 않았을 뿐이지, 바이러스 자체는 체내에 들어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면역이 없는 사람과 접촉하면 순식간에 감염자를 증폭시킬 수도 있는 시한폭탄에 가까운 상태라 격리되어 있었다. 하지만 남편인 돈이 실험실로 들어온 뒤 다짜고짜 키스를 퍼부운 뒤에[10] 불과 몇십초도 안 되어 순식간에 감염자로 돌변[11]하고 앨리스를 살해하고 만다.[12]

사실 신체 내부에 바이러스가 그대로 남아있어 타인에게 전염시키는 것이 가능한걸 보면, 면역자보다는 보균자 내지 무증상자라고 하는 것이 옳다.[13] 단순히 발병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건지 아니면 완전한 면역인지는 불확실하지만, 다른 인간들은 불과 수십초만에 광인으로 변화하는 것에 비해 꽤 오랫동안 멀쩡한 것으로 보아 광화 증상에만 면역인 듯 하다.


[1] 작중 묘사를 보아 고발을 한 과학자가 분노 바이러스에 대한 경고나 위험성을 제대로 얘기하지 않고 그냥 동물 실험에 대한 것만 얘기한 걸로 보인다. 거기다가 나머지 다른 한 과학자가 동물 보호운동가들에게 바이러스에 대한 경고를 하는데 제대로 다 말하기도 전에 침팬지가 갇힌 우리를 열어버렸다.[2] 지금에 와서는 "이게 그렇게 독특해?"싶겠지만, 처음 28일후가 개봉된 시절에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충격을 주었었다.[3] 그래서 물리거나 긁힌 뒤에 일말의 유언을 전하거나 다른 이들이 피해를 받지 않도록 자살하거나 스스로 멀리 떠나는 등의 장면이 나오는 여타 좀비물 작품들과는 다르게 정말 눈 깜짝할 사이에 감염 증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바로 적으로 돌변해 등장 인물들을 공격한다.[4] 28일 후에서 한나의 아버지 프랭크의 경우 감염자의 피 한 방울이 눈에 떨어져서 감염되는 충격과 공포의 묘사가 나온다. 다만 28일 후에서 침팬지의 경우에는 동물 보호운동가들이 공격받을 때 마치 즐거워하는 것 마냥 박수를 치는 묘사가 나온다.[5]28일 후에서 주인공 일행들이 탄 차량을 쫓다가 차량이 멀어지자 달리기를 멈추는 묘사가 나온다.[6] 여러모로 출혈열과 광견병이 섞인듯한 증상들을 보여준다.[7] 이는 언데드 캐릭터인 좀비와는 다르게 살아있는 감염자이므로 신체 구성은 인간과 동일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신체능력이 극단적으로 강화된게 아닌 조금만 강화된 것일 수도 있다. 등장인물들이 딱히 맨몸 싸움에서 감염자들에게 밀리는 모습이 보이지 않기 때문. 28주 후 스토리 중 헬기 프로펠러로 감염자들을 썰어버리는 씬에서 오른팔과 상반신이 척추 가까이 절단된 NATO군 감염자가 흐느적거리며 걸어가는 장면이 있다. 하지만 엄밀히 말해 이는 설정 오류인데, 폭력성이 비정상적으로 증폭했을 뿐 내구도 자체는 인간과 다름없기 때문에 이 정도의 부상을 입으면 즉사해야 한다.[8] 어떻게 보면 현실적이지만 또 어떻게 보면 비현실적인 설정인데 아사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는 문제 때문이다. 설정상 거의 한달 정도쯤 지나자 다 굶어 죽는 듯한 묘사가 나왔는데 음식을 섭취하지 않는 건 둘째치고 수분 섭취를 안 하면 저렇게 오랜 시간 살아있는 게 불가능하기 때문. 심지어 감염자들은 끊임없이 피를 토하고 침을 흘리거나 눈의 핏줄들이 터져서 계속 피를 흘리는 등 보통 사람보다 수분 손실이 배는 심한데다 비감염자를 보면 전력질주를 하고 가만히 있을 때도 주변 물건을 부수려고 하거나 자해를 하는 등 수분을 잃을 짓을 하는데 죽는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린다. 실제로 물도 안 마시면서 활동성을 저렇게 극단적으로 늘리고 수분 손실을 감내했다간 한달이 아니라 3일을 버티는 것도 용하다. 따라서 아사하기 전에 갈사하게된다.[9] 28년이라는 오랜 세월이 흐른 점과 28년 후 티저 포스터에 있는 '그것이 진화했다'나 '시간이 아무것도 치유하지 못했다'는 문구로 미루어보아, 분노 바이러스가 오랜 시간이 지나며 소멸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더 치명적인 방향으로 변이했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 그 예시로 예고편 속 감염자들은 잘만 뛰어다니는 모습인데 몸상태도 매우 괜찮아 보이는 걸 넘어 나름 신체가 탄탄하기 한다. 거기다 예고편의 한 장면에서 이끼같은 것에 뒤덮힌 무언가가 움직이는 모습도 포착되었다.[10] 아마 잃었다고 생각했던 아내가 살아있었다는 기쁨과 안도감, 그리고 그런 아내와 자식을 버리고 도망친 죄책감으로 인한 미안한 감정이 동시에 증폭되어 저지른 충동적인 행동인 듯 하다. 물론 후솔하듯 그 기쁨은 순식간에 비극으로 치닫았다.[11] 앨리스와는 다르게 돈은 분노 바이러스에 면역이 없었다. 이 상태에서 키스로 인해 그녀의 체액이 본인의 몸으로 들어와 버려 결국 감염자가 된 것이다.[12] 이 장면은 28주 후에서 가장 잔혹한 장면으로 평가받고 있다. 감염 뒤, 아내를 개 패듯 패는 것도 모자라 목을 물어뜯어버리고 결국 산 채로 두 눈을 엄지로 파서 죽여버린다. 과거를 망각해가며 감염되어가는 돈의 비명소리와 함께 격리실 내부와 그의 얼굴이 피범벅이 되어가는 모습, 그리고 진짜로 폭행 현장을 보는 듯한 배우들의 열연이 일품이며, 감동적인 재회 후 곧바로 이어진 장면이라 비극적인 면도 강조되었다. 실재로 영화 자체의 박한 평가와는 별개로 이 장면 하나만큼은 호평받았을 정도로 임팩트가 컸다.[13] 예전에는 이 개념을 구분 못하는 사람이 많았지만, 코로나 19 팬데믹 사태 이후로는 이 개념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