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5 04:55:31

국립경찰박물관

경찰박물관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국회휘장.svg 국회
국회박물관
파일:국가정보원 로고.svg 국가정보원
안보전시관
파일:정부상징.svg 기획재정부
한국조폐공사 화폐박물관
관세청 관세박물관
국세청 국립조세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과학관◈ 대전(중앙) · 과천 · 서울(어린이) · 광주 · 대구 · 부산 · 원주(강원)2025년 예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과학관
우정사업본부 / 서울중앙우체국 우표박물관
우정사업본부 / 우정공무원교육원 우정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외교부
외교사료관
파일:정부상징.svg 통일부
국립6.25전쟁납북자기념관
파일:정부상징.svg 법무부
검찰청 검찰역사관 · 국가형사사법기록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방부
전쟁기념사업회 전쟁기념관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해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박물관
공군사관학교 국립공군박물관
육군부사관학교 국립전사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행정안전부
경찰청 국립경찰박물관
소방청 국립소방박물관2026년 예정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파일:정부상징.svg 국가보훈부
독립기념관 ·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 호남호국기념관
파일:정부상징.svg 문화체육관광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국립한글박물관 · 국립한국문학관 · 국립세계문자박물관
국립박물관 서울(중앙) · 춘천 · 청주 · 공주 · 부여 · 전주 · 익산 · 광주 · 나주 · 대구 · 경주 · 진주 · 김해 · 제주 · 충주2026년 예정
국립현대미술관 과천(본관) · 서울 · 덕수궁 · 청주 · 대전2026년 예정
국립민속박물관 서울(본관) · 파주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 · 국립무형유산원 ·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 충무공이순신기념관 · 세종대왕역사문화관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천연기념물센터
국립해양유산연구소 해양유물전시관(목포(본관) · 태안)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
국립중앙극장 공연예술박물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박물관
국민체육진흥공단 국립스포츠박물관2026년 예정
대한체육회 한국체육박물관
태권도진흥재단 국립태권도박물관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박물관
한국저작권위원회 국립저작권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농림축산식품부
국립농업박물관
한국마사회 말박물관
산림청 국립산악박물관
산림청 /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국립농업과학원 잠사곤충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보건복지부
국립소록도병원 한센병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성평등가족부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국립여성사전시관
파일:정부상징.svg 국토교통부
국립항공박물관 · 국토발전전시관
국토지리정보원 국립지도박물관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박물관
한국철도공사 철도박물관
새만금개발청 국립새만금간척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해양수산부
국립해양박물관 · 국립인천해양박물관 · 국립해양과학관 · 국립해양수산박물관2030년 예정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씨큐리움
한국항로표지기술원 국립등대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기후에너지환경부
기상청 국립기상박물관 · 국립밀양기상과학관 · 국립충주기상과학관 · 국립대구기상과학관 · 국립전북기상과학관
파일:한국은행 심볼.svg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파일:국립박물관단지 흰색 심볼.svg 국립박물관단지
국가기록박물관 · 국립어린이박물관 · 국립도시건축박물관 · 국립디지털문화유산센터 · 국립디자인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정부대전청사 상설 및 특별전시관
발명인의 전당 · 조달전시관 · 정부조달상품문화전시장 · 통계전시관 · 숲사랑체험관 · 국가기록전시관 · 병무역사기록관 · 관세기록관
◈표시가 붙여있는것은 과학관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의 해당하는것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ae193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ae1932;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립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국립항공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국립경찰박물관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한국영화박물관 국토발전전시관
국립민속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 국립기상박물관 국립스포츠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국립어린이과학관 육군박물관
공립
서울역사박물관 한양도성박물관 청계천박물관 동대문역사관
공평도시유적전시관 서울생활박물관 서울우리소리박물관 돈의문역사관
서울시립미술관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서울시립과학관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서대문형무소역사관 강서별빛우주과학관
겸재정선미술관 용산역사박물관 은평역사한옥박물관 서울공예박물관
서울교육박물관 한성백제박물관 성북구립미술관 한국광고박물관
사립
간송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배재학당역사박물관 신문박물관
리움미술관 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 뮤지엄 김치간 대림미술관
화폐박물관 호림박물관
}}}}}}}}} ||
국립경찰박물관
國立警察博物館 |Korean National Police Museum
파일:경찰박물관.jpg
파일:국립경찰박물관 로고.svg
<colbgcolor=#0054a6><colcolor=#fff> 분야 경찰사, 경찰 직무
개관 2005년 10월 14일
규모 지상 4층
운영주체 경찰대학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송원길 162
우편 번호 03166
연락처 02-3150-3681
파일:대한민국 경찰청 휘장.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전시물4. 관람정보5. 가는 방법
5.1. 지하철5.2. 버스
6. 구 경찰박물관7. 여담

1. 개요

경찰박물관 소개 영상

국립경찰박물관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송월길 162에 위치한 국립 박물관이다. 대한민국 경찰의 역사를 보존하고, 경찰공무원의 활동과 업무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공간으로 경찰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함양하고자 대한민국 경찰 창설 60주년인 2005년에 개관하였다. 2005년부터 2021년까지는 종로구 새문안로에 위치해 있었으나, 2021년부터는 함께 새문안로 건물을 사용하던 서울지방경찰청 교통순찰대와 함께 종로구 송월길로 이전했다.

2. 역사

경찰박물관의 역사는 경찰 창설 50주년을 맞아 서울특별시 내자동의 서울지방경찰청 지하에 사료관을 개설해 경찰 관련 자료를 전시한데서 시작됐다. 그러나 질적으로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아 대한민국 경찰 창설 60주년을 맞은 2005년에 서울 종로구 신문로에 경찰박물관이 개설됐다. 개관 당시에는 전국 각지의 경찰청, 경찰대학, 중앙경찰학교에 분산되어 있던 경찰 관련 사료 8천여점을 수집해 소장한 것으로 시작했다. #

2022년 재개관과 함께 드라마 수사반장 특별전이 개최됐다. # # 첫 기획전은 '민주경찰'이었다. # 경찰박물관은 신관 입주와 더불어 소개 영상을 업로드 했다. #

서울지방경찰청 교통순찰대와 같은 건물을 이용하고 있으며, 지상 1층부터 4층까지는 국립경찰박물관이 사용하고 있다.

3. 전시물

경찰박물관 개관 이전까지 각 지방 경찰청, 경찰대학, 경찰인재개발원 등 여러 경찰 기관에 흩어져 있던 경찰 유물을 2005년, 경찰박물관이 개관하며 한 곳으로 모았다. 첫 개관 당시 유물은 8천여점 정도였으나, 세월이 흘러 약 13,000여점의 국내외 경찰 관련 유물을 수집해 소장하고 있다. 경찰의 역사, 장비, 업무 등이 전시되어 있고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2021년에 과거 새문안길의 단독 청사에서 종로구 송월길의 교통순찰대와의 합동 청사로 자리를 옮겼다. 새 경찰박물관은 2021년 4월 8일에 재개관식을 거쳐 개관했다. 건물 규모는 더 커졌고 새 건물로 이사하며 전시개선사업과 함께 전면적인 리뉴얼이 이루어졌다. 때문에 사라진 전시품들도 많다.

2007년 6월부터 2013년 10월까지는 경찰에서 압수한 불법무기류를 전시했었다.

4. 관람정보

오전 9시 30분에 개관해 17시 30분에 종료된다. [1] 국립박물관이라 관람료는 무료다.

5. 가는 방법

5.1. 지하철

  • 3호선 독립문역 3번출구 하차 후 도보 6분
  • 5호선 서대문역 3번출구 하차 후 도보 15분

5.2. 버스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c1d1f><width=25%><bgcolor=red> 광역버스 ||
9709A
, 9703, 9709, 9710, 9710-1, 9709A ||
간선
지선
마을

6. 구 경찰박물관

새문안로 시절 경찰박물관 소개 영상

2021년까지 사용됐던 경희궁 앞 6층짜리 구 경찰박물관 청사는 2024년부터 종로구청 임시별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 # 서울 역사박물관, 돈희문 박물관 마을, 경희궁 바로 근교에 위치해 있었고 서울지방경찰청 교통순찰대와 같은 건물을 공유했다. 13층짜리 건물 중에서 1층에서 6층까지는 국립경찰박물관으로 사용됐다. 2005년 9월 6일에 시범개관했고, 10월부터는 정식 개관해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했다.

2005년부터 2021년까지 16년 동안 누적 관람인원 총 381만명을 기록했다.

7. 여담

  • 개관 시점부터 최소 2012년까지는 사용감이 꽤 있는 뉴 쏘나타 EF 경찰차가 좌우 경광등이 반전된 채 전시되어 있다가 2013년에 SM3로 교체됐다. # # 2025년 시점에서는 전시 차량이 NF 쏘나타로 다시 교체된 상태다.
  • 강원도에도 '강원경찰박물관'이 개관되었다. #
  • 서울중부경찰서에 중부서 경찰역사박물관이 개관되었다. #

[1] 입장 마감은 17시 까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