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쟁이사슴벌레(광사슴벌레) Odontolabis | |
학명 | Odontolabis Hope, 1842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강 | 곤충강(Insecta) |
목 | 딱정벌레목(Coleoptera) |
과 | 사슴벌레과(Lucanidae) |
속 | 멋쟁이사슴벌레속(Odontolabis) |
Odontolabis lacordairei
Odontolabis cuvera
[clearfix]
1. 개요
딱정벌레목 사슴벌레과에 속하는 사슴벌레의 한 속으로써 약 61개 종과 아종으로 이루어져있다. 국내에서는 '멋쟁이사슴벌레'(가칭)로 불리는데 이는 일본명인 '츠야쿠와가타(ツヤクワガタ)을 의역한 것이다. 직역하면 광사슴벌레, 광택사슴벌레가 된다.[1] 라틴어 오돈톨라비스는 범접할 수 없는 이빨로 풀이 가능하다. 이 속의 대표적인 특징을 생각하면 아주 어울리는 이름이다. 이 속의 종들은 같은 종이라 할지라도 크기에 따라 큰턱의 변이가 매우 심하다. 또한 성질이 굉장히 호전적이다.거의 모든 종이 동남아시아에 서식한다. 그 중에서도 옛 순다랜드 대륙과 그 북쪽에 맞닿았던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크기도 생김새도 무척 다양하다. 또한 거의 과거의 모습에서 큰 변화가 없는 종이기도 하다.
사육이 힘들어서 그렇지 야생에서는 번식량이 대단해서 개체수가 많아 대체로 저렴하다. 때문에 곤충표본의 입문종으로도 많이 활용된다.
가장 큰 멋쟁이사슴벌레는 부르마이스터멋쟁이사슴벌레로 105mm 이상의 크기를 자랑한다.
2. 분류
Calcodes라는 속명으로도 불린다. Odontotyranus 아속과 Calcodes 아속 그리고 Dalmani의 아속으로 나누어 진다. Odontotyranus 아속은 전체적으로 검은 몸에 배갑과 머리쪽에 삼각형 혹은 양 측면의 테두리에 강한 색채가 나타난다. Calcodes속은 청동색의 작고 평평한 체형. dalmani 계열 아속은 필리핀과 대만, 인도차이나에 서식하는 얇고 긴 턱과 전채적으로 검고 강한 광택을 가진다.근연속으로는 네오루카누스(Neolucanus) 속이 있으며 먼 친척으로는 왕사슴벌레 속(Dorcus), 넓적사슴벌레 속[2](Serrognathus) 톱사슴벌레속(Prosopocoilus)속이 멋쟁이사슴벌레속의 친척인 것으로 알려진다.
3. 종 분류
한국에는 살지 않는 곤충으로 모두 정식이름이 아니다..- Odontolabis alces (Fabricius, 1775) - 필리핀 제도
- Odontolabis antilope (von Rothenburg, 1901) - 보르네오 섬, 수마트라 섬
- Odontolabis brookeana (Vollenhoven, 1861) - 보르네오 섬, 수마트라 섬, 자와 섬
- Odontolabis burmeisteri (Hope, 1841) - 인도 남부에 서식한다. 최대 크기 109mm로 이 속에서 가장 큰 종이다.
- Odontolabis camela (Olivier, 1789) - 필리핀 제도
- Odontolabis castelnaudi (Parry, 1862) - 말레이 반도, 보르네오 섬, 수마트라 섬
- Odontolabis cuvera (Hope, 1842) - 인도, 베트남, 중국, 라오스
- Odontolabis dalmani (Hope & Westwood, 1845) - 수마트라 섬, 인도차이나 반도, 말레이 반도, 칼리만탄 섬, 라우트 섬, 타렌바 섬, 팔라완 섬, 네그로스 섬, 파나이 섬, 시베르트 섬, 니아스 섬, 시무르 섬, 바츠 제도, 멘타 웨이 제도, 민도로 섬, 수라 제도, 타구란탄 제도, 펠렝 섬, 판쿠르 섬, 완기완기 섬[3]
- Odontolabis delesserti (Guérin-Méneville, 1843) - 인도
- Odontolabis eremicola (Mollenkamp, 1905) - 보르네오 섬
- Odontolabis femoralis (Waterhouse, 1887) – 타이, 보르네오 섬, 말레이 반도, 수마트라 섬, 칼리만탄 섬, 팔라완 섬
- Odontolabis gazella (Fabricius, 1787) - 필리핀 제도, 말레이 반도, 보르네오 섬, 수마트라 섬
- Odontolabis hitam (Nagai, 1986) - 수마트라 섬
- Odontolabis imperialis (Mollenkamp, 1904) - 필리핀 제도, 사라왁 주, 사바 주
- Odontolabis lacordairei (Vollenhoven, 1861) - 수마트라 섬
- Odontolabis latipennis (Hope & Westwood, 1845) - 말레이 반도
- Odontolabis leuthneri (Boileau, 1897) - 보르네오 섬
- Odontolabis lowei (Parry, 1873) - 보르네오 섬, 수마트라 섬, 자와 섬
- Odontolabis ludekingi (Vollenhoven, 1861) - 말레이 반도, 수마트라 섬
- Odontolabis macrocephala (Lacroix, 1984) - 타이, 베트남
- Odontolabis micros (de Lisle, 1970) - 술라웨시 섬
- Odontolabis mollenkampi (Fruhstorfer, 1898) - 수마트라 섬
- Odontolabis mouhoti (Parry, 1864) - 인도차이나 반도
- Odontolabis pareoxa (Bomans & Ratti, 1973) - 인도
- Odontolabis picea (Bomans, 1986) - 수마트라
- Odontolabis platynota (Hope & Westwood, 1845) -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 Odontolabis quadrimaculata (Kriesche, 1920) - 수마트라 섬
- Odontolabis relucens (Mollenkamp, 1900) - 수마트라 섬
- Odontolabis siva (Hope & Westwood, 1845) – 인도, 타이완 섬, 말레이 반도, 중국 남부, 베트남
- 한국명은 시바멋쟁이사슴벌레. 이름 때문에 유머거리가 되기도 한다(...).
- Odontolabis sommeri (Parry, 1862) – 수마트라 섬, 칼리만탄 섬, 말레이 반도,
- Odontolabis spectabilis (Boileau, 1902) - 수마트라 섬
- Odontolabis stevensi (Thomson, 1862) - 술라웨시 섬[4], 산기르 제도
- Odontolabis versicolor (Didier, 1931) - 인도
- Odontolabis vollenhoveni (Parry, 1864) - 보르네오 섬
- Odontolabis wollastoni (Parry, 1864) – 말레이 반도, 수마트라 섬
- Odontolabis yasuokai (Mizunuma, 1994) - 수마트라 섬
4. 유충의 사육과 생태
유충의 생김새는 원시 사슴벌레와 왕사슴벌레속의 중간형태이다. 야생에서는 썩은 나무 밑의 한국의 부엽토보다는 약간 더 썩은 정도의 흙에 산다. 유충의 생활 반경은 매우 좁으며 턱은 중간에 아래로 굴곡진 형상이라서 제대로 나무를 씹지 못한다.외국곤충에 대한 정보와 지식이 제한되고 빈약한 국내에서는 이들의 유충은 육식을 한다고 잘못 알려져 있었으나, 이들은 오히려 최종 분해자 역할을 한다. 이들의 유충은 왕사슴벌레, 넓적사슴벌레 등의 다른 사슴벌레와 곤충들에 의해 거의 다 분해되어서 흙이 되어가는 수준의 나무나 그러한 흙, 혹은 적색 부후균으로 인해 부식된 나무, 이러한 나무가 부식된 흙과 무기물이 섞인 토양이 혼합된 곳-거의 분해의 마지막 단계에 다다른 식물성 유기물에서 생활하며, 생활 방식도 자신만의 고유한 방을 만들고, 그 안에서 방의 벽에 배설물과 체액을 섞어서 장내공생균을 배양한다. 이러한 습성으로 인해 톱밥의 교체는 이들에게 있어서 큰 스트레스일 뿐만 아니라 새로운 방을 만들고 공생균을 배양하기 위해 체력 또한 심하게 소모하게 되며, 사망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드물지 않게 일어난다.
일전의 육식에 대한 속설도 이러한 자신만의 공간을 만드는 습성 때문으로 보이는데, 이들이 만드는 공간은 상당히 넓으며 영역성이 강하기에 동족상잔이 벌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충분한 공간이 주어진다면 서로의 공생균을 공유하여 오히려 성장에 도움이 되기에, 영역이 넓지 않은 초기 유충 단계에서는 합사 사육을 진행하기도 한다. 또한 톱밥 및 균사에 프레스가 필요한 대중적인 왕사슴벌레, 넓적사슴벌레, 톱사슴벌레 등의 계통과 달리 이들의 유충에게는 프레스가 오히려 독이 된다.
요약하자면 멋쟁이사슴벌레속의 유충이 사육이 어려운 이유는 우선 종마다 분해가 많이 진행된 톱밥, 적색부후균 발효 나무, 무기물성 흙 등 천차만별인 먹이, 높은 입수 난이도, 자신만의 고유한 공간을 가지며 이곳에서 계속해서 공생균을 배양하고 섭식하는 특성상 톱밥 교체가 치명적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의 서식지는 연중 비가 오는 열대우림의 고산지대라서 대다수의 종이 선선한 날씨와 진흙에 가까운 상태의 흙에 산란하기에 온도와 습도에 대해 민감하고, 와인셀러와 같은 온도조절 장치는 반쯤 필수이다.
일본 사육가https://ameblo.jp/tomtom2426/entry-12316059980.html에 의하면, 종별 사육 난이도는 다음과 같다.
1.dalmani, alces, bellicosa, siva, camela 종
2.burmeisteri, versicolor,delesserti 종
3.mouhoti,cuvera,femoralis,stevensi,gazella 종
4.lacordairei,spectabilis,yasuokai 종
5.ludekingi,wallastoni 종
6.castelnaudi,micros 종
7.sommeri,brookeana,cypri,hitam 종
8.mperialis, leuthneri 종
9.striata,cephalotes 종
10.invitabilis 종
1-3까지는 한번 다른 사슴벌레 종에게 사육한 톱밥을 활용하거나 부숙도가 높은 시판 톱밥으로도 번식이 어렵지 않으며, 4-5는 산란이 다소 까다로운(어느정도 부숙된, 수분감이 많아 질척한 톱밥)종이나 유충 사육은 무난한 종,6-8은 적색 부후균 매트, 무기질성 흙,미립자의 부숙이 많이 된 톱밥을 요구하는 사육이 어려운 종, 9-10은 특수한 매트를 요구하며, 적색 부후균이 필수로 사용되는 종이다.
https://amateurbreeding.livedoor.blog/ 사육이 어렵지 않은종들의 사육기가 있는 블로그
https://blog.goo.ne.jp/hiphop2121/e/c1c259cbb22d36575f91a8e23a521bee
고난이도종에 속하는 brookeana,invitabilis종 및 neolucanus 속 사슴벌레 사육법 및 이들의 사육에 필요한 매트 제작법이 있다.
인도에 서식하는 4종('cuvera'의 아종과 'burmeisteri', 그 가까운 친척인 'versicolor'와 'delesserti')의 사육은 그나마 할만한 편이라고 한다. 또한 'lacordairei'와 'dalmani' 아종 대부분 역시 난이도가 쉬운 편이라 일본의 곤충샵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다. 물론 한국에서는 외국곤충 수입 자체가 금지이므로 참고만 하자.https://blog.goo.ne.jp/hiphop2121/e/c1c259cbb22d36575f91a8e23a521bee
고난이도종에 속하는 brookeana,invitabilis종 및 neolucanus 속 사슴벌레 사육법 및 이들의 사육에 필요한 매트 제작법이 있다.
[1] 그래서 예전에는 '광사슴벌레'라고도 불렸다.갑충왕자 무시킹의 국내 방송에서도 '광사슴벌레'로 소개되었다.[2] 넓적사슴벌레속(Serrognathus)은 원래 왕사슴벌레속(Dorcus)에 포함되었던 속이고 실제로도 매우 가까운 근연관계(넓적사슴벌레속의 alcides종과 taurus종 등의 원시 넓적사슴벌레가 왕사슴벌레속에서 떨어져 나왔다는 증거가 되고 있다)이므로 일본 위키 원문에는 없었지만 해당 속과의 근연관계를 인정.[3] 다양한 섬에 10가지의 아종이 서식한다. 기라파톱사슴벌레가 9가지 아종이란걸 생각해보면 어마어마한 다양성이다.[4] 술라웨시 곳곳에 4가지의 아종이 서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