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2 16:46:05

대벌레

대벌레목
Stick insect
파일:Phasmatodea.jpg
학명 Phasmatodea
Jacobson & Bianchi, 1902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Animalia)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대벌레목(Phasmatodea)

파일:Phasmatodea1.jpg

1. 개요2. 형태3. 생태4. 좁은 의미의 대벌레5. 분류6. 은평구 봉산 무더기 출몰 사건7. 대중매체8. 둘러보기

1. 개요

Phasmatoptera, Phasmida[1]

대벌레목에 속하는 곤충들을 아울러 부르는 총칭. 전체적인 모습은 나무줄기 또는 잎과 흡사하다. 이 때문에 영어 명칭은 보통 Stick insect 또는 Walking stick, 아예 Stick Bug라고도 한다. 잎을 흉내내는 종류는 Leaf insect.[2]

곤충들 중에서 늦게 출현한 편이다.[3] 비교적 젊은 분류군. 메뚜기목과 근연이다.

2. 형태

몸은 보통 가늘고 긴 대나무모양(원통형)이거나, 나뭇잎모양인 의태곤충이다. 초식성 곤충으로 크기는 중형내지 대형, 특대형이며, 동남아시아에는 몸길이가 30 cm를 넘는 종도 있다. 수컷은 암컷보다 더 작고, 더 가늘며 형태가 현저하게 다르다. 머리는 전구식이다. 입은 저작형, 식식성으로 큰턱은 잘 발달하였다. 더듬이는 짧거나 매우 길며, 사상이다. 길이와 마디 수는 종에 따라 다양하다. 겹눈은 작지만 잘 발달하였다. 홑눈은 유시형 수컷만 2-3개가 있고, 없는 종도 있다.

파일:대벌레의 날개와 배마디 말단부.jpg
앞가슴은 짧고, 가운데가슴, 뒷가슴은 보통 가늘고 길며, 뒷가슴은 제1배마디와 유합하였다. 많은 종들의 앞가슴에 한 쌍의 악취선이 있으며, 악취샘이 나오는 구멍은 앞다리 밑마디의 앞쪽에 있다.[4] 유시형의 수컷 날개는 정상적이다. 앞날개는 작으며 전연맥은 아전연부에 있다. 뒷날개는 크고 날기에 알맞다. 반면 암컷은 퇴화하였다. 유시형 중 어떤 종은 몸이 위 아래로 납작하고, 무늬가 있어서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나뭇잎 모양인 종류도 있다. 날개는 대부분 퇴화하였지만 있는 경우 앞날개는 뒷날개보다 짧으며 다소 두껍다. 날개에 관련해서 무시형과 단시형이 있다. 다리는 보행용으로 모두 같은 모양으로 가늘고 길며, 나뭇잎처럼 넓은 종도 있다. 밑마디는 작고 좌우 폭이 넓게 분리되어 있다. 앞다리 넓적마디의 기부는 굽어있다. 발목은 5마디 또는 3~4마디이다.

배는 11마디인데 제11마디는 항문윗판과 한 쌍의 항문옆판 및 분절하지 않은 미모 뿐이다. 수컷의 마지막 배마디와 외부생식기는 다양한 모양이며, 외부생식기는 좌우비대칭으로 제9배마디(복판) 속에 숨겨져 있다. 어떤 종의 파악기는 미모가 이차적으로 변형된 것이다. 산란관은 짧고, 제8배마디(복판) 밑에 숨겨져 있다. 미모는 짧고, 마디는 없다.

대부분의 대벌레들은 의태 외의 방어수단은 가지고 있지 않지만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일부 대벌레류들은 몸에서 산을 발사해서 천적을 쫓아낼 수 있다.

3. 생태

식성은 예외없이 초식성이고 대부분은 야행성이다. 주로 높은 나무에서 생활하며 열대나 아열대 지방에 많이 분포한다. 대부분의 종이 나뭇가지로 의태하나 일부의 대벌레들은 나뭇잎으로 의태하기도 하며(가랑잎벌레 등), 또 다른 종의 경우 화려한 뒷날개로 위협하거나 다리를 벌리고 몸을 일으켜 세워 커 보이는 것처럼 보이게 하려고 한다.또한 데블라이더 스틱처럼 악취나 산을 내뿜어 천적으로부터 보호하기도 하고, 도마뱀 꼬리처럼 도래마디와 넓적다리마디 사이를 끊어버리기도 하며, 땅에 떨어져 사체 강직 마냥 죽은척을 하기도 한다. 특히 낮에는 움직이지 않고 밤에 활동한다. 어떤 종은 몇 시간에 한 번씩 몸의 색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대부분의 종은 암수 차이가 분명하며, 암컷 혼자 단위생식을 하는 종도 많다.

알은 1개씩 땅에 떨어뜨리며 낳고,[5] 알의 모양은 식물의 종자와 비슷하여, 태생부터 타고난 대단한 의태곤충임을 보여준다. 한 마리의 암컷이 낳은 알이라도 발생시간은 서로 다른데 2년 이상 걸리는 것도 있다. 알은 두꺼운 껍질에 쌓여있고, 직사각형으로 1개씩 낳는다. 어떤 종의 알은 뚜껑에 뿔이나 가시모양의 돌기가 있어 눈에 잘 띤다. 새끼가 알에서 나오면 부화한 유충(약충)의 성장기간은 여러 달 걸리며, 암컷은 6번 탈피하지만 수컷은 한두 번 덜 한다. 소변태를 한다.[6]

대벌레는 깊은 숲 속에 가야만 겨우 보일 수준이지만 시기와 장소에 따라 대발생해 활엽수 잎을 갉아먹어 삼림 해충으로 간주되기도 한다.(2014년도 기사, 2020년도 기사)

세계에서 긴 곤충 1, 2위가 모두 대벌레 종류이다. 2008년 발표된 보르네오산 대벌레인 '찬스 메가스틱(Chan's megastick, Phobaeticus chani)'이다. 기준표본 암컷의 체장이 끝에서 끝까지 무려 56.7 cm 였다고. 또 중국 남부 광시 좡족 자치구에서 2014년에 발견된 대벌레는 62.4 cm으로 세계최장 기록을 갱신하였다. 발견자인 자오 리(Zhao Li) 박사의 이름을 따 Phryganistria chinensis Zhao라 명명된 이 대벌레는 새끼의 길이도 26 cm일 정도로 후덜덜하게 길다. 2017년 다시 세계에서 가장 긴 곤충이 갱신되었다. 위의 대벌레의 새끼인데도 무려 64 cm로 현존하는 가장 긴 벌레이다. http://news.zum.com/articles/39685461 이 기록은 심지어 고생대의 화석으로 남은 곤충들보다 더 크다고 여겨진다.

오세아니아와 뉴질랜드 사이에 로드 하우라는 섬이 있는데 그 섬에 로드하우대벌레(Dryococelus australis)라는 토착 대벌레가 서식했다. 몸길이는 25cm로 위 사례의 대벌레들보다 짧은 편이나 무게는 25g으로 장수풍뎅이보다 무거운 종으로 생김새도 기다라고 얇은 친적들과 달리 나무가재라고 불릴 정도로 체격이 크고 다리도 육덕지게 굵다. 그러나 백인이 로드 하우 섬에 상륙할 때 가 유입되는 바람에 섬에 서식하던 로드하우대벌레는 절멸하고 만다. 이후 2001년 볼즈 피라미드라는 로드 하우 섬에서 20km 떨어진 바위 섬에서 로드하우대벌레들이 발견되어 현재 호주 정부에서 복원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한다.

오래 전부터 애완곤충으로 길러지던 장수풍뎅이사슴벌레, 최근 들어 반려동물화가 급격히 진행중인 사마귀와는 달리 국내에서는 아직 전문적으로 사육하지는 않는다. 사육하기엔 난이도가 높고 인지도가 낮기 때문. 심지어 2020년대부터는 대량으로 발생하여 아예 해충으로 취급당하고 있다. 하지만 곤충산업 육성을 위해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는 대벌레 대량사육 기술을 민간에 이전하기도 했다.(해당기사) 하지만 해외에서는 다양한 대벌레를 사육하고 판매하며 시장도 큰 편이다.

4. 좁은 의미의 대벌레

대벌레(나뭇가지벌레)
Stick insect
파일:Ramulus irregulariterdentatus.jpg
학명 Ramulus irregulariterdentatus
Brunner von Wattenwyl, 1907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Animalia)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대벌레목(Phasmatodea)
대벌레과(Phasmatidae)
대벌레속(Ramulus)
대벌레(R. irregulariterdentatum)

파일:대벌레.jpg

대벌레목 대벌레과의 곤충으로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몸길이는 7~10 cm로 몸은 가늘고 길며 녹색 또는 황갈색이다. 머리는 앞가슴보다 길고 앞쪽이 뚜렷하고 굵다. 암컷은 머리꼭대기에 가시 1쌍이 있고, 더듬이는 실 모양으로 앞다리 종아리마디의 절반 정도로 짧다. 앞가슴은 작고 길며 가로홈과 세로홈이 뚜렷하다. 가운뎃가슴은 앞가슴의 약 5배나 길며, 뒷가슴은 가운뎃가슴보다 짧다.

날개는 퇴화해 날지 못하고 다리는 걷는 데 편리하게 발달했다. 앞다리 종아리마디 밑에는 삼각형의 나뭇잎 모양 조각들이 줄지어 나는데, 가운뎃다리와 뒷다리의 종아리마디 밑의 끝에는 이빨 모양 돌기가 3~4개 있다.

숲 속 나무나 풀 가지에서 생활하며, 적의 습격을 받으면 다리를 떼어버리고 달아나거나 의사행동을 한다. 상처를 입은 촉각은 탈피할 때마다 조금씩 길어지지만 4마디 이상은 더 길어지지 않는다. 먹이로는 상수리나무, 참나무 등 활엽수 잎을 먹는다. 때문에 가로수나 과수, 기타 농작물에 피해를 주어 농업 해충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7월부터 늦가을까지 산란하며, 알은 편평한 풀씨 모양으로 표면에 솟아오른 부분이 있고 알 뚜껑이 있다. 알 상태로 월동하다 4~5월에 부화하며 6~10월에 성충이 나타난다. 불완전변태를 하며 환경조건에 따라 단성생식을 하므로 수컷은 야외에서 채집하기 어렵다.

5. 분류

현재 2300여 종이 알려졌다. 보고된 바에 따르면 국내에는 3속 5종이 있다.
  • 아가테메라아목(Agathemerodea): 아가테메라속(Agathemera) 단 한 속만을 포함하며 8종이 속해 있다.
  • 티메마아목(Timematodea): 가장 원시적인 대벌레의 한 분류군. 다른 대벌레들과 달리 몸길이가 짜리몽뚱하다. 티메마과(Timematidae)만이 알려져 있으며 이중 유일한 속인 티메마속(Timema)은 미국 서부에 서식하는 곤충이다.
    파일:Timema.jpg
  • 대벌레아목(Verophasmatodea): 국내에 사는 대벌레는 여기에 끼어있다. 잎사귀벌레도 마찬가지.
    • 날개대벌레과(Diapheromeridae)[7]
    • 대벌레과(Phasmatidae)[8]
    • †Archipseudophasmatidae
    • Aschiphasmatidae
    • Damasippoididae
    • Prisopodidae
    • Bacillidae
    • Anisacanthidae
    • Heteropterygidae: 세계에서 가장 무거운 대벌레이자 가장 큰 알을 낳는 곤충인 딜라타타왕대벌레(Heteropteryx dilatata)가 속한 과이다.
      파일:Heteropteryx dilatata.jpg
    • Heteronemiidae
    • 잎사귀벌레과(Phylliidae): 그 유명한 잎사귀벌레가 속해 있는 과이다.
      파일:Phylliidae.jpg
    • Pseudophasmatidae

6. 은평구 봉산 무더기 출몰 사건


2020년 7월 은평구 봉산에서 대벌레들이 무더기로 출몰했다.관련 기사 유난히 따뜻했던 겨울이 대벌레 알들을 다 죽이지 못해 개체 수가 급증했으며, 하필이면 봉산인 이유는 봉산에 유난히 기주 식물이 다량 서식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대벌레 대량 발생 소식에 생물 유튜버들이 봉산으로 모여드는 진풍경 아닌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했으며, 심지어 한약재를 취급하는 업자들까지 대벌레를 잡기 위해 찾아오기도 했다.

이러한 대벌레 대량 출몰 사례는 과거 강원도경상북도 같은 지방의 산지에서 일어난 바 있지만 이렇게 시내에 인접한 야산에서 발생한 적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한다. 원래 대량발생하는 해충은 아닌지라 특별히 대벌레를 표적으로 한 방제절차 같은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고 한다.

7. 대중매체

  • 닥터후에 나오는 12대 닥터의 작중 별명이 시꺼먼 대벌레이다. 간혹 마른 사람을 대벌레에 빗대어 놀리기도 한다.
  • 라바에선 '아이보리'라는 대벌레 캐릭터가 나오며, 풍뎅이뎅이에서도 '척이'라는 대벌레 캐릭터가 등장한다.
  • 벅스라이프에 나오는 서커스 단원 슬림이 대벌레이다. 일명 걸어다니는 막대기.
  • 닥터 두리틀에 나오는 두리틀 박사의 동물들 중 하나인 스틱스가 해당 대벌레이다.
  • Creepy Castle의 보스 몬스터 중 하나인 스틱버그(Stickbug)가 대벌레이다. 기존의 대벌레와는 달리 가래떡 같은 귀여운 모습이다.

8. 둘러보기

곤충의 분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곤충강
단관절구류 돌좀목
쌍관절구류 무시아강 좀목
유시아강 고시하강 하루살이목, 잠자리목
신시하강 외시상목 메뚜기계열 강도래목, 대벌레목, 망시목, 메뚜기목
무시귀뚜라미붙이목, 민벌레목, 집게벌레목, 흰개미붙이목
노린재계열 노린재목, 다듬이벌레목, 총채벌레목
내시상목 벌목
무옆허군 그물날개상목 그물날개군 풀잠자리목, 뱀잠자리목, 약대벌레목
딱지날개군 딱정벌레목, 부채벌레목
긴날개군 치장날개상목 날도래목, 나비
정자펌프군 파리목, 밑들이목, 벼룩목
}}}}}}}}} ||



[1] Phasmid는 그리스어로 유령이라는 뜻이다. 나뭇가지처럼 생긴 대벌레가 움직이는 모습을 보고 유령이라고 착각한다고 붙인 이름인 듯하다.[2] 잎벌레는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곤충. 영어로는 leaf beetle.[3] 곤충은 대부분 고생대 후반인 데본기페름기 때 출현했고, 대벌레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처음 출현했다. 더 늦게 출현한 곤충은 쥐라기에 출연한 나비목, 백악기에 출현한 사마귀바퀴벌레,(페름기의 바퀴벌레는 지금의 바퀴벌레가 아니다.) 그리고 팔레오세 때 출연한 나비다.[4] 다만 대부분 강도가 미미한 수준이라 떼로 집어넣은 경우가 아닌한 어지간해선 손으로 잡아서 코에 갖다대도 맡기 힘들다.[5] 이렇게 해서 총 100~1200개 쯤 낳는다.[6] 불완전변태의 한 종류이다. 새끼가 성충과 아주 모습이 흡사한데, 성장하면서 체형이 서서히 변한다.[7] 날개대벌레과의 국내 분류는 아과인 Necrosciidae이다. 아과 취급은 해외 분류이므로 참고할 것.[8] 국내에서 긴수염대벌레과(Lonchodidae)는 과이지만 해외 분류에서는 아과로 취급하므로 참고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