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8 20:21:59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공공기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 국립공원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국립생태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한국상하수도협회 한국환경보전원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중부발전 한전KPS 한전KDN
한전MCS 한국전력기술 전력거래소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에너지재단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전기안전공사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국회휘장.svg 국회
국회박물관
파일:국가정보원 로고.svg 국가정보원
안보전시관
파일:정부상징.svg 기획재정부
한국조폐공사 화폐박물관
관세청 관세박물관
국세청 국립조세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과학관◈ 대전(중앙) · 과천 · 서울(어린이) · 광주 · 대구 · 부산 · 원주(강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과학관
우정사업본부 / 서울중앙우체국 우표박물관
우정사업본부 / 우정공무원교육원 우정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외교부
외교사료관
파일:정부상징.svg 통일부
국립6.25전쟁납북자기념관
파일:정부상징.svg 법무부
검찰청 검찰역사관 · 국가형사사법기록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방부
전쟁기념사업회 전쟁기념관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해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박물관
공군사관학교 국립공군박물관
육군부사관학교 국립전사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행정안전부
경찰청 국립경찰박물관
소방청 국립소방박물관2026년 예정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파일:정부상징.svg 국가보훈부
독립기념관 ·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 호남호국기념관
파일:정부상징.svg 문화체육관광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국립한글박물관 · 국립한국문학관
국립박물관 서울(중앙) · 춘천 · 청주 · 공주 · 부여 · 전주 · 익산 · 광주 · 나주 · 대구 · 경주 · 진주 · 김해 · 제주 · 충주2026년 예정
국립현대미술관 과천(본관) · 서울 · 덕수궁 · 청주 · 대전2026년 예정
국립민속박물관 서울(본관) · 파주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 · 국립무형유산원 ·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 충무공이순신기념관 · 세종대왕역사문화관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천연기념물센터
국립해양유산연구소 해양유물전시관(목포(본관) · 태안)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
국립중앙극장 공연예술박물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박물관
국민체육진흥공단 국립스포츠박물관2026년 예정
대한체육회 한국체육박물관
태권도진흥재단 국립태권도박물관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박물관
한국저작권위원회 국립저작권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농림축산식품부
국립농업박물관
한국마사회 말박물관
산림청 국립산악박물관
산림청 /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국립농업과학원 잠사곤충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보건복지부
국립소록도병원 한센병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성평등가족부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국립여성사전시관
파일:정부상징.svg 국토교통부
국립항공박물관 · 국토발전전시관
국토지리정보원 국립지도박물관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박물관
한국철도공사 철도박물관
새만금개발청 국립새만금간척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해양수산부
국립해양박물관 · 국립인천해양박물관 · 국립해양과학관 · 국립해양수산박물관2030년 예정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씨큐리움
한국항로표지기술원 국립등대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기후에너지환경부
국립생태원 · 국립생물자원관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기상청 국립기상박물관 · 국립밀양기상과학관 · 국립충주기상과학관 · 국립대구기상과학관 · 국립전북기상과학관 · 국립충남기상과학관 · 국립여수해양기상과학관
파일:한국은행 심볼.svg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파일:국립박물관단지 흰색 심볼.svg 국립박물관단지
국가기록박물관 · 국립어린이박물관 · 국립도시건축박물관 · 국립디지털문화유산센터 · 국립디자인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정부대전청사 상설 및 특별전시관
발명인의 전당 · 조달전시관 · 정부조달상품문화전시장 · 통계전시관 · 숲사랑체험관 · 국가기록전시관 · 병무역사기록관 · 관세기록관
◈표시가 붙여있는것은 과학관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의 해당하는것 }}}}}}}}}
<colbgcolor=#0083cb><colcolor=#fff>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NNIBR
파일: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로고.svg
정식 명칭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영문 명칭 Nakdonggang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일 2015년 6월 3일
설립 목적 국가 생물주권의 조기확보와 생물다양성 보전 및 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기여
생물자원관법 제7조
대표자 용석원
주무 기관 기후에너지환경부
기업 분류 기타공공기관
직원 수 214명(2025년 2분기 기준)
미션 담수생물 주권 확보, 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으로 국가발전에 기여
비전 담수생물자원과 함께하는 지속가능한 녹색미래 선도
소재지 본사 - 경상북도 상주시 도남2길 137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external/www.nnibr.re.kr/bg01.jpg

1. 개요2. 주요연혁3. 발전전략4. 관람안내
4.1. 관람 시간,요금4.2. 교통편
5. 시설
5.1. 전시관 로비5.2. 제1전시실5.3. 제2전시실5.4. 체험학습실5.5. 전시시청각실5.6. 전시온실5.7. 연구교육 구역
6. 역대 기관장7. 여담8. 둘러보기

1. 개요

생물자원관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7조(생물자원관법인의 설립)
① 국가는 제5조에 따른 생물자원관의 사업을 분야별로 분담하고, 생물자원의 보전·관리 및 조사·연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생물자원관을 설립·운영한다.
1.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② 제1항에 따른 생물자원관이 분담하는 분야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담수(淡水)생물 분야

2015년 개관한 경상북도 상주시 도남2길 137(도남동)에 위치해 있는 담수분야 전문의 생태 연구/전시관과 그 부대시설 및 이를 운영하는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공공기관(기타공공기관).

국가 생물주권의 조기확보와 생물다양성 보전 및 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2023년 국립박물관 평가 인증기관 선정됐다.

2. 주요연혁

'08. 9.10. : 「국가 광역경제권 발전 선도프로젝트」반영
'09 ~‘13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건축공사
'14.10.10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임시 개관
'15. 1.20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제정
'15. 6. 3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법인 설립
'15. 7.28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개관
'16. 2. 3 : 공공기관 지정(기타공공기관)

3. 발전전략

파일:external/www.nnibr.re.kr/intro_con02.png

4. 관람안내

4.1. 관람 시간,요금

관람시간은 09:30~17:30분까지입니다. [1]
휴관일: 1월1일, 구정 • 추석 전일 및 당일, 매주 월요일(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그 다음 평일), 자원관 설립일(6.3.)
요금은 대인 3000원 청소년과 소인은 1000원입니다. 단체(20인 이상)관람시 50% 할인 적용. [만4세]
환경부 소속이라 그런지 그린카드 소지자는 본인에 한하여 30% 할인을 해주고 있다.

4.2. 교통편

자가용을 권한다. 동에 위치하고 있지만 사실상 시골이기 때문이다. 물론 버스가 가기는 하지만 상주시내에서 대략 30분이 걸린다. 다만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낙동강 자전거길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정문 옆의 거치대에 자전거를 보관한 뒤 휴식 겸 해서 들어가서 볼 수도 있다.

주소 : 경북 상주시 도남2길 137 (우)37242(도남동 산39-21)
연락처 : 054-530-0700 (대표번호)

5. 시설

파일:external/www.nnibr.re.kr/exhi02_con01.png

5.1. 전시관 로비

파일:external/www.nnibr.re.kr/pic_con02.png
낙동강 수변의 건강한 생태계를 표현한 상징 전시물로써 호랑이, 고라니, 산양, 독수리, 재두루미 등을 관람할 수 있다.[3]

5.2. 제1전시실

파일:external/www.nnibr.re.kr/p1_img01.png
파일:external/www.nnibr.re.kr/exImg01_01.png
생물다양성을 주제로 한 전시실이다. 전세계의 생물들의 표본을 볼 수 있다.

5.3. 제2전시실

파일:external/www.nnibr.re.kr/exImg02_03.png
낙동강을 주제로 한 전시실이다.

5.4. 체험학습실

파일:external/www.nnibr.re.kr/pic_con05.png
유치원생과 초등학생의 눈높이에 맞는 체험전시물을 통해 생물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고 살아있는 생물을 관찰하는 공간

5.5. 전시시청각실

파일:external/www.nnibr.re.kr/pic_con12.png
낙동강의 생물다양성을 주제로 4D 애니메이션 상영 * 만 5세 이상 관람, 상영시간: 10~15분

5.6. 전시온실

파일:external/www.nnibr.re.kr/pic_con17.png
한반도 남부 상록수림을 구성하는 식물을 중심으로 식재
- 울릉도와 남부 상록수림에 분포하는 주요종(상록활엽수,난과식물,양치식물 등 총 136종 1,800여점)

5.7. 연구교육 구역

6. 역대 기관장

  • 초대 안영희 (2015~2018)[4]
  • 2대 서민환 (2018~2021)[5]
  • 3대 유호 (2021~)[6]

7. 여담

  • 대학생/청소년 공모전 - '서포터즈'를 2016년 상반기(1기) 하반기(2기), 2017년 상반기(3기), 2018년(4기) 선발했고, 2019년(5기)는 '가람지기'라고 불렀다. 한달에 한번씩 오프라인 회의를 하는데 상주랑 서울을 번갈아 가며 했다. 이후 '청소년기자단 바이올로거' 2020년(1기) 2021년(2기) 등으로 불렀다.
  • 식당 1개, 카페 1개가 있으며, 2018년에 CU 편의점이 입점하였다. 현재는 다 망했다.
  • 최근 방문 결과, 방문객이 거의 없어 썰렁한 분위기가 연출되고, 표본 관리도 다소 되지 않는 모습이다.
  • 국내에서 유일하게 멸종된 7종의 조류[7]의 박제를 전시하고 있다.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3DB94D>
파일:상주시 CI_White.svg
경상북도 상주시
소재 관공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지방자치 파일:상주시 CI.svg 상주시청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상주시의회
법조 파일:대한민국 법원 휘장.svg 대구지방법원 상주지원 파일:대검찰청 CI.svg 대구지방검찰청 상주지청
교육 파일:경상북도교육청 휘장.svg 경상북도상주교육지원청 파일:경상북도교육청 휘장.svg 경상북도교육청 상주도서관
치안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상주경찰서
소방 파일:소방청 마크.svg 상주소방서
교정 파일:교정본부 엠블럼.svg 상주교도소
보건 파일:보건소 CI.svg 상주시보건소]
세무 파일:정부상징.svg 상주세무서]
우정 파일:우정사업본부 상징.svg 상주우체국
기타 국가기관 파일: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로고.svg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1] 원활한 전시관 관람을 위하여 퇴관 1시간(16:30) 전까지 입장 가능.[만4세] 이하(10명당 인솔자 1명 포함), 만65세 이상, 장애인(1~3급 장애인 보호자 1인 포함),국가·독립유공자,5 민주유공자 및 자녀, 기초수급자, 소년·소녀가장, 차상위계층은 무료입장. 초·중·고등학생 인솔자 1명(학생 20명 기준)은 무료입장.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이 소재하는 상주시 도남동주민은 무료입장, 그 외 상주시민은 50% 할인, 다자녀 가정은 50% 할인(자녀 3명 모두 미성년의 경우에 한함)[3] 표본의 90%가 실제 생물이다.[4] 前 중앙대학교 산업과학대학장[5]국립생물자원관장, 前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6] 前 환경부 자연생태정책과장[7] 큰바다오리, 여행비둘기, 극락앵무, 까치오리, 후이아, 캐롤라이나앵무, 뉴잉글랜드초원뇌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