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416호 | ← | 417호 | → | 418호 |
| 디젤전기기관차 2001호 | 파시형 증기기관차 23호 | 협궤 증기기관차 13호 | ||
| |
| 파시 5-23호 증기기관차 |
1. 개요
| | |
| 현역시절 용산역 인근에 정차한 파시5형 23호의 모습 [1] |
| | |
| 영등포공착장 실습생들이 처음 만든 모형 [2] |
한반도에서 운용하던 4-6-2형 증기 기관차.
기존의 여객 기관차들의 출력부족으로 도입한 고출력 기관차이다. 높이 4.75m, 폭 3.25m, 길이 23.75m, 중량 200t, 최고 1,050마력의 힘이 넘치는 당대의 초특급 기관차였다. 그래서인지 당시의 경부, 경의선 특급열차는 모두 이 기관차가 끌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참고로 비슷한 시기에 도입된 미카는 화물용으로 도입된 것이었다.
여기서 파시1형은 국철이 설계를 하여 미국 볼드윈 사에서 도입하였으며, 2형은 미국 ALCO사, 3형과 4형은 일본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도입하였다. 이 중 4형의 경우는 갈탄을 사용하기 위해 특수설계를 하였고, 5형은 경성에서 자체 조립하거나 가와사키에서 도입하였다. 5형의 경우 역사적으로 의미가 깊은 게 바로 국내에서 첫 조립된 첫 기관차라는 타이틀과 영업속도가 한국의 증기 기관차중 최고 속도(시속 110km/h)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한국 증기 기관차중 유일하게 자동급탄장치를 장착하여 삽질(...)을 하지 않아도 되어 많은 철도인들에게 제일 사랑받는 기관차이기도 하였다.
2. 사양
2.1. 파시 1형(Pashii)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총독부 철도국 파시 1형 증기기관차 Chosen Goverment Railway Pashii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900번대일 당시 사진 | |||
| | |||
| 용산정비창에서 정차중인 파시 1형 10호 | |||
| | |||
| 영등포에 정차중인 파시 1형 5호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여객, 화물용 증기기관차 | ||
| 도입량 | 18량 | ||
| 차륜배치 | 4-6-2 | ||
| 도입시기 | 1921 , 1923년 | ||
| 제작사 | 볼드윈 | ||
| 기샤세이죠 | |||
| 차량 제원 | |||
| 전장 | 21,900㎜ | ||
| 전폭 | 3,200㎜ | ||
| 전고 | 4,552㎜ | ||
| 궤간 | 1,435㎜ | ||
| 중량 | 기관차: 94.40t | ||
| 탄수차: 56.70t | |||
| 최고속도 | 95㎞/h |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
도입당시 900번대였다
2.2. 파시 2형(Pashini)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총독부 철도국 파시2형 증기기관차 Chosen Goverment Railway Pashini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구 원산역에서 보존 중인 파시 2형 3호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여객, 화물용 증기기관차 | ||
| 도입량 | 6량 | ||
| 차륜배치 | 4-6-2 | ||
| 도입시기 | 1923년 | ||
| 제작사 | ALCO | ||
| 차량 제원 | |||
| 전장 | 22,060㎜ | ||
| 전폭 | 3,054㎜ | ||
| 전고 | 4,228㎜ | ||
| 궤간 | 1,435㎜ | ||
| 중량 | 기관차: 90.40t | ||
| 탄수차: 57.50t | |||
| 최고속도 | 95㎞/h |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
한반도 보존 차량중 혀기 11형 14호와 함께 디플렉터(제연판)이 달려있다.[3]
| 구 원산역에서 보존중인 파시2형 3호 |
2.3. 파시 3형(Pashisa)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총독부 철도국 파시3형 증기기관차 Chosen Goverment Railway Pashisa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용산에 있는 파시3형 2호 | |||
| | |||
| 영등포에 있는 파시3형 6호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여객, 화물용 증기기관차 | ||
| 도입량 | 6량 | ||
| 차륜배치 | 4-6-2 | ||
| 도입시기 | 1923년 | ||
| 제작사 | 가와사키 중공업 | ||
| 차량 제원 | |||
| 전장 | 23,060㎜ | ||
| 전폭 | 3,054㎜ | ||
| 전고 | 4,228㎜ | ||
| 궤간 | 1,435㎜ | ||
| 중량 | 기관차: 89.60t | ||
| 탄수차: 57.50t | |||
| 최고속도 | 95㎞/h |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
2.4. 파시 4형(Pashishi)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총독부 철도국 파시4형 증기기관차 Chosen Goverment Railway Pashishi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용산역에 정차하는중인 파시4형 9호 | |||
| | |||
| 용산역에 정차한 파시4형 9호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여객, 화물용 증기기관차 | ||
| 도입량 | 82량 | ||
| 차륜배치 | 4-6-2 | ||
| 도입시기 | 1927 ~ 1940년 1940년 1942 ~ 1943년 | ||
| 제작사 | 가와사키 중공업 | ||
| 니혼사료 | |||
| 차량 제원 | |||
| 전장 | 22,054㎜ | ||
| 전폭 | 3,054㎜ | ||
| 전고 | 4,505㎜ | ||
| 궤간 | 1,435㎜ | ||
| 중량 | 기관차: 92.40t | ||
| 탄수차: 67.40t | |||
| 최고속도 | 95㎞/h |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
중국에 동일기종인 SL12형 890호가 보존중이다.
도입당시 번호는 970 ~ 990번대
2.5. 파시 5형(Pashiko)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총독부 철도국 파시5형 증기기관차 Chosen Goverment Railway Pashiko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파시 5형 37호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여객, 화물용 증기기관차 | ||
| 도입량 | 40량 | ||
| 차륜배치 | 4-6-2 | ||
| 도입시기 | 1939년 , 1940 ~ 1944년 | ||
| 제작사 | 경성공작창 | ||
| 가와사키 중공업 | |||
| 차량 제원 | |||
| 전장 | 23,756㎜ | ||
| 전폭 | 3,170㎜ | ||
| 전고 | 4,700㎜ | ||
| 궤간 | 1,435㎜ | ||
| 중량 | 기관차: 112.00t | ||
| 탄수차: 84.00t | |||
| 최고속도 | 110㎞/h |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
국내산 연료를 쓸수 있게 만들어진 특급열차 견인기로 대한민국 철도에서 가장 강력하고 빨랐다고 전해진다.
2.6. 파시 6형(Pashi6)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철도청 파시 6형 증기기관차 Korean National Railroad Pashi6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서울역에서 발차하는 모습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여객, 화물용 증기기관차 | ||
| 도입량 | 1량 | ||
| 차륜배치 | 4-6-2 | ||
| 도입시기 | 1905년 - 1908년 [제작년도] 1954년 [5] | ||
| 제작사 | ALCO baldwin | ||
| 차량 제원 | |||
| 전장 | - | ||
| 전폭 | - | ||
| 전고 | - | ||
| 궤간 | 1,435㎜ | ||
| 중량 | 기관차: -t | ||
| 탄수차: -t | |||
| 최고속도 | -㎞/h | ||
| 밸브장치 | 스티븐식 | ||
형식도
| |||
| | |
| | |
| | |
| 신문기사 출처 |
Erie사 기관차, 한국에 기증되다
더 효율적인 디젤 기관차로 이리 강에서 대체된 후 한국 국민에게 기증된 저희의 은퇴 증기 기관차 중 하나가 전쟁으로 피폐해진 한국을 재건하는 프로그램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며 새롭고 유용한 역할을 시작했습니다. 이 기관차는 기차를 타고 샌프란시스코까지 간 후 증기선 인디언 베어호를 타고 태평양을 횡단했습니다. 기존 이리 기관차 2524호를 그대로 유지한 채, 첫 여객 열차를 견인한 날인 10월 23일 서울중앙역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한국 정부의 공식 승인을 받았습니다.
"해방자호"로 더 잘 알려진 17호와 18호 열차는 한국에서 가장 빠른 열차입니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164km를 매일 운행합니다. 2524호는 17호 열차를 대전까지 운행한 후 18호 열차와 함께 서울로 돌아옵니다
이 기관차는 미국 제3교통철도사령부 부사령관이자 전 에리맨인 조지 B. 드그로트 대령이 Erie 철도사를 대표하여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장관 이종림에게 기증했습니다.
기증식에서 드그로트 대령은 "Erie 철도사를 대표하여
여러분의 많은 문제에 깊이 공감하며, 2524호 기관차의 기여가 한국 교통의 혈관인 한국 국철의 성공적인 운영에 어떤 식으로든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뉴욕주 호넬 출신인 드그로트 대령은 서스쿼해나 사단에서 소방관 및 엔지니어로 에리 철도에서 근무를 시작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에 휴가로 참전했을 때 그는… (중략)
신문 기사 번역분
더 효율적인 디젤 기관차로 이리 강에서 대체된 후 한국 국민에게 기증된 저희의 은퇴 증기 기관차 중 하나가 전쟁으로 피폐해진 한국을 재건하는 프로그램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며 새롭고 유용한 역할을 시작했습니다. 이 기관차는 기차를 타고 샌프란시스코까지 간 후 증기선 인디언 베어호를 타고 태평양을 횡단했습니다. 기존 이리 기관차 2524호를 그대로 유지한 채, 첫 여객 열차를 견인한 날인 10월 23일 서울중앙역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한국 정부의 공식 승인을 받았습니다.
"해방자호"로 더 잘 알려진 17호와 18호 열차는 한국에서 가장 빠른 열차입니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164km를 매일 운행합니다. 2524호는 17호 열차를 대전까지 운행한 후 18호 열차와 함께 서울로 돌아옵니다
이 기관차는 미국 제3교통철도사령부 부사령관이자 전 에리맨인 조지 B. 드그로트 대령이 Erie 철도사를 대표하여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장관 이종림에게 기증했습니다.
기증식에서 드그로트 대령은 "Erie 철도사를 대표하여
여러분의 많은 문제에 깊이 공감하며, 2524호 기관차의 기여가 한국 교통의 혈관인 한국 국철의 성공적인 운영에 어떤 식으로든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뉴욕주 호넬 출신인 드그로트 대령은 서스쿼해나 사단에서 소방관 및 엔지니어로 에리 철도에서 근무를 시작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에 휴가로 참전했을 때 그는… (중략)
신문 기사 번역분
미국에 디젤기관차들이 도입되면서 자연스레 퇴역한 증기기관차 Erie 2524호는 1954년에 한국에 기증되었다.
해당 기관차는 1954년 샌프란시스코항에서 태평양을 지나, 한국으로 왔고 10월 23일에 서울역에서 축하식을 진행했다.
한국으로 소유권이 이전된후 파시5형 17호, 18호와 함께 해방자호를 운행했다고 한다 [6]
이후 해당 차량은 파시 6형 1호로 새로 명명되었다.
과거에 해당 차량이 임진각 자유의 다리에 보존 돼있다는 소문이 돌아서 1998년, 데이브 알버스톤(Dave Alberston)이란 사람이 직접 임진각으로 갔는데 거기 있는건 미카 3형 244호였다. 그 외에도 해당 차량을 찾으려는 여러 시도가 있었지만, 철도박물관 손길신 원장님과의 인터뷰에서 밝혀진 바로는 남한 어디에도 2524호 같은 미국제 기관차는 남아있지 않다고 했다 [7]
3. 보존
현재 남한에 남아있는 파시형 기관차는 철도박물관의 5형 23호가 유일하고 북한의 舊 원산역사에 2형 3호가 3등객차와 함께 남아있는데[8] 보존 이유가 김일성이 1945년 원산을 통해 귀국한 후 평양으로 가기 위해 탑승한 열차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런지 열차 내부에 시트나 전등이나 그 당시 그대로 철저히 보존하고 있다.| 구 원산역 내에서 보존중인 파시2형 3호 |
4. 여담
- 분단 당시 78대가 한국, 68대가 북한에 배속되었다.
| 유선형 차량 |
- 파시 4, 5형은 도입 직후엔 유선형 차량이었으나, 해방 이후 한국전쟁당시 재생작업을 통해 대부분이 현재의 모습으로 개조되었다.[9]
- 마터 1, 2형도 이와 유사한 형상이었으나 개조되었다.
- 기관차 양산당시 이를 기념하기 위해 실차를 그대로 축소한 파시 1-4288은 일제 강점기 당시 영등포공착장에서 실습생들이 제작한 것이다. 이는 원래 USA 712호라는 명칭이었으나, 이후에 파시 1-4288[10]로 개칭되었다. 이 과정에서 제연판도 장착되었다. 그리고 이 차량은 실제로 증기기관차이기 때문에 물과 연료만 있다면 증기기관 고유의 형식으로 작동이 가능하다. 과거에 창경원에서 운용된 사례가 있다. 현재는 철도박물관 본관 메인홀에 전시중이다.
| 반파 되어버린 상태로 용산정비창에 유치중이던 파시 1형 7호 |
- 한편, 2015년 9월 15일에 철도박물관에서 레일플러스 한정판 교통카드를 1000장을 발매하였으나, 인기가 저조하여 악성재고로 보유하고 있다가. 2016년 철도박물관에서 직영화조치 이후에는 기념품점이 폐쇄되어 더 이상 판매되지 않고 있다.
- 파시 5형 23호에 달려있던 굴뚝 덮개는 개관 당시에 덮은것이었다고 한다. 즉, 원래는 없는 부품이란거다. 덮은 이유는 미카형 증기기관차와 다르게 완전히 야외에서 전시해놓은 것이기 때문에 빗물이 들어갈 수있는 우려가 있어 덮었던 것으로 보인다.[13]
- 파시 5형중 일부 차량은 해드램프가 연실에 달려있는 경우도 있었다.
- 파시5형 5호는 용산정비창에서 특별한 개조를 받았던 적이 있다 [14]
[1] 현재 철도박물관에서 보존중인 그 차량이 맞다.[2] 원래 이름은 USA 712호 였다[3] 하지만 혀기 11형 14호에 달린 제연판은 순정이 아닌 1970년대에 만들어진 것이다.[제작년도] [5] 한국으로 보내진 년도[6] 파시5형 17호랑 연결되서 대전역까지 간뒤 파시5형 18호와 함께 서울역으로 돌아가는 식으로 운행했다고 한다[7] 사실상 폐차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8] 실내에서 보존하고 있기 때문에 보존상태가 철도박물관의 그것보다는 비교할수 없을 정도로 깨끗하다. 기관차 앞 명패가 한글이 아닌 일본어로 ''パシニ3 이라고 써 있으며 디플렉터가 달려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1923년 미국 ALCO에서 제작된 기관차로 한반도에서 유일하게 보존된 미국제 증기기관차이다.[9] 실제로는 거대한 제연판과 보일러 부분 위에 유선형의 구조물만 얹은 형태이며 LNER A4와 같이 철판으로 완전히 덮인 유선형 증기기관차와 달리 반 유선형(semi-streamlined)에 가깝다[10] 단기 4288년인 1955년에 해당 작업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11] 장폐단 항목에도 나와 있지만 애초에 증기견인기는 대부분이 장폐단 형태라고 볼수 있긴 하나 증기기관차에서의 장폐단은 보통 탄수차나 석탄벙커가 앞을 향하게 주행하는 방식을 뜻한다.[12] 57명이 사망했다고 한다[13] 애초에 저런 덮개가 있을 경우 매연배출에 도움이 안된다. 지난 복원 과정에서 해당 덮개는 제거되었다.[14] 촬영자인 돈 로스(Don ross)의 말에 따르면 "마치 특급열차의 맨 앞 일등석에 연결될것 같이 생겼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