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공공기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수자원공사 | 한국환경공단 | 국립공원공단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 국립생태원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 한국상하수도협회 | 한국환경보전원 | 한국전력공사 | |
한국수력원자력 | 한국남동발전 | 한국남부발전 | 한국동서발전 | |
한국서부발전 | 한국중부발전 | 한전KPS | 한전KDN | |
한전MCS | 한국전력기술 | 전력거래소 | 한국에너지공단 | |
한국에너지재단 |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 한전원자력연료 | |
한국원자력환경공단 | 한국지역난방공사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한국전기안전공사 | |
|
<colbgcolor=#243b7c><colcolor=#ffffff>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KEIA | |
| |
정식 명칭 |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
한자 명칭 | 韓國에너지情報文化財團 |
영문 명칭 | Korea Energy Information Culture Agency |
국가 | |
설립일 | 1992년 3월 25일 |
설립목적 | 원자력, 신재생, 석탄, LNG 등 전력사업 및 에너지와 관련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정보의 보급 확산을 통해 국민의 에너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증진을 도모하고 에너지문화를 진흥시킴으로써 사회 공익에 이바지함 |
대표자 | 이주수 |
주무기관 | 기후에너지환경부 |
주요 주주 | 해당사항 없음 |
기업 분류 | 기타공공기관 |
상장 여부 | 비상장기업 |
직원 수 | 34명(2023년 2분기 기준) |
미션 | 열린 플랫폼 구축과 에너지 정보 대국민 서비스 제공 |
비전 | 지속가능한 에너지 문화를 만드는 국민 소통기관 |
소재지 | 본사 - 서울특별시 금천구 남부순환로 1418 (독산동) |
관련 웹사이트 | |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공식 홈페이지 | |
관련 전화번호 | |
대표전화: 02-859-0011 |
1. 개요
국민의 에너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 증진을 목적으로 15개 전력 유관기관이 공동으로 출연하여 1992년 설립된 산업통상부 산하의 기타공공기관.1992년 당시 한국원자력문화재단으로 설립되었으나, 원자력뿐만 아니라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에너지 전환과 전반에 대한 정보제공 및 문화교육 사업을 펼쳐나가기 위해, 2017년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 기관장
- 윤기돈 (2018~2021)
- 최성광 (2021~2024)
- 이주수 (2025~현재)
3. 역대 로고
4. 캠페인 광고
▲ 에너지 부국 대한민국, 원자력발전이 만들어 가고있습니다 |
▲ 일본 롯카쇼무라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2] |
▲ 소중한 에너지 유산, 원자력발전 |
▲ 행복에너지, 원자력발전[3] |
▲ 공익광고 - 꿈을 키우는 희망 에너지, 원자력 |
▲ 공익광고 - 우리 일상이 꺼지지 않도록!(feat. 모범택시 이제훈)[4] |
▲ 공익광고 - 지구를 살리는 에너지 센스 , 당신의 에센스를 보여주세요. |
▲ 공익광고 - 세상은 지금 제로로 가는 중! (ZERO로 GREEN 세상) |
5. 여담
[1] EBS만 제외가 되었다.[2] 일본 아오모리현에 위치한 롯카쇼무라(롯카쇼촌)를 방문한 탤런트 겸 개그맨 이경규가 롯카쇼무라가 잘 살게 된 비결은 마을과 환경을 함께 살린 방사성 폐기물 관리 시설 때문이라고 TV광고 방영이 되었다.[3] 2002년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현.서울교통공사)의 현직 도시철도 기관사가 광고에 출연하였다. 광고자막에 원자력 발전이 우리가 쓰는 전기의 40%를 만듭니다.가 기재되어 있고 나레이션에는 그는 매일 아침 가장 먼저 원자력을 만난다고 했다. ## 광고에 등장한 전기철도가 원자력도 전기로 바꿔서 쓰고 있음을 보여주었다.[5] 광고에 등장한 7000호대 전동차의 구동음은 알스톰 VVVF-GTO 구동음이며 1차분과 2차분이 바뀌는 옥의 티가 있다.[4]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 공공기관 공동명의으로 제작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