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7 22:40:53

간송미술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서울 남대문로 한국전력공사 사옥
  1. 서울 구 경기고등학교
  2. 서울 이화여자고등학교 심슨기념관
  3. 대구 효목동 조양회관
  4. 구 대구사범학교 본관과 강당
  5. 청주 내덕동 청주대성고등학교 구 본관
  6. 천주교 청주교구 옥천성당
  7. 대한성공회 진천성당
  8. 청주 문화동 일·양 절충식 가옥
  9. 강경 구 연수당 건재 약방
  10. 서울 구 국회의사당
  11. 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12. 서울공업고등학교 본관
  1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파이퍼 홀
  14. 대구 동산병원 구관
  15. 광주 전라남도청 구 본관
  16. 광주 서석초등학교 본관·별관·체육관
  17. 대전 충청남도청 구 본관
  18. 구 산업은행 대전지점
  19. 구 조흥은행 대전지점
  20. 태백 철암역두 선탄시설
  21. 철원 노동당사
  22. 구 철원 제일교회
  23. 철원 얼음창고
  24. 철원 농산물검사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삼랑진역 급수탑
  1. 서울시청 본관
  2. 건국대학교 구 서북학회 회관
  3. 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
  4. 충청북도청 본관
  5. 대한통운 제천영업소
  6. 옥천 죽향초등학교 구 교사
  7. 진천 덕산양조장
  8. 영동 노근리 쌍굴다리
  9. 강경중앙초등학교 강당
  10. 김제 죽산리 구 일본인 농장 사무소
  11. 목포 정명여자중학교 구 선교사 사택
  12. 함평 구 학교역 급수탑
  13. 군산 동국사 대웅전
  14. 제천 엽연초생산조합 구 사옥
  15. 구 소록도갱생원 검시실
  16. 구 소록도갱생원 감금실
  17. 구 소록도갱생원 사무본관 및 강당
  18. 구 소록도갱생원 만령당
  19. 구 소록도갱생원 식량창고
  20. 구 소록도갱생원 신사
  21. 구 소록도갱생원 등대
  22. 소록도 구 녹산초등학교 교사
  23. 소록도 구 성실중고등성경학교 교사
  24. 구 소록도갱생원 원장 관사
1.#76 파주 구 장단면사무소
  1. 경의선 구 장단역지
  2. 경의선 장단역 증기기관차 화통
  3. 경의선 장단역 죽음의 다리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덕수궁 석조전 동관[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덕수궁 석조전 서관[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덕수궁 정관헌[A]}}}
  1. 창경궁 대온실
  2. 원서동 고희동 가옥
  3. 계동 배렴 가옥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누상동 이중섭 가옥}}}
  1. 홍지동 이광수 별장 터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통인동 이상 가옥}}}
  1. 평창동 박종화 가옥
  2. 홍파동 홍난파 가옥
  3. 서울 돈암장
  4. 의릉 구 중앙정보부 강당
  5. 배화여자고등학교 생활관
  6. 광주 조선대학교 본관
  7. 광주수창초등학교 본관
  8. 전남대학교 인문대 1호관
  9. 광주교육대학교 본관
  10.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대전지점
  11. 한국전력 대전보급소
  12. 대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구 충청지원

[A] 사적 제124호 덕수궁으로 통합[A] [A]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대전 충청남도청 구 관사 1·2·5·6호와 부속창고
  1. 울산 구 상북면사무소
  2. 울산 언양성당과 사제관
  3. 울산 구 삼호교
  4. 울산 남창역사
  5. 울산 울기등대 구 등탑
  6. 춘천 강원도지사 구 관사
  7. 구 홍천군청
  8. 화천 수력발전소
  9. 화천 꺼먹다리
  10. 태백 장성이중교
  11. 철원 금강산 전기철도교량
  12. 제주 이승만별장
  13. 목포 양동교회
  14. 여수 장천교회
  15. 여수 마래 제2터널
  16. 구 함평성당
  17. 함평 월호리 일본식 가옥과 창고
  18. 영광 법성리 일본식 여관
  19. 구례읍사무소
  20. 구례 구 방광국민학교 교사
  21. 구 곡성역사
  22. 순천 매산중학교 매산관
  23. 구 순천선교부 외국인 어린이학교
  2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순천 구 선교사 코잇 가옥[4]}}}
1.#126 순천 구 선교사 프레스턴 가옥
  1. 순천 구 남장로교회 조지와츠 기념관
  2. 순천 구 원창역사
  3. 나주 영산포 자기수위표
  4. 장흥 예양리 일본식 가옥
  5. 장흥 기양리 일본식 가옥
  6. 구 보성여관
  7. 서울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 선교교육원
  8. 서울 동선동 권진규 아틀리에
  9. 서울 구 경성방직 사무동
  10. 서울 구 신촌역사
  11. 구 철원 제2금융조합 건물 터
  12. 원주역 급수탑
  13. 원주 원동성당
  14. 원주 흥업성당 대안리공소
  15. 삼척 성내동성당
  16. 동해 구 상수시설
  17. 고성 합축교
  18. 괴산군수 관사
  19. 창녕 남지철교
  20. 광주 장덕동 근대 한옥
  2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거창 경덕재}}}
  1. 산청 특리 근대 한옥
  2. 구 통영군청
  3. 통영 문화동 배수시설

[4]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 제259호로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밀양 교동 근대 한옥
  1. 밀양 퇴로리 근대 한옥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진주 하촌동 남인수 생가}}}
  1. 진주 옥봉성당
  2. 구 제주도청사
  3. 서귀포 천제연 관개수로
  4. 남제주 구 대정면사무소
  5.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수피아 홀
  6.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커티스 메모리얼 홀
  7. 철원 수도국 터 급수탑
  8. 춘천 소양로성당
  9. 홍천성당
  10. 횡성 풍수원성당 구 사제관
  11. 구 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
  12. 원주 구 반곡역사
  13. 구 태백등기소
  14. 태백경찰서 망루
  15. 구 철도청 대전지역사무소 보급창고 3호
  1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대전 선화동 구 사범부속학교 교장 사택}}}
  1. 구 제일은행 여수지점
  2. 서울 누하동 이상범 가옥과 화실
  3. 전주 신흥고등학교 강당과 본관 포치
  4. 전주 중앙동 구 박다옥
  5. 전주 다가동 구 중국인 포목상점
  6. 정읍 신태인 구 도정공장 창고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대구 대봉배수지
  1. 대구화교협회
  2. 영천 과전동 일본식 가옥
  3. 영천 구 화룡교
  4. 영양 구 용화광산 선광장
  5. 청도 구 풍각면사무소
  6. 봉화 척곡교회
  7. 고성 학동마을 옛 담장
  8. 거창 황산마을 옛 담장
  9. 산청 단계마을 옛 담장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성주 한개마을 옛 담장[5]}}}
  1. 무주 지전마을 옛 담장
  2. 익산 함라마을 옛 담장
  3. 강진 한골목 옛 담장
  4. 담양 삼지천마을 옛 담장
  5. 대구 옻골마을 옛 담장
  6. 경운궁 양이재
  7. 서울 성북동 최순우 가옥
  8. 서울 청량리역 검수차고
  9. 대구 구 반야월역사
  10. 구 포천성당
  11. 홍성고등학교 강당
  12. 제천 엽연초수납 취급소
  13. 화순 오지호 생가
  14. 화순농협 동부지점

[5] 국가민속문화유산 제255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청주 대성여자중학교 강당
  1. 청주 구 충북산업장려관
  2. 청주 충청북도지사 구 관사
  3. 괴산중학교 구 본관
  4. 청주 동부배수지 제수변실
  5. 거제초등학교 본관
  6. 서울 명륜동 장면 가옥
  7. 서울 구의정수장 제1·2공장
  8. 부산 재한유엔기념공원
  9. 신안 증도 태평염전
  10. 신안 증도 석조소금창고
  11. 신안 비금도 대동염전
  12. 서울 구 양천수리조합 배수펌프장
  13. 부여 구 홍산저포조합 본점
  14. 의령 오운마을 옛 담장
  15. 정읍 상학마을 옛 담장
  16. 여수 사도·추도마을 옛 담장
  17. 영암 죽정마을 옛 담장
  18. 서울대학교 구 공과대학 광산학과 교사
  19.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윈스브로우 홀
  20. 횡성성당
  21. 구 일본 제18은행 군산지점
  22. 포항 오덕리 근대 한옥
  23. 구 조선은행 군산지점
  24. 서울 구 국군기무사령부 본관
1.#376 부산 구 성지곡수원지
  1. 대전 대흥동 일·양 절충식 가옥
  2. 군산 어청도 등대
  3. 해남 구 목포구 등대
  4. 신안 소흑산도 등대
  5. 뉴욕 월도프 아스토리아 호텔 게양 태극기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데니 태극기[6]}}}
  1. 미 해병대원 버스비어(A.W.Busbea) 기증 태극기
  2. 동덕여자의숙 태극기
  3. 태극기 목판
  4. 남상락 자수 태극기
  5. ‘대한독립만세’ 태극기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김구(金九) 서명문 태극기[7]}}}
  1. 한국광복군 서명문 태극기
  2. 유관종 부대원 태극기
  3. 경주 학도병 서명문 태극기
  4. 건국법정대학 학도병 서명문 태극기
  5. 이철희 사변폭발 태극기
  6. ‘불원복(不遠復)’ 태극기
    {{{-2 395-1.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태극기
395-2.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태극기}}}
  1. 이승만대통령 의전용 세단
  2. 박정희대통령 업무용 세단
  3. 박정희대통령 의전용 세단
  4. 상주의용소방대 소방차
  5. 기아 경3륜 트럭

[6] 보물 제2140호로 승격[7] 보물 제2141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신진 퍼블리카
  1. 서울 구 신아일보 별관
  2. 김제 부거리 옹기가마
  3. 용인 장욱진 가옥
  4. 김천 부항지서 망루
  5. 칠곡 왜관철교
  6. 파주 영국군 설마리전투비
  7. 연천 유엔군 화장장 시설
  8. 제주 구 육군제1훈련소 지휘소
  9. 제주 구 해병훈련시설
  10. 국산 1호 항공기 부활
  11. 서울 신당동 박정희 가옥
  12. 서울 서교동 최규하 가옥
  13. 미카형 증기기관차 304호(미카3-304호)
  1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
  1. 디젤전기기관차 2001호
  2. 파시형 증기기관차 23호
  3. 협궤 증기기관차 13호
  4. 대통령 전용 객차
  5. 주한 유엔군사령관 전용 객차
  6. 협궤무개화차
  7. 협궤유개화차
  8. 대한제국기 철도 통표
  9. 대한제국기 경인철도 레일
  10. 쌍신폐색기
1.#426 전차 363호
  1. 인천 제물포고등학교 강당
  2. 서울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
  3. 벽걸이형 자석식 전화기
  4. 벽걸이형 공전식 전화기
  5. 벽걸이형 자동식 전화기
  6. 이중 전보송신기
  7. 음향인자전신기
  8. 인쇄전신기
  9. 무장하 케이블 접속장치
  10. 금산위성통신 제1지구국 안테나설비
  11. 광복전후기 우체통
  12. 소록우체국 우체통
  13. 백범 김구 혈의 일괄
    {{{-2 440-1. 백범 김구 인장 金九之印
440-2. 백범 김구 인장 金九
440-3. 백범 김구 인장 寬和, 金九之印, 白凡}}}
  1. 백범 김구 회중시계
    {{{-2 442-1. 백범 김구 유묵 韓美親善平等互助
442-2. 백범 김구 유묵 愼其獨
442-3. 백범 김구 유묵 思無邪}}}
  1. 구 공주읍사무소
  2. 구 광양군청
  3. 알렌의 진단서
  4. 알렌의 검안경
  5. 제중원 1차년도 보고서
  6. 에비슨의 수술장면 유리건판 필름
  7. 대한의원 개원 칙서
  8. 분쉬의 외과도구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건칠반
  1. 은제이화문탕기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은제이화문화병}}}
  1. 유제화형촛대
  2. 고양 행주성당
  3.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
  4. 강릉 임당동성당
  5. 진관사 소장 독립신문류[8]
  6. 면제갑옷
  7. 한국광복군 군복
  8. 대한민국 육군기
  9. 대한민국 최초 항공기(L-4 연락기)
  10. 백두산함 돛대
  11. 휴전협정 조인시 사용 책상
  12. 의병장 김도현 칼
  13. 엄복동 자전거
  14. 전차 381호
  15. 명신여학교 태극기·현판·완문
  16. 고흥 순천교도소 구 소록도지소
    {{{-2 470-1.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470-2.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470-3.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470-4.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1. 남양주 흥국사 대방
  2. 공주 제일교회
  3. 예산 수덕사 만공탑
  4. 광복군가집 제1집
  5. 애국창가 악보집

[8] (태극기) 보물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새미리 수영복
  1. 필야정 시지
  2. 청강 김영훈 진료기록물
  3. 애국가 유성기 음반
  4. 한성순보
  5. 독립신문
  6. 협성회회보
  7. 매일신문
    {{{-2 509-1. 대한매일신보
509-2. 대한매일신보
509-3. 대한매일신보}}}
510-1. 독립신문 상해판
1.#511 친목회회보
1. 대조선독립협회회보
1. 목포 천주교 구 교구청
1. 서울 이준 묘소
1. 서울 손병희 묘소
1. 서울 이시영 묘소
1. 서울 안창호 묘소
1. 서울 김창숙 묘소
1. 구리 한용운 묘소
1. 서울 신익희 묘소
1. 서울 방학동 전형필 가옥
1. 남양주 봉선사 큰법당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말모이 원고[9]}}}
  1. 조선말 큰사전 원고[10]
    524-2. 조선말 큰사전 원고[11]
  2. 국한회어

[9] 보물 제2085호로 승격[10] 일부 보물 제2086호 지정[11] 보물 제2086호 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6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51 압사기552-2. 공병우 세벌식 타자기}}}
  1. 현대자동차 포니1
  2. 해양조사연보
  3. 통일벼 유물
  4. 전기로
  5. 연세 101 아날로그 전자계산기
  6. 아날로그 전자계산기 3호기
    {{{-2 559-1. 금성 라디오 A-501
559-2. 금성 라디오 A-501}}}
  1. 금성 냉장고 GR-120
    {{{-2 561-1. 금성 텔레비전 VD-191
561-2. 금성 텔레비전 VD-191}}}
  1. 금성 세탁기 WP-181
  2. 삼성전자 64K DRAM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한글 1.0 패키지}}}
  1. 치도규칙
    {{{-2 566-1. 학조선
566-2. 과학조선}}}
  1. 인천 구 대화조 사무소
  2. 부산 경남고등학교 덕형관
  3. 인천 세관 구 창고와 부속동
  4. 대구 구 교남 YMCA 회관
  5. 예천 윤우식 생가
  6. 거창 구 자생의원
  7. 대한성공회 부산주교좌성당
  8. 기와 생산도구
  9. 조선건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01~6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26 진안 천황사 괘불도
  1. 예산 향천사 괘불도 및 오여래·사보살·팔금강도
  2. 대구 동화사 괘불도
  3. 백용성 역 조선글화엄경
  4. 백용성 역 선한역 대방광불화엄경 원고
  5. 백용성 역 신역대장경(금강마하반야바라밀경)
  6. 백용성 역 조선어능엄경
  7. 순천 송광사 송광사사료집성
  8. 조계산 송광사사고
  9. 김룡사 사료수집
  10. 대본산 김룡사 본말사 연혁 원고
  11. 백용성 선사 만일선회 방함록
  12. 채색필사본 대동여지도
  13. 정암철교
  14. 목포 문태고등학교 본관
  15. 부산대학교 구 본관
  16. 부산대학교 무지개문 및 구 수위실
  17. 대전 대흥동성당
  18.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
  19. 한암스님 가사
  20. 백용성 역 한글본『신역대장경』(금강경강의)
  21. 부산 구 백제병원
  22. 강릉 선교장 소장 태극기
  23. 고양 대성암 아미타삼존괘불도
  24. 강경성당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51~7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51 알렌 수증 훈공일등 태극대수장
  1. 대동단결선언문서
  2. 대한국야소교회 대표자 호소문
  3. 안동교회 예배당
  4. 서울 성북동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구 본원
  5. 고종황제 하사 족자
  6. 이천 수광리 오름가마
  7. 간호교과서
  8. 고흥 소록도 병사성당
  9. 고흥 소록도 마리안느와 마가렛 사택
  10. 의병장 유인석 심의
  11. 서울 남대문로 2층 한옥 상가
  12. 고흥 소록도 한센인 생활 유품
    {{{-2 664-1. 3·1독립선언서
664-2. 3·1독립선언서}}}
  1. 발해태조건국지‧명림답부전
  2. 대한민국 최초 운용 전투기(F-51D 무스탕)
  3. 국민성금 헌납기
  4. 예수성교 누가복음전서
  5. 예수성교전서
  6. 신약 마가전 복음서언해
  7. 구약전서
  8. 서울 배화학원 캐롤라이나관
  9.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교 켐벨기념관
  10. 서울 해병대사령부 초대교회
  11. 찬송가(UNION HYMNAL)
1.#676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모자이크 제단화677-2. 군산 둔율동 성당 성당신축기 및 건축허가신청서}}}
  1. 영광 창녕조씨 관해공 가옥
  2.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토마스홀
  3. 제주 대정여자고등학교실습실(육군98병원병동)
    {{{-2 681-1.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브레디관
681-2.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본관
681-3.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헨리관
681-4.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식당동}}}
  1. 천주교 진산 성지성당
  2.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
  3. 고령 관음사 칠성도
  4. 천로역정(합질)
  5. 조선요리제법
  6. 서울 앨버트 테일러 가옥(딜쿠샤)
  7. 경기도청사 구관
  8. 경기도지사 구 관사
  9. 김 골롬바와 아네스 자매(석고상)
    {{{-2 691-1.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오세창(吳世昌) 묘소
691-2.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문일평(文一平) 묘소
691-3.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방정환(方定煥) 묘소
691-4.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오기만(吳基萬) 묘소
691-5.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서광조(徐光朝) 묘소
691-6.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서동일(徐東日) 묘소
691-7.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오재영(吳哉泳) 묘소
691-8.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유상규(劉相奎) 묘소}}}
  1. 당진 소난지도 의병총
  2. 영광 원불교 신흥교당 대각전
  3. 광주 관덕정
  4. 통영 소반장 공방
  5. 목포 정광정혜원
  6. 수원 구 소화(小花)초등학교
  7. 수원 구 부국원
  8. 보성 안규홍·박제현 가옥
  9. 곡성 성륜사 안심당·육화당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01~7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01 원주 기독교 의료 선교 사택
  1. 원주 육민관고등학교 창육관
  2. 원주 제1야전군사령부 구 청사
  3. 태안 동문리 근대한옥
  4.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제대 및 세례대
  5. 문경 가은양조장
  6. 조선내화주식회사 구 목포공장
  7. 용인 고초골 공소
  8. 구 안성군청
  9. 대한민국임시의정원 문서
  10. 조일관계사료집
  11. 윤동주 친필원고
  12. 이육사 친필원고 '편복(蝙蝠)'
  13. 장효근 일기
  14. 부산 우암동 소막마을 주택
  15. 제주 4‧3 수악주둔소
  16. 운강선생유고 및 부록
  17.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2 718-1. 목포 번화로 일본식가옥-1
718-2. 목포 번화로 일본식가옥-2
718-3. 목포 번화로 일본식가옥-3
718-4. 목포 영산로 일본식가옥
718-5. 구 목포부립병원 관사
718-6. 구 목포 일본기독교회
718-7.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1
718-8. 목포 해안로 일본식 상가주택
718-9. 목포 해안로 교차로 상가주택
718-10. 목포 부두 근대상가주택
718-11. 구 동아부인상회 목포지점
718-12.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2
718-13.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3
718-14. 목포 해안로 붉은 벽돌창고
718-15. 구 목포 화신연쇄점}}}
  1. 군산 내항 역사문화공간
    {{{-2 719-1. 군산 내항 뜬다리 부두 (부잔교)
719-2. 군산 내항 호안시설
719-3. 군산 내항 철도
719-4. 군산 구 제일사료 주식회사 공장
719-5. 군산 경기화학약품상사 저장탱크}}}
  1. 영주 근대역사문화거리
    {{{-2 720-1. 구 영주역 5호 관사
720-2. 구 영주역 7호 관사
720-3. 영주 영주동 근대한옥
720-4. 영주 영광이발관
720-5. 영주 풍국정미소
720-6. 영주 제일교회}}}
  1. 도산 안창호 일기
  2. 관동창의록
  3. 군산 빈해원
  4. 군산 구 남조선전기주식회사
  5. 군산 구 조선운송주식회사 사택
1.#726 구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청 관사
  1. 칠곡 왜관성당
  2.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구 본관
  3. 파주 구 교하면사무소
  4. 일제 주요감시대상 인물카드
  5. 완도 소안면 구 당사도 등대
  6. 윤봉춘 일기
  7. 도화임본
  8. 통영 황리공소
  9. 서울 동국대학교 구 본관(석조관)
  10. 대전 충남대학교 구 문리과대학
  11. 지청천 일기
  12. 이육사 친필원고 '바다의 마음'
  13. 광양 구 진월면사무소
  14. 대한민국임시정부 건국강령 초안
  15. 서울 경희대학교 본관
  16. 인제성당
  17. 구 영원한 도움의 성모수녀회 춘천수련소
  18. 서울 구 공군사관학교 교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0px 10px; margin: 0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745-1.이봉창 의사 선서문[12]}}}749-2. 매천 황현 유묵·자료첩(11책)
749-3. 매천 황현 교지·시권(2점)·백패통}}}
  1. 윤희순 의병가사집

[12] 보물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51~8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51 서울 한양대학교 구 본관
  1. 고성 최동북단 감시초소(GP)
  2. 부산 구 동래역사
  3. 세종 구 산일제사 공장
  4.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국기념 23인 필묵
  5. 이자해자전 초고본
  6. 한국독립운동사략(상편)
  7. 익산 구 이리농림고등학교 본관
  8. 신안 흑산성당
  9. 군산 구 십자의원
    {{{-2 761-1. 매천 황현 문방구류
761-2. 매천 황현 생활유물}}}
  1. 영덕 영해장터거리 근대역사문화공간
  2. 익산 솜리 근대역사문화공간
    {{{-2 763-1. 익산 구 대교농장 사택
763-2. 익산 구 신신백화점
763-3.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1
763-4.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2
763-5.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3
763-6.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4
763-7.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5
763-8. 익산 보화당한의원 구 건조창고
763-9. 익산 구 이리금융조합
763-10. 익산 인북로 근대상가주택}}}
  1. 목포 경동성당
  2. 전북대학교 구 본관
  3. 전북대학교 구 문리과대학
  4. 전북대학교 구 중앙도서관
  5. 서울 보화각
  6. 담양 모현관
  7. 서울 연세대학교 핀슨관
  8. 송기주 네벌식 타자기
  9.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인
    {{{-2 773-1. 한인애국단원 편지 및 봉투
773-2. 한인애국단원 이력서 및 봉투}}}774-2. 대한민국임시정부 문영박 추조 및 문원만 특발
774-3. 대한민국임시정부 특발, 추조, 편지 및 소봉투}}}
  1. 김천 나화랑 생가
1.#776 광주 구 무등산 관광호텔
  1. 통영 근대역사문화공간
    {{{-2 777-1. 통영 중앙동 근대주택 1
777-2. 통영 중앙동 근대주택 2
777-3. 통영 중앙동 근대상가주택 1
777-4. 통영 중앙동 근대상가주택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0px 10px; margin: 0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777-5. 통영 구 석정여인숙}}}777-7. 통영 구 대흥여관
777-8. 통영 김상옥 생가
777-9. 통영 구 통영목재}}}
  1. 김천고등학교 본관
  2. 김천고등학교 구 과학관
  3. 수원역 급수탑
  4. 구 부산나병원기념비
  5. 불교
  6. 대전 육교
  7. 세종 부강성당
  8. 구 경성제국대학 부속 생약연구소 제주도 시험장
  9. 구 목포세관 본관 터 및 창고
  10. 6·25 전쟁 군사 기록물(육군)
  11. 나석주 의사 편지 및 봉투
  12. 영주 부석교회 구 본당
  13. 6·25 전쟁 군사 기록물(공군 전투비행단)
  14. 보병과 더불어 악보
  15. 근대기 제작 진전 봉안 어진
    {{{-2 793-1.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4·19 혁명 참여자 조사서
793-2.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4·19 혁명 계엄 포고문}}}
  1. 4·19 혁명 부상자 명단(고려대학교 4·18 학생 의거)
  2. 동해 북평성당
  3. 이긍연 을미의병 일기
  4. 대한제국애국가
  5. 대구 동인초등학교 강당
  6. 구 천도교 임실교당
    {{{-2 800-1. 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
800-2. 한글점자 「훈맹정음」 점자표 및 해설 원고}}}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801~82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801 경상남도립 나전칠기 기술원 양성소
  1. 전남대학교 용봉관
  2. 대각교의식
  3. 한국수어교재 수화
  4. 소방 헬기 까치2호
  5. 고성 구 간성 기선점 반석
  6.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가옥
  7. 고흥 소록도 4·6 사건 진정서 및 성명서
  8. 고흥 소록도 녹산의학강습소 유물
  9. 서울 진관사 소장 괘불도 및 괘불함
  10. 동학농민군 편지
  11. 제주 이시돌목장 테시폰식 주택
  12. 서윤복 제51회 보스턴 마라톤 대회 우승메달
  13. 공군사관학교 제1기 졸업생 첫 출격 서명문 태극기
    {{{-2 815-1.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 서명문
815-2.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 축하문}}}
  1. 한국광복군 기관지 광복
  2. 한국광복군 훈련교재 정훈대강
  3. 김좌진 장군 사회장 약력서
  4. 서천 판교 근대문화역사공간
    {{{-2 819-1. 서천 판교 구 동일정미소
819-2. 서천 판교 구 동일주조장
819-3.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 1
819-4. 서천 판교 구 삼화정미소(오방앗간)
819-5.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 2
819-6. 서천 판교 구 중대본부
819-7. 서천 판교 구 판교극장}}}
  1. 진해 근대문화역사공간
    {{{-2 820-1. 진해 구 태백여인숙
820-2. 진해 보태가
820-3. 진해 화천동 근대상가주택
820-4. 진해 송학동 근대상가주택
820-5. 진해 대흥동 근대상가주택
820-6. 진해 흑백다방
820-7. 진해 일광세탁
820-8. 진해 육각집
820-9. 진해 창선동 근대상가주택
820-10. 진해 황해당인판사}}}
  1. 한성미술품제작소 은제 공예품(이화문 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ae193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ae1932;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립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국립항공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국립경찰박물관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한국영화박물관 국토발전전시관
국립민속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 국립기상박물관 국립스포츠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국립어린이과학관 육군박물관
공립
서울역사박물관 한양도성박물관 청계천박물관 동대문역사관
공평도시유적전시관 서울생활박물관 서울우리소리박물관 돈의문역사관
서울시립미술관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서울시립과학관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서대문형무소역사관 강서별빛우주과학관
겸재정선미술관 용산역사박물관 은평역사한옥박물관 서울공예박물관
서울교육박물관 한성백제박물관 성북구립미술관 한국광고박물관
사립
간송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배재학당역사박물관 신문박물관
리움미술관 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 뮤지엄 김치간 대림미술관
화폐박물관 호림박물관
}}}}}}}}} ||

간송미술관
澗松美術館 | Kansong Art Museum
파일:간송미술관 전경.jpg
<colbgcolor=#000000><colcolor=#fff> 개관 1938년
설립자 전형필
운영 주체 간송미술문화재단
관장 전인건[1]
휴관일 매주 월요일
관람료 무료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2]
연락처 02-744-7830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3]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설립 배경3. 소장품
3.1. 항목이 생성된 소장품 목록
4. 관람 관련
4.1. 기본 정보4.2. 엄청난 관람객 수
5. 여담
5.1. 위기와 우려5.2. 변화?5.3. 사실 미술관이 아니다?5.4. 2020년 소장품 경매 관련
6. 대구간송미술관

1. 개요

대한민국박물관. 국내 최초의 사립 미술관으로, 전형필(全鎣弼, 1906년~1962년)이 1938년에 완공하였다. 간송(澗松)은 설립자인 전형필의 아호.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성북동)에 위치해 있다.

서울특별시 3대 사립 박물관 (간송미술관, 리움미술관, 호림박물관) 중 하나이며,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곳으로 손꼽힌다. 전형필의 장남인 전성우가 관장직을 물려받았고, 이후 전형필의 차남 전영우 상명대학교 미술학과 교수가 관장직을 맡았다가 간송미술문화재단 이사장으로 부임하였다. 전성우 전 관장이 2018년 작고한 후로는 현재까지 전형필의 장손이자 전성우의 아들인 전인건이 관장으로 재임하고 있다.

2. 설립 배경

파일:/image/053/2012/02/26/2194_52.jpg

전형필은 조상 대대로 한양종로 상권을 모조리 장악하여 서울을 넘어 전국 최고의 부호였다. 전형필이 가지고 있던 재산을 살펴보면 이 4만 마지기(약 800만 평 정도), 여기서 나오는 순수익이 연간 15만 원이었다. 당시 서울 시내의 큰 기와집 1채가 1,000원 정도 하던 시절이었다.

그는 이 막대한 재산을 허투루 쓰지 않고 한국의 귀중한 문화재들을 지켜내는 데 바쳤다. 그리고 독립운동가이자 서예가인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과 함께 국외로 반출될지도 모르거나 제 빛을 보지 못한 채 잠들어 있는 문화재들을 수집했다. 그리고 그간 모아둔 문화재들을 보관하고 연구하기 위해, 간송미술관의 전신인 보화각(葆華閣)을 1938년에 설립했다. 보화각이라는 이름은 오세창이 지은 것으로, '조선의 보배를 두는 집'이라는 뜻이다.

3. 소장품

소장 문화재는 주로 고서화 위주인데, 규모 자체는 다른 대형 박물관에 비해 다소 초라하지만 유물의 질적 수준은 전혀 뒤떨어지지 않는다. 간단히 말해서, 국사 교과서에 등장하는 귀중한 가치를 지닌 문화재의 상당수가 여기 있다. 국보급 문화재만도 10여 점이 넘고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훈민정음 해례본, 동국정운 원본, 신윤복미인도김득신파적도, 겸재 정선의 작품 등 한국의 그 어떤 박물관도 따라갈 수 없는 높은 수준의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지정문화재는 국보 12점, 보물 32점, 서울시 지정문화재 4점. 최근 미인도와 김득신의 풍속도 등이 보물로 추가 지정되어 보물이 32점이 되었으며 문화재청과 협조로 조사, 지정이 진행되고 있어 국가지정문화재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전형필의 아낌없는 수집의 결과라고 할 수 있는데, 그는 귀중한 문화재를 수집, 보호하기 위해서라면 바가지를 쓰는 것도 전혀 마다하지 않았다. 아니 오히려 가치가 있겠다 싶으면 상대방이 제시한 가격에서 웃돈을 얹고 매입하기도 했다. 가장 유명한 사례로 훈민정음 해례본을 구입한 때를 들 수 있다. 당시 훈민정음의 매입을 제안한 사람은 경성 콤그룹의 거물 김태준으로 그가 처음 제시한 책값은 1000원이었다.[4] 그러나 간송은 귀중한 문화재는 제대로 된 값을 치러야 한다며 상대가 처음 제시했던 가격에 10배의 돈을 추가로 얹어 무려 11000원이라는 거금을 지불하여 훈민정음을 매입했다.[5] 그리고 김태준과 이용준은 간송이 지불한 대금을 사회주의 운동에 썼다.[6] 후에 이 훈민정음 해례본은 전형필이 사망한 해인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었고,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현재까지도 발견된 훈민정음 해례본의 진품은 간송미술관에 소장된 안동본과 2008년 상주에서 배익기 씨에 의해 발견된 상주본[7]만이 유이하기에, 전형필이 지켜낸 훈민정음 해례본이 아니었더라면 한글의 과학성과 독창성은 오랜 기간 추측에 머물렀을 것이다. 그의 노력 덕분에 한글의 창제원리가 학술적으로 규명되어 전 세계 언어학자들의 인정을 받을 수 있었다. 국어학자들에게 있어 대단한 귀인이 아닐 수 없다. 전형필의 이러한 노력이 없었더라면 이 소중한 유산들이 우리 세대에 전달되지 못했을 것이다. 이 때문에 한국 문화예술계에서 전형필에 대한 지지는 거의 절대적이다. '돈은 이렇게 쓰는 것이다'를 보여주는 모범 사례이다.

3.1. 항목이 생성된 소장품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간송미술관 소장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간송미술관 소장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간송미술관 소장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관람 관련

4.1. 기본 정보

간송미술관은 문화재의 전시보다는, 문화재의 보호와 연구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어서 관람이 많이 까다롭다. 개방 기간은 1년에 단 두 번, 봄과 가을에 각각 2주일 뿐이고 5월, 10월 하순에만 대중에게 개방한다. 전시회를 가고 싶다면 이 시기에 언론 보도를 유심히 살펴야 한다. 해당 시기가 되면 모든 언론에서 한 번씩은 간송미술관 전시회 소개 기사를 실어주니 그때 확인해서 가면 된다. 그 외의 기간에는 일절 개방하지 않는다. 물론 사진촬영은 엄금. 게다가 전시 기간에도 모든 문화재를 상설 전시하는 게 아니라, 해당 전시회의 주제에 맞춰서 일부 문화재만 전시하는 형태라서 관람객 개인마다 원하는 문화재를 보기 힘들다. 이것이 아쉬운 점. 게다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박물관에 연락을 하는데 그 전화번호도 구하기 엄청 어렵다고 한다.

4호선 한성대입구역에 내려서 6번 출구로 나와 서울성북초등학교 방면으로 올라가면 된다.[8] 걸어서 20분 이상 소요되니 마을 버스나 1111번, 1112번, 2112번을 타고 가는 것도 좋다. 하지만 전시기간에 가보면 버스를 탈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평일 오전이 아닌 이상 지하철역인 한성대입구에서만 내려도 엄청난 줄이 기다리고 있어 20분 거리를 2시간 만에 가는 진경험을 할 수 있다. 1년에 4주만 개방하는 만큼 인파가 엄청날 수밖에 없다. 평일 오전 일찍 가더라도 기다리지 않고 입장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자차로 간다면 근처에 있는 서울성북초등학교에 주차가 가능하지만, 수업이 있는 시간에는 주차할 수 없다. 수업이 없는 토요일 주말에는 2시 이후부터 가능하다. 주말에는 전시장 밖에서 입장까지 3~4시간은 기본으로 걸리기 때문에 서울성북초등학교에 주차하려고 2시 이후에 왔다가는 줄만 서고 그림은 감상하지도 못하고 가는 수가 있으니 주의 바람. 사람들이 몰리다 보니 서울성북초등학교 측에서 이제는 주차를 막는 분위기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어차피 근처 대부분의 도로변이 견인 지역이라서 자차로 왔다가 주차 잘못하면 차가 견인당할 수도 있다.

통상 관람 시간은 저녁 5시까지다. 서울성북초등학교를 바로 옆으로 주차 안내 표지판이 있는 곳이 미술관 입구다. 입구에 가면 철망으로 된 우리 안에 개와 공작새(무려 흰 공작이 있다), 온갖 화분이 즐비하고, 그 앞에 세워진 2층 건물 하나가 바로 간송미술관이다. 1시간이면 관람하는 데 충분하니 부담 없이 두세 시간을 기다리고[9] 다녀올 수 있다. 엄청난 가치를 지닌 유물이 즐비한 간송미술관에 처음으로 간다는 설렘을 안고 가는 사람이면 작고 초라한 시설에 실망할 수도 있다. 전시실 면적도 좁아서 1층은 매우 좁고 2층에 올라가야 그나마 좀 공간이 있다. 게다가 국립중앙박물관같이 제대로 조명이 갖춰진 전시 시설을 생각하면 오산이다. 진열장도 유물만큼이나 유물급(...)이며, 유물에 대한 설명은 없고 유물과 작가의 이름이 들어간 안내판 정도만 있으니 시설에 대해서는 너무 기대하지 말자. 그래도 엄청난 수준의 컬랙션과 관람료를 받지 않는다는 것[10]을 감안하면 용인할 수 있는 수준이다.

4.2. 엄청난 관람객 수

파일:/image/032/2011/10/24/20111024.01200102000001.01L.jpg
2011년 10월 22일, '신윤복 열풍' … 1시간 관람하러 3시간 줄서.

개방 기간이 1년에 4주를 넘지 않기 때문에, 한번 개방이 됐다 하면 줄이 길게 늘어서서 걸어서 10분 거리가 세 시간까지도 늘어난다. 말 그대로 입구부터 출구까지 다닥다닥 붙어가면서 봐야 한다. 게다가 전시관도 협소하며 동선이 완전히 망가져서 정말 사람끼리 어깨를 맞대고 봐야 한다. 나이 지긋한 노인부터 시작해서 수녀, 승려, 관련 전공 학생, 미술 애호가, 외국인 관광객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찾기 때문에 사람이 몰릴 수밖에 없다.

특히 유명한 소장품이 공개되는 날에는 락스타 콘서트장 못지 않은 인파가 몰린다. 실제로 2006년 간송 전형필 탄생 100주년 기념 특별전 때에는 사람들이 인근 서울성북초등학교 초입의 언덕길까지 우산을 들고 서있었다. 그래서 콩나물 시루마냥 빽빽히 들어찬 사람들 덕에 제대로 관람하지도 못한 채 나오기도 한다. 거기에 더해 진열장에 개기름이 묻어 유물이 잘 안 보이기도 한다. 이제 와서 천천히 조용하게 제대로 관람할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 그나마 좀 편하게 보고 싶다면 평일에 가자.

사실 2008년 신윤복전 이전만 해도 간송미술관은 "아는 사람만 아는 숨겨진 명소"[11]였는데 2008년 신윤복을 다룬 문근영 주연의 드라마 '바람의 화원'이 히트치면서 혜원 신윤복에 대한 관심이 급상승했고 하필 그때 간송에서 혜원 신윤복전을 기획하면서 대중에 널리 알려져 사람들이 붐비게 되었다.[12] 특히 신윤복전 이전에는 젊은 사람보다 나이가 있으신 분들이 주로 방문했으나 공짜라는 것과 성북동 명소쯤으로 소문이 나면서 사람이 어마어마하게 몰리게 되었다. 간송미술관의 명성이 높아지고 미술관의 유물들이 빛을 보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이전에 한적하고 조용하게 관람하던 사람들은 달라진 분위기에 아쉬워하고 있다.

대구미술관에서 간송 특별전을 했을 때도 엄청난 인파가 모였다. 특히 미인도 앞에는 인산인해를 이뤄 대구 엠빅에서 뉴스로 내보낼 정도였다.

간송 전형필 선생이 설립한 재단이 운영하는 보성중고등학교에서 아예 하루 날을 잡고 이곳에 견학을 온다. 이 때문에 보성중고등학교 재학생들은 일반인들보다 편안하게 볼 수 있다.

5. 여담

간송미술관의 가치는 돈으로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이며, 소장품을 경매에 부친다면 다 매각하는 데만 1년이 넘게 걸릴 것으로 추정된다. 경매에 소요되는 각종 절차를 제외하고도 그 정도 걸린다는 것이다. 그 가치는 전형필이 구입한 가격을 아득히 뛰어넘는 것으로 평가된다.

소장품을 정리한 전시도록을 판매하고 있다. 한동안 현금으로만 구매가 가능했으나 언제부터인가 카드 결제도 가능해졌다. 가격은 약 2~3만 원 선. 전시도록 외에도 일부 그림들의 영인본, 사진 인쇄본 또한 판매하고 있으니 소장용으로 구입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최근 들어 온라인으로도 구매가 가능하다. 우체국 택배로 배송되고 배송료 5천 원이 붙는다. #

5.1. 위기와 우려

6.25 전쟁 때 이 박물관이 사라질 뻔한 위기가 있었다. 당시 서울이 함락됐을 때, 북한군이 유물들을 평양으로 이송하려 했던 것. 다행히 미술사학자인 최순우 등이 이송 준비를 진행하는 척하면서 최대한 시간을 끌어서[13] UN군이 서울을 탈환할 때까지 이송을 막을 수 있었다. 이후 중요 문화재들을 부산으로 피난시켰지만,[14] 전시 상황이란 한계 때문에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떨어졌던 서적류나 그림들은 미처 피난시키지 못해서 많은 수가 사라졌다고 한다. 심지어는 서울에 두고 온 문화재가 누군가에 의해 유출되어서 간송 일행보다 부산에 먼저 내려와서 골동품상에 팔리고 있기도 했다고 한다.

2012년 문화재청 국정감사에서는 간송미술관 소장 문화재의 훼손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소장품을 목격한 관련 인사들의 증언에 의하면 보존 상태가 상당히 열악한 것으로 알려져 우려를 사고 있다. 또한 건물인 보화각 역시 세운 지 70년이 넘은 낡고 작은 건물이라 소장품을 보관하기에는 적합하다고 보기 힘들고, 건물 자체의 상태마저 썩 좋은 상태가 아닌 상황. 하루라도 빨리 대책이 필요하나, 아직 가시적인 성과는 나오지 않고 있다.

5.2. 변화?

전시보다는 연구 및 보존에 초점을 맞춘 간송미술관이었지만 2014년부터 기존의 모습을 바꾸려 하고 있다. 2014년 3월 동대문디자인플라자 개관전으로 간송 소장품 상설전을 열었다.[15] 간송미술관 측에 따르면 외부 전시를 추진하는 이유는 1938년에 지은 간송미술관(보화각)이 다수의 관람객에게 소장품을 공개할 대규모 전시를 열기 힘들기 때문이라고 한다. 사실 전시장에서는 작품과 관람객의 안전을 위해 인원수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관련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관람객 과밀 현상에 우려를 표했을 정도. 결국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전시를 여는 쪽으로 가게 되었다.

또한 동년 8월부터 '간송미술문화재단'이라는 재단을 설립하여 운영 형태를 바꿀 예정이고, 해외 전시도 추진한다고 한다. 그리고 2014년 3월에 간송미술문화재단 홈페이지가 열려 소장품 정보를 일부나마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확실히 정보를 찾기 어려운 과거에 비해 대중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가려는 변화의 움직임 중 하나라고 봐도 될 듯. 또한 2014년 3월부터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일반 공개를 시작하기로 했다. 3개월에 한 번씩 전시 작품을 교체하며 약 3년간 진행할 예정이다.

개관 78년 만에 '제2의 개관'을 준비 중이라는 소식이 나왔다. 2016년 현재 미술관 건물로 쓰이는 보화각 옆에 서울시의 협력을 얻어 신관을 짓고, 2021년까지 미술관 일대에 문화공원을 조성하여 개방할 예정이라고 하며, 대구간송미술관 개관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한다.

5.3. 사실 미술관이 아니다?

엄밀한 의미에서 간송미술관은 법적으로 "미술관"이 아니었다. 정식 미술관이 되면 문화재급 유물을 대여해야 하는 경우가 있어 소장품을 제대로 지킬 수 없다는 이유 때문이라고 한다. 사실상 그 상징적인 의미 때문에 미술관이라는 간판을 단 것에 대해서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던 것뿐이다.

실제로 간송미술관은 연구 및 보존 시설에 가깝게 운영되어 왔고, 개방 일수도 규정[16]에 한참 미달했다. 다만 하도 운영이 어려워서 2019년 9월에 와서 비로소 정식으로 미술관으로 등록을 했고, 신관 건축 비용 등을 지원받게 되었다.

참고로 미술관으로서 관람객들이 출입하는 그 건물을 포함한 미술관 부지 전부가 간송의 후손들이 소유한 사유지이다. 사실상 일반인이 집 앞마당에 미술관을 차려서 일반인들에게 개방한 것이다.

미술관 정문에서 보화각 건물로 가기 전 오른쪽에 있는 출입이 통제된 언덕길이 있는데, 그 길을 타고 올라가면 간송의 후손들이 거주하는 저택이 나온다. 그 집은 원래 미술관 건축 당시 이미 방대해진 수장품을 건축 기간 동안 보관하려고 지은 임시 별장이었지만 6.25 전쟁 이후부터 주거지로 쓰이고 있다. 저택에는 북단장(北壇莊)이라는 당호가 있는데, 인근에 자리하고 있던 선잠단(先蠶壇)[17]의 북쪽에 있다는 의미로 오세창이 지었다.

5.4. 2020년 소장품 경매 관련

2020년 코로나 19로 인한 재정난으로 소장품 중 금동여래입상(보물 제284호)과 금동보살입상(보물 제285호)을 경매에 내놓게 된 것이 밝혀져서 많은 사람들의 안타까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 이것 때문에 국립중앙박물관 등에서 구입을 검토하기도 했다. 국립중앙박물관 측에서는 1년에 40억 원밖에 안되는 유물 구입 비용을 개당 15억 원짜리 불상 경매에 선뜻 투자하기 망설여졌을 뿐더러, 공공기관이 일반 소비자와 함께 가격을 흥정하는 경매에 참여하는 것이 옳지 않은 것이라고 생각해 경매 전에 구입 의사를 밝히기도 했지만.. 경매를 맡은 케이옥션이 입찰 취소는 안된다고 선을 그었고 간송 측에서도 별다른 대답을 하지 않은 것을 보면 사전 합의는 무산된 듯하다. 결국 경매는 진행되었다.

다만 이 금동불상들은 1차 경매에선 유찰되었고, # 그 후 8월에 결국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두 불상을 구입하였다. #

이를 두고 '국가에서 보호해야 했어야 하는데 의무를 다하지 않는다' 혹은 '이게 다 상속세 때문이다'라는 주장이 있었는데,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국가에서는 간송미술관을 지원해야 할 의무가 없다. 이 글에서도 상술되어 있듯 간송미술관은 법적으로는 미술관에 등록되지 않았으며, 단지 그 상징성 때문에 미술관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박물관법에 의해 미술관으로 등록하면 국가의 보호와 지원을 받을 수 있겠지만, 동시에 간섭도 받을 수밖에 없다. 간송 후손들의 변하지 않는 원칙도 이 때문이다. 국가의 지원도 간섭도 받지 않겠다는 것이다.

즉, 엄밀히 말해 간송미술관의 문화재들은 완전한 사유재산이다. 물론 각종 국가지정문화재들이 수두룩한 간송미술관이므로 국가 지정 문화재의 보존을 위해서 국가가 도의상 지원해 줘야 한다는 시민들의 주장은 나올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법률로 규정된 국가의 의무가 아니다. 사유재산을 인정하는 법치 국가인 대한민국에서 개인이 사유재산을 어떻게 관리하든 이는 개개인의 자유이다. 오히려 (법률상) 미술관이 아니니 특별히 개방할 의무도 없는데도 열람일을 정하고 관람을 허용하는 간송미술관 측이 어마어마한 대인배인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국가가 이를 지원할 이유도 없다. 간송 측도 이를 받아들인 것이다.

이와 같이 정작 간송 후손 측의 태도(국가의 지원도 간섭도 받지 않는다)는 변함이 없는데도 이를 둘러싼 기사가 여럿 쏟아져, 상속세 폐지를 위해 여론 조성을 하려는 설계 하에서 만들어진 선동용 기획 기사라는 비판도 있었다. 마침 금동여래입상과 같이 국보, 보물 등 국가지정문화재는 상속세 과세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이와는 무관한데도 언론이 '국보급 문화재'란 표현을 이용하며 이를 조장했다는 것. 더욱이 간송 후손들이 페이퍼컴퍼니에 재산을 은닉한 정황이 파악되면서 돈이 없던 게 아니고 빼돌리기 급급했다는 말이 되어버린다.

또한, 최근 경매에 올라온 보물들 중 일부는 간송문화재단 소유가 아닌 전인건 관장의 소유이고 등록 문화재는 상속세가 없기 때문에 상속을 받지 않았고 전인건 관장이 판매 수익을 받게 된다. #

다만 국보나 보물로 지정되지 않은 많은 소장품들의 어마어마한 상속세는 여전하고[18], 간송미술관 측에선 특별히 다른 수익 구조를 갖고 있지 않은 채로 무료 개방을 지속해오고 있기 때문에 동정의 여론이 꽤 있는 편이다. 비슷한 일을 겪은 프랑스의 '피카소 미술관'의 경우 작품으로 상속세 대납을 진행하여 소유권은 정부가 지니고, 관리와 운영은 후손들이 맡는 방법을 택한 경우도 있다. 국가가 간송미술관을 보호해야 할 의무는 당연히 없지만, 전형필 선생의 뜻을 존중하여 문화재를 보존하기 위한 방법을 강구해 볼 수는 있을 것이다.

6. 대구간송미술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간송미술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간송미술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간송미술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구광역시에 2024년 9월 3일 분관을 설치 했다. 서울시의 간송미술관 부지보다 10배 이상 넓으며 수집한 대부분의 예술품을 한꺼번에 전시할 수 있어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1] 전형필의 장손[2] 성북동 81-2[3] 간송커뮤니티[4] 원래 광산 김씨 종가의 긍구당 서고에 보관되어 오던 광산 김씨 문중의 가보였다고 한다. 일설에는 세종이 광산 김씨 문중에 여진족 정벌의 공로를 치하하는 의미로 내린 서책이라는데, 이용준이 왜곡했다는 이야기도 있으니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당시 이 집안의 사위였던 이용준이 매월당집 등을 비롯하여 훈민정음 해례본을 몰래 빼돌려 안동의 자택에서 보관하고 있다가 국문학자 김태준을 통해 전형필에게 훈민정음 해례본만 팔았다. 그러나, 정말로 광산 김씨 문중의 가보라면 문중에서 간송미술관에 소송을 제기할 수밖에 없고, 해외에서도 비슷한 사건으로 반환을 받은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렇다할 대응을 하지 않는 것을 보아 이들도 이를 입수한 경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모양이다.[5] 당시 기와집 한 채 값이 천 원이었다고 하니 아파트 한 채 값을 제시했는데 소규모 아파트 한 동 값을 주고 산 격이다.[6] 후에 김태준은 지리산 빨치산으로 붙잡혀 죽었고, 이용준은 월북했다고 한다.[7] 이마저도 배익기 씨와 정부가 보상금을 놓고 실랑이가 오가던 도중, 배익기 씨의 자택에 화재가 발생하며 크게 훼손된 것으로 추정된다.[8]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로 나와서 건너편에 보이는 건물은 한국에서 최고로 유명하다는 나폴레옹 제과점이다. 안내판에 보면 만해 한용운이 머물렀던 심우장, 최순우 옛집이 인근에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간송미술관으로 가는 방향으로 계속 올라가면 수연산방이 있다. 예전에는 조용한 동네였으나 망가진 삼청동을 필두로 성북동 일대도 망가질 조짐이 보인다. 간송미술관 주변마저 카페 골목처럼 변해서 시끄럽다. 오랫동안 이곳을 다니던 사람 입장에서는 아쉬운 부분이다.[9] 관람객 폭증으로 부담이 없을래야 없을 수가 없게 되었다.[10] 참고로 리움미술관의 입장료는 10,000원이다.[11] 일단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인 한성대입구역도 800 m 이상 떨어져 있고 성북동 부촌으로 들어가는 길 앞이라 버스 망도 잘 안 잡혀 있어서 접근성이 안 좋다. 그리고 유동인구가 많은 번화가에 위치한 것도 아니다.[12] 상기 링크된 기사에 당시 10만 명이 왔다 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13] 유물 목록을 다시 작성해야 한다거나 유물의 포장 작업을 신중히 해야 한다는 핑계를 대기도 하고, 북한 측 담당자들에게 화이트 홀스 위스키우키요에을 대접하는 등 갖은 방법을 동원했다고 한다. 다만 이는 최순우 등이 부역자로 몰릴 것이 두려워서 양념을 친 것으로 보이고, 현실적으로는 인천 상륙 작전으로 허를 찔린 북한군이 급히 퇴각하면서 가져갈 여력이 없어서 두고 갔다고 보는 것이 옳다.[14] 특히 훈민정음 해례본은 전형필 본인이 피난 생활 때 베개 밑에 두고 잠을 잘 정도로 철저하게 지켰다고 한다.[15] 이때 훈민정음 해례본이 전시되었다.[16]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제21조 (개관) 제16조 제1항에 따라 등록한 박물관 또는 미술관은 연간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정한 일수(연간 90일, 1일 4시간) 이상 일반 공중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여야 한다.[17] 조선시대 당시 매해 음력 3월, 국왕이 선농단에서 제사를 지낸 것처럼 왕비가 행차하여 뽕나무가 잘 크고 살찐 고치로 좋은 실을 얻게 해달라고 풍악을 울리며 기원하던 곳이다.[18] 전시를 유지하는 문화재는 상속세가 유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