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삼랑진역 급수탑
1.#76 파주 구 장단면사무소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대전 충청남도청 구 관사 1·2·5·6호와 부속창고
1.#126 순천 구 선교사 프레스턴 가옥
[4]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 제259호로 재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밀양 교동 근대 한옥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1 통영해저터널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대구 대봉배수지
1.#276 정읍 나용균 생가와 사당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여수 구 율촌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청주 대성여자중학교 강당
1.#376 부산 구 성지곡수원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신진 퍼블리카
1.#426 전차 363호
440-3. 백범 김구 인장 寬和, 金九之印, 白凡}}}
442-3. 백범 김구 유묵 思無邪}}}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건칠반
470-3.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470-4.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8] (태극기) 보물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새미리 수영복
509-3. 대한매일신보}}} 510-1. 독립신문 상해판 1.#511 친목회회보 1. 대조선독립협회회보 1. 목포 천주교 구 교구청 1. 서울 이준 묘소 1. 서울 손병희 묘소 1. 서울 이시영 묘소 1. 서울 안창호 묘소 1. 서울 김창숙 묘소 1. 구리 한용운 묘소 1. 서울 신익희 묘소 1. 서울 방학동 전형필 가옥 1. 남양주 봉선사 큰법당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6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51 압사기 {{{-2 552-1. 공병우 세벌식 타자기 552-2. 공병우 세벌식 타자기}}}559-2. 금성 라디오 A-501}}}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01~6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01 강경 갑문 1.#626 진안 천황사 괘불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51~7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51 알렌 수증 훈공일등 태극대수장
1.#676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모자이크 제단화 {{{-2 677-1. 군산 둔율동 성당 677-2. 군산 둔율동 성당 성당신축기 및 건축허가신청서}}}681-2.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본관681-3.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헨리관 681-4.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식당동}}}
691-3.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방정환(方定煥) 묘소 691-4.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오기만(吳基萬) 묘소 691-5.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서광조(徐光朝) 묘소 691-6.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서동일(徐東日) 묘소 691-7.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오재영(吳哉泳) 묘소 691-8.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유상규(劉相奎) 묘소}}}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01~7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01 원주 기독교 의료 선교 사택
718-3. 목포 번화로 일본식가옥-3 718-4. 목포 영산로 일본식가옥 718-5. 구 목포부립병원 관사 718-6. 구 목포 일본기독교회 718-7.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1 718-8. 목포 해안로 일본식 상가주택 718-9. 목포 해안로 교차로 상가주택 718-10. 목포 부두 근대상가주택 718-11. 구 동아부인상회 목포지점 718-12.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2 718-13.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3 718-14. 목포 해안로 붉은 벽돌창고 718-15. 구 목포 화신연쇄점}}}
719-3. 군산 내항 철도 719-4. 군산 구 제일사료 주식회사 공장 719-5. 군산 경기화학약품상사 저장탱크}}}
720-3. 영주 영주동 근대한옥 720-4. 영주 영광이발관 720-5. 영주 풍국정미소 720-6. 영주 제일교회}}} 1.#726 구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청 관사
745-2. 이봉창 의사 친필 편지, 봉투 및 의거자금 송금증서 749-2. 매천 황현 유묵·자료첩(11책)1.#746 매천 황현 매천야록 1. 매천 황현 오하기문 1. 매천 황현 절명시첩 {{{-2 749-1. 매천 황현 시·문(7책) 749-3. 매천 황현 교지·시권(2점)·백패통}}} [12] 보물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51~8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51 서울 한양대학교 구 본관
763-3.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1 763-4.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2 763-5.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3 763-6.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4 763-7.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5 763-8. 익산 보화당한의원 구 건조창고 763-9. 익산 구 이리금융조합 763-10. 익산 인북로 근대상가주택}}}
{{{-2 774-1. 대한민국임시정부 이교재 위임장 및 상해격발 774-2. 대한민국임시정부 문영박 추조 및 문원만 특발774-3. 대한민국임시정부 특발, 추조, 편지 및 소봉투}}} 1.#776 광주 구 무등산 관광호텔
777-3. 통영 중앙동 근대상가주택 1 777-4. 통영 중앙동 근대상가주택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0px 10px; margin: 0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777-5. {{{-2 777-6. 통영 항남동 근대상가 777-7. 통영 구 대흥여관777-8. 통영 김상옥 생가 777-9. 통영 구 통영목재}}}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801~821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801 경상남도립 나전칠기 기술원 양성소
819-3.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 1 819-4. 서천 판교 구 삼화정미소(오방앗간) 819-5.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 2 819-6. 서천 판교 구 중대본부 819-7. 서천 판교 구 판교극장}}}
820-3. 진해 화천동 근대상가주택 820-4. 진해 송학동 근대상가주택 820-5. 진해 대흥동 근대상가주택 820-6. 진해 흑백다방 820-7. 진해 일광세탁 820-8. 진해 육각집 820-9. 진해 창선동 근대상가주택 820-10. 진해 황해당인판사}}}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colcolor=#fff> '''한국전력공사 서울본부 韓國電力公社 서울本部 {{{#!wiki style="margin:0 -10px; letter-spacing:-0.7px; font-size:11pt"''' | ||||
<colbgcolor=#004098,#004098> 주용도 | 업무시설 | |||
완공 | 1928년 12월 30일 | |||
관할구역 | 서울특별시 내 한강 이북 지역 본부직할 중구, 종로구동대문중랑지사 동대문구, 중랑구서대문은평지사 은평구, 서대문구강북성북지사 강북구, 성북구광진성동지사 성동구, 광진구마포용산지사 마포구, 용산구노원도봉지사 도봉구, 노원구 | |||
주소 | ||||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92 (을지로2가 199-4)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국가유산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15288,#315288> 서울 남대문로 한국전력공사 사옥 서울 南大門路 韓國電力公社 社屋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 Building on Namdaemun-ro, Seoul | |||
분류 | <colbgcolor=#fff,#1c1d1f><colcolor=#212529,#e0e0e0>등록문화유산 / 기타 / 업무시설 | |||
수량 | 1동 연면적 5,957.1㎡ | |||
지정(등록)일 | 2002년 2월 28일 | |||
소재지 | 서울 중구 남대문로 92, 외 3필지 (남대문로2가) | |||
시대 | 1928 | |||
소유자 | 한국전력공사 | |||
관리자 | ||||
링크 |
1. 개요
서울 남대문로 한국전력공사 사옥(서울 南大門路 韓國電力公社 社屋)은 1928년 12월 30일에 준공된 국내 최초의 근대적 오피스 근대건축물로, 경성전기주식회사 사옥으로 사용되었다. 소재지는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92[1]이며 소유주는 한국전력공사다. 현재는 한국전력공사 서울본부로 사용되고 있다.2002년 국가등록문화유산 제1호로 지정됐다.
2. 상세
1961년 경성전기, 조선전업, 남선전기, 3사가 통합되어 한국전력 주식회사가 설립되었을 당시 본사로 사용되었으며, 1991년 이후 한국전력공사 서울본부 사옥으로 사용되고 있다.당초 1928년에는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로 건립되었으며, 1965년에 2개층(6, 7층)이 증축되었다. 2020년 3월 문화재 복원 및 재생사업을 통하여 새 단장을 마쳤다.
건물 외관은 시카고파(Chicago School) 기능주의 건축양식에 르네상스 장식요소가 일부 접목되었다. 내부는 한반도 최초로 내화, 내진 설계가 적용된 한편, 엘리베이터 2대와 5개층의 사무실에 580개의 전등, 채광용 바닥 유리블록이 설치되었다. 본 건물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근대 건축물로 인정받고 있으며, 2002년 2월 28일에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등록문화유산 제1호로 지정됐다.
3. 건축물 이력
- 1928년 12월 30일~1961년: 경성전기주식회사[2] 사옥 목적으로 개소
- 1965년: 2개층(6, 7층) 증축
- 1961년~1991년: 한국전력주식회사 본사로 활용
- 2002년 2월 28일: 국가등록문화재 제 1호로 선정
- 2020년 3월: 문화재 복원 및 재생사업 완료
- 2013년 10월 30일~현재: 서울 남대문로 한국전력공사 사옥으로 등록문화재 명칭이 변경, 한국전력공사 사옥으로 활용
4. 외부 링크
5. 국가등록문화유산 제1호
1920년대말 경성전기주식회사 사옥으로 서울도심부에 세워진 본격적인 사무실 건물이다. 해방후 2개층이 증축되어 현재 ‘한국전력사옥’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초의 내화·내진설계와 엘리베이터설비, 유리블록 등이 건축재료로 사용되었다.
6. 기타
보다시피 건축물이 완전히 직사각형이 아닌 사다리꼴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