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의 교량 (대구 · 경북)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7px" | 구문소교 - 석포대교 - 성황교 - 석포철교- 굴현교 - 결둔교 - 암기1교 - 원곡교 -비동2교 - 비동1교 - 분천교 - 분천1교 - 풍애교 - 현동제2대교 - 현동교 - 임기교 - 명호교 - 관창2교 - 관창1교 - 주진교 - 영락교 - 월영교 - 법흥교- 영가대교 - 안동교 - 영호대교 - 안동대교 - 안동철교 - 옥수교 - 서안동대교 - 풍산대교 - 단호교 - 풍남교 - 광덕교 - 구담교 - 지인교 - 삼강교 - 영풍교 -상풍교 - 경천교 - 상주보 - 중동교 - 상주낙동강교 - 낙단보 - 낙단교 - 낙단대교 - 낙동강대교 - 선산대교 - 일선교 - 구미보 - 숭선대교 - 양호대교 - 산호대교 - 구미대교 - 남구미대교 - 왜관낙동강 - 덕포대교 - 왜관경부고속철교 - 칠곡보 - 왜관철교 - 왜관 - 호국의 다리 - 제2왜관교 - 성주대교 - 강정고령보 - 사문진 - 88낙동강교 - 고령 - 성산대교 - 달성보 - 박석진 - 중부내륙낙동대교 - 우곡교 상류 → 하류 방향 | }}}}}} |
[ 부산 · 경남 ] | ||
금호강 | 형산강 | 대구 신천 | 영강 | 길안천 | 내성천 | 병성천 | 회천 |
낙동강의 교량 | ||||
상류 방면 | ← | 이름 | → | 하류 방면 |
왜관교 | 호국의 다리(구 왜관철교) | 제2왜관교 |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 ||||
405호 | ← | 406호 | → | 407호 |
김천 부항지서 망루 | 칠곡 왜관철교 | 파주 영국군 설마리전투비 |
1. 개요
호국의 다리는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과 왜관읍을 잇는 경부선의 철교였었다. 구 철교는 등록문화재 제406호로 지정이 되었다. 구 철교는 왜관교의 남쪽에 현재의 철교는 북쪽에 있다.구 철교는 호국의 다리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4대강 정비 사업으로 인하여 2011년 6월 25일 붕괴되어 논란을 빚었다.
2. 역사
1905년에 경부선 초대 왜관철교로 개통하였다. 이후 1939년 3월 10일에 경성-대전간 복선화에 맞춰[1] 낙동교라는 복선 철교가 가설되며 이 다리는 인도교가 된 것으로 추측된다.[2] 이후 일제에 의해 경부선이 복선화가 이뤄지면서 1944년에 대전~삼랑진 구간이 복선화되면서 상류에 2대 왜관철교가 신설되며 철교로서 역할은 종료하였다고 알려져 있으나, 1916년에 이 철교가 폐지되고, 북쪽에 새로운 단선 철교를 건설(현재 사용되는 경부선 상행선)하여 이설하였고, 1945년 복선화가 완전히 이루어져 현재의 형태를 이루어졌다는 설이 있다.6.25 전쟁 중에는 2대 왜관철교와 더불어 공산군의 도강을 저지하기 위해 폭파되었다가 복구되었다.
1979년까지 자동차가 다니던 길로, 부식과 노후로 1991년부터 보수공사에 들어가 1993년 2월부터 인도교로만 사용하고 있다.
3. 사건
#링크
#링크
2011년 6월 25일 새벽 4시에 호국의 다리 일부의 상판이 무너져내리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불어난 강물에 교각이 버티지 못하고 무너져내려 그 위에 있던 상판까지 함께 강물로 추락하고야 말았다. 이에 주민들은 4대강 사업에 따라 그 부분의 유속은 빨라졌으나 그 부분의 교각은 전혀 보강공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하였다. 그리고 인터뷰에 따르면 이 부분의 보강공사 계획은 빠져있었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