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석 筆石 | Graptolite | |
학명 | Yoda purpurata Priede et al. 2012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반삭동물문 Hemichordata |
강 | 익새강 Pterobranchia |
아강 | 필석아강 Graptolithina |
|
1. 개요
고생대 캄브리아기 바다에 처음 나타난 반삭동물의 집단으로, 오르도비스기와 실루리아기에 걸쳐 많은 개체들이 화석으로 남아 고생대 초반의 표준화석이기도 하다. 필석이라는 이름은 화석의 형태가 마치 글씨를 쓴 것과 비슷하다고 하여 붙었다.2. 상세
사실 필석은 현재도 생존하고 있는 집단이지만 화석이 더 유명하다. 온전하게 보존된 필석 화석은 사실상 없다고 봐도 좋고, 껍데기 부분만 남은 상태로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필석 개충에 대해서는 밝혀진 것이 얼마 없다. 심지어 이것이 어떻게 생긴 생물이었는지도 제대로 된 합의가 없을 정도인데, 일부 상상화의 경우 해파리 비슷한 형태로 그려져 있어서 해파리와 비슷한 생물인 것으로 아는 경우도 있다.[1]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반삭동물문의 익새강에 속한다고 여겨진다.[2] 필석아강은 목이 불명인 미분류 과들과 부유형인 필석목과 고착형인 수지목, 현존하고 있는 간벽충목으로 나뉜다. 간벽충목에 속한 간벽충속 1속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멸종했다.[1]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따르면 둘은 동물이라는 것 말고는 공통점이 없다시피할 정도로 아예 다른 생물이다.[2] 과거에는 필석강으로 별도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익새강의 필석아강으로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