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문서명7 != null
, [[]]| 한국철도공사의 기관차 (열차번호일반 · 열차번호화물 · 차량번호)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관차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디젤기관차 | |
| <colcolor=white> 특수 | 9100호대 · D형 | |
| 소형 | 2000호대 · 2100호대 | |
| 중형 | 3000호대 · 3100호대 · 3200호대 · 4000호대 · 4100호대 · 4200호대 · 4300호대 · 4400호대 | |
| 대형 | 5000호대 · 6000호대 · 6100호대 · 6200호대 · 6300호대 | |
| 특대형 | 7000호대 · 7100호대 · 7200호대 · 7300호대 · 7400호대 · 7500호대 · 7600호대 · | |
| 전기기관차 | ||
| 화물 | 8000호대 · 8500호대 | |
| 여객 | 8100호대 · 8200호대 | |
| 기타 | 데로형 | |
| 증기기관차 | ||
| 표준궤 | 모가 · 4륜 · 푸러 · 아메 · 터우 · 바티 · 코러 · 사타 · 소리 · 마터 · 파시 · 미카 · 901호 | |
| 협궤 | 630호대 · 660호대 · 700호대 · 810호대 · 900호대(혀기11) · 혀기 | |
| 한국철도공사 소속 디젤동차 · 전동차 · 발전차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현황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디젤기관차 | |
| <colcolor=white> 소형 | 2000호대/현황 · 2100호대/현황 | |
| 중형 | 3000호대/현황 · 3100호대/현황 · 3200호대/현황 · 4000호대/현황 · 4100호대/현황 · 4200호대/현황 · 4300호대/현황 · 4400호대/현황 | |
| 대형 | 5000호대/현황 · 6000호대/현황 · 6100호대/현황 · 6200호대/현황 · 6300호대/현황 | |
| <nopad> 특대형 | 7000호대/현황 · 7100호대/현황 · 7200호대/현황 · 7300호대/현황 · 7400호대/현황 · 7500호대/현황 · 7600호대/현황 | |
| 전기기관차 | ||
| 화물 | 8000호대/현황 · 8500호대/현황 | |
| 여객 | 8100호대/현황 · 8200호대/현황 | |
| 증기기관차 | ||
| <nopad> 표준궤 | 푸러형/현황 · 미카형/현황 · 사타형/현황 · 마터형/현황 | |
| 협궤 | 혀기형/현황 | |
| 한국철도공사 소속 디젤동차 현황 보기 · 전동차 현황 보기 · 발전차 현황 보기 다른 지역 전동차 현황 보기 | }}}}}}}}} | |
| |
| 혀기 11-13호 증기기관차 |
1. 개요2. ナキ형 증기기관차
2.1. ナキイ형 (Nakii)2.2. ナキニ형 (Nakini)2.3. ナキサ형 (Nakisa)2.4. ナキシ형 (Nakishi)2.5. ナキゴ형 (Nakiko)2.6. ナキロ형 (Nakiro)2.7. ナキナ형 (Nakina)2.8. ナキハ형 (Nakiha)
3. 혀기형 증기기관차3.1. 혀기 1형(Hokey1)3.2. 혀기 2형(Hokey2)3.3. 혀기 3형(Hokey3)3.4. 혀기 4형(Hokey4)3.5. 혀기 5형(Hokey5)3.6. 혀기 6형(Hokey6)3.7. 혀기 7형(Hokey7)3.8. 혀기 8형(Hokey8)3.9. 혀기 9형(Hokey9)3.10. 혀기 10형(Hokey10)3.11. 혀기 11형(Hokey11)
4. 미 육군 도입 증기기관차5. 보존현황1. 개요
| | |
| 혀기 11형 13호 | |
| | |
| 혀기 11형 14호 | |
| | |
| 혀기 8형 28호 | |
| | |
| 혀기 7호의 현역시절 |
수인선, 수려선 등지에서 운행했던 협궤전용 증기 기관차의 한 종류이다. 허기형의 오기로 착각하기 쉽지만 일제강점기에 들어온 것으로, 이름은 협궤의 일본어 발음인 '쿄키'(きょうき)에서 나왔다.
해방 후에도 한동안 운행하였으나, 출력 부족과 노후화로 1982년에 전량 퇴역했다.
2. ナキ형 증기기관차
2.1. ナキイ형 (Nakii)
2.2. ナキニ형 (Nakini)
도입당시 번호는 10번대로 11-12호까지 존재했다.
전북 철도에서 편입 되었다고 한다.
2.3. ナキサ형 (Nakisa)
해당 차량은 해방 이후 혀기 3형으로 개칭되었다.2.4. ナキシ형 (Nakishi)
해당 차량은 해방 이후 혀기 4형으로 개칭되었다.2.5. ナキゴ형 (Nakiko)
해당 차량은 해방 이후 혀기 5형으로 개칭되었다.2.6. ナキロ형 (Nakiro)
해당 차량은 해방 이후 혀기 6형으로 개칭되었다.2.7. ナキナ형 (Nakina)
해당 차량이 혀기 7형과 동일한 차량인지는 현재로써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2.8. ナキハ형 (Nakiha)
해당 차량은 해방 이후 혀기 8형으로 개칭되었다.3. 혀기형 증기기관차
현재 남아있는 자료가 별로 없어서 제원은 알 수 없다.3.1. 혀기 1형(Hokey1)
3.2. 혀기 2형(Hokey2)
3.3. 혀기 3형(Hokey3)
|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총독부 철도국 혀기 3형 증기기관차 Chosen Goverment Railway nakisa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남만주철도주식회사 안봉선용 증기기관차의 모습. [1] | |||
| | |||
| ナキサ형 모형[2]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입환용 증기기관차 | ||
| 차륜배치 | 0-6-0T | ||
| 도입량 | 11량 | ||
| 도입시기 | 1904년 ~ 1905년, 1908년 | ||
| 운행기간 | - | ||
| 제작사 | 볼드윈 | ||
ナキサ(Nakisa)형은 해방 이후 혀기 3형으로 개칭되었다.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발간한 차량 형식도에 따르면 ナキサ형은 당시 기준으로 21-31호 증기기관차였으며, 21, 22, 23-31호의 제원이 상이했다.
또한 해방 이후에는 혀기 3형 2-9, 11호가 존재했다.[3]
전북철도, 경편철도, 조철경동선, 도광철도에서 도입하였다고 한다. 평양에 위치한 철도성혁명사적관에 복제본이 보존되어있고, 강천혁명사적관에는 1량이 보존되어있다고한다.[4]
3.4. 혀기 4형(Hokey4)
3.5. 혀기 5형(Hokey5)
3.6. 혀기 6형(Hokey6)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철도청 혀기 6형 증기기관차 Korean National Railroad Hokeyro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 ||
| 차륜배치 | 2-6-2T | ||
| 제작사 | 히타치 | ||
| 제작년도 | 1926년 | ||
| 차륜배치 | 2-6-2T | ||
해방 이전에는 형식명이 ナキロ(Nakiro)형 차량이었다.
혀기 6형 7, 12호는 탄수탱크 증량 개조를 받았다.[5]
3.7. 혀기 7형(Hokey7)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철도청 혀기 7형 증기기관차 Korean National Railroad Hokeyna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 | ||
| 도입량 | - | ||
| 차륜배치 | 2-6-2T | ||
| 도입시기 | 1927년 | ||
| 운행기간 | 1927 ~ 1964년 | ||
| 제작사 | 히타치 | ||
혀기 7형의 경우 본래 보고된 내용에서는 0-8-0T의 차륜 배치를 가진 차량으로 알려져있었다.
그러나 유일하게 사진이 남은 혀기 7형 7호의 모습에서는 2-6-2T의 차륜 배치를 보여주고 있어, 차량의 정체에 여러 의문이 남아있다.
사진이 촬영된 당시에는 휴전 직후였으므로, 0-8-0T의 파손된 혀기 7형이 재생되어 2-6-2T의 차륜 배치를 가진 차량으로 개조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6]
만일 차륜배치가 개조된 것이 사실이라면 해당 차량은 본래 700호대 증기기관차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7]
혹은 0-8-0T의 차량과 2-6-2T의 차량이 혀기 7형에 혼재했을 가능성 또한 존재하나, 0-8-0T 형식의 차량 사진은 남아있지 않은 상황이다.
3.8. 혀기 8형(Hokey8)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철도청 혀기 8형 증기기관차 Korean National Railroad Hokeyha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 | ||
| 차륜배치 | 2-8-2T | ||
| 제작년도 | 1934 ~ 1936년 | ||
| 운행기간 | 1934 ~ 1972년 | ||
| 제작사 | 히타치 | ||
| 니혼사료 | |||
해방 이전에는 ナキハ형으로, 협궤 기관차중 굉장한 성능을 자랑했던 차량이다.[8]
국내에서 확인된 차량은 28, 60호 단 두 량이지만 북한에서는 꽤 다수의 차량이 포착된 바 있다.
북한에서는 혀기 8형 9호로 추정되는 차량이 사적기관차로 지정되어있다.[9]
3.9. 혀기 9형(Hokey9)
3.10. 혀기 10형(Hokey10)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철도청 혀기 10형 증기기관차 Korean National Railroad Hokey10 Class Steam Locomotive | }}} | |
| 차량 정보 | |||
| 용도 | - | ||
| 차륜배치 | 2-8-0 | ||
| 도입년도 | 1936년 | ||
| 제작사 | 기샤세이죠 | ||
혀기 10형 증기기관차는 상세한 사진이나 기록이 남아 있지 않으나, 보고된 자료에 따르면 810호대 증기기관차와 거의 동일한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혀기 10형은 810호대 증기기관차와 동일한 형식일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810호대 증기기관차#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810호대 증기기관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1. 혀기 11형(Hokey11)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철도청 혀기 11형 증기기관차 Korean National Railroad Hokey11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900번대 시절 차량 | |||
| | |||
| 대전에서 철도박물관으로 보내질 준비를 하는 혀기11형 13호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 도입량 | 15량 | ||
| 차륜배치 | 2-8-2 | ||
| 생산시기 | 1937 , 1944년 | ||
| 도입시기 | 1937년 | ||
| 제작사 | 기샤세이죠 | ||
| 니혼사료 | |||
| 히타치 | |||
| 차량 제원 | |||
| 전장 | 8,634㎜ | ||
| 전폭 | 2,280㎜ | ||
| 전고 | 3,200㎜ | ||
| 궤간 | 762㎜ | ||
| 차중 | 54.90t | ||
| 최고속도 | 50 ㎞/h | ||
| 밸브장치 |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900호대 증기기관차#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900호대 증기기관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미 육군 도입 증기기관차
4.1. 혀기 1호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철도청 혀기 1호 증기기관차 Korean National Railroad Hokey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전시용 증기기관차 | ||
| 차륜배치 | 2-6-2T | ||
| 도입시기 | 1952년 | ||
| 운행기간 | 1952 ~ 1973년 3월 | ||
| 제작사 | 미쓰비시 중공업 | ||
| 차량 제원 | |||
| 전장 | 19,730㎜ | ||
| 전폭 | -㎜ | ||
| 전고 | -㎜ | ||
| 중량 | - | ||
| 최고속도 | -㎞/h | ||
| 밸브장치 | - | ||
USATC 1호가 혀기 1호로 개번되었다.
6.25전쟁 당시에 미 육군에서 전시에 충당할 기관차가 부족해지자 미쓰비시에 주문하여 도입한 것으로 휴전 후부터 1973년 3월까지 운행하였다.
여담으로 해당 차량의 차호 명판은 본래 없던 것으로 원형 매각되며 부착된 것이다.[10]
4.2. USA 2호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U.S Army USA 2호 증기기관차 U.S Army Hokey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전시용 증기기관차 | ||
| 차륜배치 | 2-6-2T | ||
| 도입시기 | 1952년 | ||
| 운행기간 | - | ||
| 제작사 | - | ||
4.3. USA 3호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U.S Army USA 3호 증기기관차 U.S Army Hokey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전시용 증기기관차 | ||
| 차륜배치 | 0-6-0T | ||
| 도입시기 | 1952년 | ||
| 운행기간 | - | ||
| 제작사 | - | ||
4.4. USA 4호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U.S Army USA 4호 증기기관차 U.S Army Hokey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전시용 증기기관차 | ||
| 차륜배치 | 0-6-0T | ||
| 도입시기 | 1952년 | ||
| 운행기간 | - | ||
| 제작사 | - | ||
4.5. USA 5호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U.S Army USA 5호 증기기관차 U.S Army Hokey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전시용 증기기관차 | ||
| 차륜배치 | 0-6-0T | ||
| 도입시기 | 1952년 | ||
| 운행기간 | - | ||
| 제작사 | - | ||
4.6. USA 6호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U.S Army USA 6호 증기기관차 U.S Army Hokey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전시용 증기기관차 | ||
| 차륜배치 | 2-4-2T | ||
| 제작년도 | 1931년 | ||
| 도입시기 | 1952년 | ||
| 운행기간 | - | ||
| 제작사 | Wakatsu Iron Works | ||
휴전 후 혀기 6호로 개번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4.7. 혀기 7호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철도청 혀기 7호 증기기관차 Korean National Railroad Hokey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소래포구에 보존된 모습 | |||
| | |||
| USA 7호일 당시의 모습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전시용 증기기관차 | ||
| 차륜배치 | 2-8-2 | ||
| 도입시기 | 1952년 | ||
| 운행기간 | 1952 ~ 1982년 10월 | ||
| 제작사 | 니혼사료 | ||
| 차량 제원 | |||
| 전장 | 14,600㎜ | ||
| 전폭 | 2,300㎜ | ||
| 전고 | 3,200㎜ | ||
| 중량 | 42.94t | ||
USATC 7호가 혀기 7호로 개번되었다.
잠시 동안 재연판을 장착했었던 적이 있다.
4.8. 혀기 8호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철도청 혀기 8호 증기기관차 Korean National Railroad Hokey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전시용 증기기관차 | ||
| 차륜배치 | 2-8-2 | ||
| 도입시기 | 1952년 | ||
| 운행기간 | 1952 ~ 1975?년 | ||
| 제작사 | 니혼사료 | ||
| 차량 제원 | |||
| 전장 | 14,600㎜ | ||
| 전폭 | 2,300㎜ | ||
| 전고 | 3,200㎜ | ||
| 중량 | 42.94t | ||
USATC 8호가 혀기 8호로 개번되었다.
1975년 퇴역으로 추정된다.
해당 차량의 차호 명판도 혀기 1호와 마찬가지로 원형매각될때 장착된 것으로 본래 사용하던 것이 아니다.
5. 보존현황
현재 6량이 보존 중이다.- 혀기 1호(1952년 도입분): 경춘선 화랑대역[11]
- 혀기 7호(1952년 도입분): 소래역사관 앞
혀기 8호(1952년 도입분):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도[12]- 혀기 8형 28호: 국립어린이과학관
- 혀기 11형 12호: 삼성화재 모빌리티뮤지엄[13]
- 혀기 11형 13호: 철도박물관[14]
- 혀기 11형 14호: 평창군 용평리조트 주차장 한 켠에 전시 중[15]
[1] 추후에 일부 차량이 조선총독부 철도국의 ナキサ형으로 편입되었다.[2] 평양 철도성사적관에 전시되어있다.[3] 1, 10호는 이전에 폐차된 것으로 추정된다.[4] 사적기관차로 지정된 증기 35호로 추정된다.[5] 12호는 한국 전쟁 발발 이후에 개조되었다.[6] 전쟁중 협궤 증기기관차가 부족해, 8량을 새로 도입한 것을 보면 마냥 완전히 말이 안되는 것은 아니다.[7] 제작연도와 제작사가 일치하며, 차륜배치를 제외한 외형이 굉장히 유사하다. 또한 원래 보고된 내용과 마찬가지로 0-8-0T형식의 차량이다.[8] 대부분의 곡선구간 반경이 좁아 텐더형으로는 굴리기 힘들어서 해당 차량이 도움이 됐다고한다.[9] 증기돔의 개수가 상이한 것을 보면 혀기 8형이 아닐 수도 있으며 남만주철도국 같은데서 사용되던 동일기종일수 있다.[10] 원래는 차호가 페인트로 적혀있었다.[11] 본래 서울어린이대공원에 전시되어 있었으나 2017년 경 같이 전시되었던 협궤객차 2량과 미카 3형 56호 증기기관차와 함께 이전되었다.[12] 1978년에 박정희가 어린이날 선물로 기증한 증기 기관차 두 대중 하나로(나머지 한 대는 미카 3형 304호로 제주도 삼무공원에 전시중) 흑산도 예리항 인근에 협궤객차 한 대랑 같이 전시되었으나 1996년에 한진중공업에 매각되어 폐차되었다.[13] 차호불명의 비둘기호 객차와 함께 전시되어 있다.[14] 일본에서 확보한 설계도로 제작된 복제품이 구 송도역 문화공원에 설치되었다.#[15] 현재 보존 중인 혀기형 증기기관차 중에서 유일하게 디플렉터(제연판)가 달려 있다.